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유세명” 에 대한 검색결과 총 42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40)
사전(11)
- 우헌문집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조선 후기의 문신‧학자 유세명(柳世鳴)의 시문집. [내용] 8권 4책. 목판본. 종6대손 의목 (懿睦)이 교정, 정사(淨寫) 해놓은 유고를 1833년(순조 33)에 간행하였다. 권말에 의목의 발문이 있다. 국립중앙도서관에 있다.
- 유세명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1636(인조 14)∼1690(숙종 16). 조선 후기의 문신. [내용] 본관은 풍산(豊山). 자는 이능(爾能), 호는 우헌(寓軒). 안동출신. 운룡(雲龍)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기(䄎)이고, 아버지는 원리(元履)이다. 유원지(柳元之)의...이칭별칭 이능(爾能)| 우헌(寓軒)
- 유세명언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중국 명(明)나라 때 풍몽룡(馮夢龍, 1575-1645)이 편찬한 구어체의 단편소설집.정의중국 명(明)나라 때 풍몽룡(馮夢龍, 1575-1645)이 편찬한 구어체의 단편소설집.[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 영문 용어‧용례 사전] | 문광부표기Yuse myeongeon | MR표기Yuse myŏngŏn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역려 [옛 편지 낱말사전 | 한림대학교]여행길에 또는 객지에서. 世鳴逆旅一疾 幾死不死, 유세명(柳世鳴), 44-48분야문화‧생활 | 유형문헌
- 후엽 [옛 편지 낱말사전 | 한림대학교]뒷부분. 後葉臨去極忙 暫草不成狀式 未安未安, 유세명(柳世鳴), 44-48분야문화‧생활 | 유형문헌
고서·고문서(26)
- 惟說命,總百官。乃進于王曰:“嗚呼!明王奉若天道,建邦設都,樹后王ㆍ君公,承以大夫ㆍ師長,不惟逸豫,惟以亂民。惟天聰明,惟聖時憲,惟臣欽若,惟民從乂。 [여유당전서 정본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ITKC_MP_0597A_0590 梅氏書平 卷三 ITKC_MP_0597A_0590_030_0010 惟說命,總百官。乃進于王曰:“嗚呼!明王奉若天道,建邦設都,樹后王ㆍ君公,承以大夫ㆍ師長,不惟逸豫,惟以亂民。惟天聰明,惟聖時憲,惟臣欽若,惟民從乂。 정약용(丁若鏞) ...권차명梅氏書平 卷三 | 문체雜著類|論說類 | 저자정약용(丁若鏞, 1762 ~ 1836) | 자료문의다산학술문화재단(http://www.tasan.or.kr )
- 권현수(權鉉叟) 서간(書簡) [영남 자료권역센터 구축(2단계) | 한국국학진흥원]○○년 ○월 ○일, 류세명이 어제 이현일이 자신에게 보여준 문자 중에 말단 여덟 글자에 관하여 자신의 의견을 그에게 전한 답장편지이다. 이현일이 보여준 문자는 『갈암집』권18에 있는 「유관학제생(諭館學諸生文)」중에 말단 부분을 말하는 듯하다. 류세명은 문자의 격식이내용분류개인-생활-서간 | 형식분류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현소장처한국국학진흥원
- 남해현(南海縣)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35200 B035200 남해현 南海縣 정치행정 承政院日記 肅宗 10年 12月 6日_004 ○下直, 江襄都事柳世鳴, 南海縣監尹烇。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남해현(南海縣)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35227 B035227 남해현 南海縣 정치행정 承政院日記 肅宗 10年 12月 6日_004 ○下直, 江襄都事柳世鳴, 南海縣監尹烇。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남해현령(南海縣令)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36182 B036182 남해현령 南海縣令 정치행정 承政院日記 肅宗 5年 9月 26日_013 爲黃山察訪, 金世衡·李善溥爲典籍, 柳世鳴爲奉敎, 權德邵爲承文副正字, 金是榮爲直講, 金得臣爲軍資正, 南益熏爲兼校書校理, 孫湍爲黃州兼提督屬敎官, 李尙翼爲安東屬敎官, 鄭民獻爲尙州屬...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기초학문(1)
- 馮夢龍《喻世明言‧蔣興哥重會珍珠衫》在朝鮮朝的借鑒吸收狀況研究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게재일 : 201370292 한국연구재단 山東大學出版社 2013 馮夢龍《喻世明言‧蔣興哥重會珍珠衫》在朝鮮朝的借鑒吸收狀況研究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ory=유형논문 | 게재일2013
신문·잡지(1)
- 新興都市의 大田 商工會議所設立 金組樓上에 百五十餘名會合 創立理由說明可決 [한말~식민지 시기 상공회의소 관련자료 조사 분석 및 DB화 | 서강대학교]경제·산업 기타 근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토대연구지원 서강대학교 최기영 연속간행물 신문 매일신보 新興都市의 大田 商工會議所設立 金組樓上에 百五十餘名會合 創立理由說明可決 1932년 6월21일 대전 대전 대전상공회의소...대표표제어新興都市의 大田 商工會議所設立 金組樓上에 百五十餘名會合 創立理由說明可決 | 연월일1932년 6월21일 | 지역대전
기타자료(1)
- 유세명;柳世明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099885 북한 평남 숭실학교 3-05 회원명부(1938년 9월調) 牟義理 숭실교우회 1938―10―15 55면 1. 숭전·숭실 졸업생;2) 나, 라行部 유세명;柳世明 함북 경성군 용성면 수성...학교소재지역평남 | 학교명숭실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주제어사전(2)
-
유세명 / 柳世鳴 [종교·철학/유학]
1636(인조 14)∼1690(숙종 16). 조선 후기의 문신. 운룡의 증손, 할아버지는 기, 아버지는 원리이다. 유원지의 문인이다. 1675년(숙종 1)에 증광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여 1678년에는 검열을 지내고, 이어 사관·이조좌랑을 거쳐 1689년에 지평·교리·헌납
-
김시화 / 金始鏵 [종교·철학/유학]
1662년(현종 3)∼1732년(영조 8). 조선 후기의 유생. 아버지는 통덕랑 김정휘, 어머니는 통훈대부 이상언의 딸이다. 종조 이요석에게서 수업하였으며, 우헌 유세명이 그를 보고 재능이 뛰어나니 상경하여 면학하도록 격려하였다. 부친의 명으로 과거에 나가 17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