[전체] “유수부” 에 대한 검색결과 총 440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429)
사전(91)
- 유수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고려‧조선시대 옛 도읍지나 행행지 및 군사적인 요지에 설치되었던 관서. [내용] 유수부제도는 당‧송의 옛 제도를 원용한 것으로, 고려시대에는 옛 도읍지인 서경‧동경‧남경 등지에 설치되었고, 조선시대에는 옛 도읍지인 개성, 태조의 어향인
- 유수부(留守府)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유수부 유수부 留守府 유후사(留侯司) 정치행정/관청|정치/군사·국방/방어시설 집단 기구 대한민국 조선 조선 임용한 1438년(세종 20) 1894년(고종 31) [정의] 조선시대에...관련어유후사(留侯司)
- 강화유수부동헌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서 그 자리에 유수부의 동헌을 지었다. 당초의 건물은 남아 있지 않고 현재의 건물은 1638년(인조 16)에 개수한 것이며, 그 뒤 퇴락한 것을 1977년 복원, 수리하였다. 겹처마 익공집으로, 2중 장대석으로 조성된 기단 위에 네모꼴의 다듬은 주초석을 놓고 네...연계항목강화유수부동헌(江華留守府東軒)
- 강도유수부(江都留守府)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강도유수부 강도유수부 江都留守府 강화유수부(江華留守府) 개성유수부(開城留守府), 광주유수부(廣州留守府), 보장처(堡障處),수원유수부(水原留守府) 정치행정/행정구획|정치/군사·국방/방어시설 집단 기구 대한민국 조선후기동의어강화유수부(江華留守府) | 관련어개성유수부(開城留守府), 광주유수부(廣州留守府), 보장처(堡障處),수원유수부(水原留守府)
- 강화유수부이방청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작지붕에 민도리 홑처마로 건평은 220㎡쯤 된다. 원래 강화유수부 안에 있던 이방‧호방‧예방‧병방‧형방‧공방 등 육방 중의 하나인 이방청으로, 지금의 건물은 1654년(효종 5)에 유수 정세규(鄭世規)가 건립한 것이다. 1783년(정조 7)에 중수되었으며, 한때...이칭별칭주홀당(柱笏堂) | 연계항목강화유수부이방청(江華留守府吏房廳)
고서·고문서(332)
- 전 감영, 감리서, 유수부의 기록장부, 토지, 금전, 미곡 등의 전수를 칙령 제97호 제2조(덕원은 제99호 제2조)대로 시행하되, 수수할 때는 공동 조사하여 인계를 받은 후 기록하여 치보하라는 훈령. [규장각 도서자료 연구사업(2단계) | 서울대학교]분야정치‧법제 | 유형제도
- 전 감관, 유수부, 감리서의 기록장부, 토지, 금전, 미곡 등 건의 전수를 칙령 제97호 제2조(인천부, 동래부는 칙령 제99호 제2조)대로 봉행하되, 접수할 때 공동 조사하여 전장을 받은 후에 본부 봉금과 필요한 경비를 그 중 신식에 따라 지불하고, 전수 용하의 남아있는 것은 구별하여 보고하라는 훈령. [규장각 도서자료 연구사업(2단계) | 서울대학교]분야정치‧법제 | 유형제도
- 강도(江都)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吾受國恩甚厚, 苟有酬報之道, 豈憚燥濕? 仍於赴任之後, 繕治軍器, 且多修擧之事, 弼明意外遷轉, 百祿又將見遞, 誠可惜也。 中軍與軍官有異, 不必以府尹之遞而竝遞中軍, 今若啓下計朔, 一如江都之例, 則似好矣。 上曰, 江都·南漢, 俱是保障重地, 一體施行, 可也。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강도(江都)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9225 B009225 강도 江都 정치행정 承政院日記 肅宗 34年 6月 25日_019 ... 城中軍全百祿, 卽自上知名之武士也。 資級履歷頗高, 而前府尹朴弼明, 曾以中軍, 人多勸令勿赴, 則百祿曰, 吾受國恩甚厚, 苟有酬報之道, 豈憚燥濕? 仍於赴任之後, 繕治軍器, 且多修擧之...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강도(江都)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9369 B009369 강도 江都 정치행정 承政院日記 肅宗 15年 10月 3日_011 ○引見時, 左議政睦來善曰, 國事之詿誤, 蓋由於循私, 而京外公藏銀貨, 每緣私請, 多數許貸之後, 皆以雜物代捧, 以致銀貨之蕩竭, 豈不寒心哉? 今日見江華留守報狀, 則江都所藏地部銀貨八千餘兩...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멀티미디어(6)
- 20세기 초반 좌·우도 지리 제도 근현대 행정 읍격 분포도 분포도 전국 군현 1:4,000,000 20세기 초반 한성부 / 유수부 없음 증보문헌비고 없음 행정_154_20세기_초반_좌·우도 행정_154_20지도유형분포도 | 자료원증보문헌비고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김영호 교수
- 19세기 중반 읍격 지리 제도 근현대 행정 읍격 분포도 분포도 전국 군현 1:4,000,000 19세기 중반 부 / 유수부 / 대도호부 / 목 / 도호부 / 군 / 현 없음 대동지지 없음 행정_151_19세기_지도유형분포도 | 자료원대동지지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김영호 교수
- 18세기 중반 읍격 지리 제도 근현대 행정 읍격 분포도 분포도 전국 군현 1:4,000,000 18세기 중반 부 / 유수부 / 대도호부 / 목 / 도호부 / 군 / 현 없음 여지도서 없음 행정_150_18세기_지도유형분포도 | 자료원여지도서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김영호 교수
- 15세기 중반 읍격 지리 제도 근현대 행정 읍격 분포도 분포도 전국 군현 1:4,000,000 15세기 중반 부 / 유수부 / 대도호부 / 목 / 도호부 / 군 / 현 없음 세종실록지리지 없음 행정_147_15지도유형분포도 | 자료원세종실록지리지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김영호 교수
- 16세기 초반 읍격 지리 제도 근현대 행정 읍격 분포도 분포도 전국 군현 1:4,000,000 16세기 초반 부 / 유수부 / 대도호부 / 목 / 도호부 / 군 / 현 없음 신증동국여지승람 없음 행정_148_1지도유형분포도 | 자료원신증동국여지승람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김영호 교수
주제어사전(11)
-
유수부 / 留守府 [정치·법제/법제·행정]
고려·조선시대 옛 도읍지나 행행지 및 군사적인 요지에 설치되었던 관서. 유수부제도는 고려시대에는 옛 도읍지인 서경·동경·남경 등지에 설치되었고, 조선시대에는 옛 도읍지인 개성, 태조의 어향인 전주 및 강화·광주(廣州)·수원 등지에 설치되었다. 고려시대 유수부 조직은
-
강화유수부동헌 / 江華留守府東軒 [예술·체육/건축]
인천광역시 강화군 강화읍에 있는 조선시대 강화유수부의 관청.시도유형문화재. 인천광역시 유형문화재 제25호. 정면 8칸, 측면 3칸의 팔작지붕건물. 건물이 있는 터는 고려 고종 때에 임시수도로 궁궐이 있던 곳이었는데, 조선시대에 들어와서 그 자리에 유수부의 동헌을 지었
-
강화유수부 이방청 / 江華留水府 吏房廳 [예술·체육/건축]
인천광역시 강화군 강화읍에 있는 조선후기 강화유수부의 6방 중 하나인 관청. 인천광역시 유형문화재 제26호. 한식 목조 단층기와집으로 ㄷ자형인데, 온돌방이 8칸이고 우물마루로 된 청마루가 12칸이며 부엌이 1칸으로 모두 21칸이다. 팔작지붕에 민도리 홑처마로 건평은
-
강화부 / 江華府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수도 방위를 목적으로 강화에 설치되었던 특수 행정기관. 조선왕조는 수도 방위를 위해 한성부 주변의 행정적·군사적으로 중요한 지역에 주·부·군·현의 일반적인 행정 체계와는 별도로 특수 행정 체계인 유수부를 설치, 운영했다.
-
개성부 / 開城府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수도 방위를 목적으로 개성에 설치되었던 특수 행정기관. 조선왕조는 수도방위를 위해 한성부 주변의 행정적·군사적으로 중요한 지역을 선정해 주·부·군·현의 일반적인 행정 체계와는 별도로 특수 행정 체계로 유수부를 설치, 운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