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유서” 에 대한 검색결과 총 3,914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 연관검색어
- 조선국왕 유서
연구성과물(3,816)
사전(981)
- 최계방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1045(정종 11)∼1116(예종 11). 고려 중기의 문신. [개설] 본관은 수주(水州 : 지금의 경기도 수원). 자는 복시(復時). 시중 사위(士威)의 증손으로 호부시랑 유서(惟恕)의 아들이며, 어머니는 중추원사 김원황(金元晃)의이칭별칭 복시(復時)| 화순(和順)
- 유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1409(태종 9)∼1485(성종 16). 조선 전기의 무신. [내용] 본관은 문화(文化). 자는 포옹(浦翁). 아버지는 지중추부사 은(殷)이다. 어릴 때부터 궁마(弓馬)를 익혀서 음보로 기용된 뒤, 1429년(세종 11) 좌군섭부사정(左...이칭별칭 포옹(浦翁)| 양호(襄胡)|문천군(文天君) | 연계항목유서(諭書)
- 유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기부(第幾符)’, 뒷면에는 ‘어압(御押)’을 표시하고 둘로 나누어 우부는 해당 관원에게 주고 좌부는 대내에 간직하였다. 동병할 일이 있을 때 합부(合符)해 간모(奸謀)를 방지하는 일은 전과 같았다. 국왕이 밀부를 관원에게 내릴 때 함께 내리는 유서는 그 관원에게...
- 유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임종하기 전에 가족들에게 남기는 글. [내용] 자필로 작성하는 것이 기본이나 때로는 말한 것을 가족이 받아 적는 경우도 있다. 어느 경우이든 유서자의 서압(署押:수결)이 필요하였다. 그 내용에는 유서를 작성하게 된 동기, 죽은 뒤...
- 유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영역에 걸친 많은 서적으로부터 고실(故實)‧시문(詩文) 등의 사항을 유별(類別) 또는 자별(字別)로 분류, 편찬하여 검색하기에 편리하게 만든 서적이다. 유별로 분류한 유서에는 두 가지가 있다. 하나는 각 유(類)를 모두 수록한 유서이며, 다른 하나는 어떤 특정한...
단행본(3)
- 일제시기대만현대문학사전 [중국내 한국학 정착을 위한 선택과 집중의 한국학교육연구시스템 구축 -이문화(異文化)간 상호 교섭과 인식의 한국학 정립 | 中國海洋大學 (OCEAN UNIVERSITY OF CHINA)]저자 : 柳书琴 ... | 출판사 : 聯經出版社 | 출판일 : 201906유형단행본일본 식민지 시기 대만 현대문학의 주요 작가, 작품, 문학매체, 문학단체, 주요문학활동 등 항목을 중심으로 문학연구자들의 연구에 도움을 주려고 편찬한 공구서. 특히 일제 식민지 시기 식민 종주국 일본과 일본의 식민지였던 대만, 조선, “만주국”등 지역에서 국경을 넘어 ...
- 한국 실전 고문헌 서발류 해제집 1 경부, 자부 [한국 고문헌의 지식계보학적 연구자원 구축 | 고려대학교]저자 : 심경호, 강순애, 윤재민, 정우봉... | 출판사 : 조은글터 | 출판일 : 2014.02.28분야생활 | 유형단행본藝術類 譜錄類 正音類 雜家類 類書類 法家類
- 규장각 소장 문집해설 (19세기) 1 [규장각 도서자료 연구사업(1단계) | 서울대학교]저자 : 노태돈(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장), 김인걸, 옥영정, 이영주, 이종묵, 정원재... | 출판사 : 민창문화사 | 출판일 : 2011.08.31분야문화‧생활 | 유형단행본伽山藁 嘉梧藁略 柯汀遺稿 可軒集 角亭老人遺書 簡窩漫筆 艮宇遺集 葛山集 憨笥收錄
고서·고문서(2,532)
- 劉恕 [세종시대 국가경영 문헌의 체계화 사업 -세종을 만든, 세종시대가 만든 문헌DB화 작업 | 여주대학교]宋名臣言行錄 後集 卷十四 劉恕 주희(朱熹), 이유무(李幼武) 43 劉恕 字道原筠州人試經義説書皆第一事神宗官至祕書丞道原少穎悟俊拔讀書過目即成誦年四歲坐客有言孔子無兄弟者道原應聲曰以其兄之子妻之一坐驚異【呂氏家塾記行状呂氏家塾記范太史撰墓碣】 皇祜初光爲貢院屬官時有詔士能講解經義者聽别奏名...서명宋名臣言行錄 | 저자주희(朱熹), 이유무(李幼武) | 자료문의여주대학교 박현모 교수
- 유서(遺書)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내용분류개인-유언-유서 | 형식분류고문서-치부기록류-유서 | 현소장처광주 기곡 광주안씨 순암 종가
- 游西池 [여유당전서 정본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ITKC_MP_0597A_0020 詩集 卷二 ITKC_MP_0597A_0020_010_1060 游西池 정약용(丁若鏞) 詩類|詩類 여유당전서 定本 與猶堂全書 2012 다산학술문화재단 http://db.itkc.or.kr/inLink?...권차명詩集 卷二 | 문체詩類|詩類 | 저자정약용(丁若鏞, 1762 ~ 1836) | 자료문의다산학술문화재단(http://www.tasan.or.kr )
- 重游西池 [여유당전서 정본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ITKC_MP_0597A_0020 詩集 卷二 ITKC_MP_0597A_0020_010_1070 重游西池 정약용(丁若鏞) 詩類|詩類 여유당전서 定本 與猶堂全書 2012 다산학술문화재단 http://db.itkc.or.kr/inLink...권차명詩集 卷二 | 문체詩類|詩類 | 저자정약용(丁若鏞, 1762 ~ 1836) | 자료문의다산학술문화재단(http://www.tasan.or.kr )
- 계묘년 유서(遺書)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내용분류개인-유언-유서 | 형식분류고문서-치부기록류-유서 | 현소장처안동 천전 의성김씨
구술자료(13)
- 이서구의 유서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앞 이야기에 이어서 계속했다. 고령인 탓으로 발음이 불분명했다. *조사일시1984-07-22 | 조사장소경상남도 하동군 횡천면 | 제보자정경갑
- 소강절의 유서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조사자가 채록하는 도중에 들어와 우성원씨의 이야기를 관심있게 듣고 있었다. 이야기가 끝나자 우성원씨가 제보자에게 권하니 생각나면 한다고 했다가 잠시 후 서슴없이 구연에 응해 주었다. 이야기를 하는 자세는 끊임없이 이어지는 몸짓으로 산만하게 느껴졌다.*조사일시1985-04-27 | 조사장소전라북도 정읍군 입암면 | 제보자하상록
- 유서애의 형 겸암선생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제보자가 유서애를 부정적으로 평가하기에 '보통 역사에서는 긍정적인 평가를 받은 인물인데 그렇지 않다면 듣고 싶다'고 했더니 녹음을 못하게 하면서 구연을 시작했다.*조사일시1981-10-17 | 조사장소경상북도 상주군 청리면 원장2리 | 제보자이기환
- 아들 재치로 풀어낸 유서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앞서 서동석 제보자가 이야기를 하는 동안 제보자는 종이에 글씨를 쓰고 있었다. 제보자는 다시 조사자들의 시간을 빼앗아서 미안하 다고 했다. 그러면서 ‘이런 글이 있어’ 라고 종이를 보여주며 이야기를 시작했다. #1청중 - 박채규조사일시2010.02.26 | 조사장소전남 광양시 옥룡면 운평리 상평마을 옥룡면사무소 | 제보자장한종
- 8대손(八代孫)을 살린 유서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새마을 노래’로 청중의 관심을 집중시킨 제보자가 흥이 나서 “옛날 이야기도 담아가나?”며 다음 이야기를 구연했다. ‘죄는 죄값을 받는다.’가 이 야기의 주제라고 했다.조사일시2009. 6. 22(월) | 조사장소경상북도 청도군 각북면 남산 1리 289번지 노인회관 | 제보자이창환
기초학문(11)
- 한국 類書의 종합적 연구 ---중국 유서와 비교 관점에서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게재일 : 200337936 한국연구재단 한국중어중문학회 외1 2003 한국 類書의 종합적 연구 ---중국 유서와 비교 관점에서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유형논문 | 게재일2003
- 한국 類書의 종합적 연구(Ⅱ)―한국 유서의 간행 및 특색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최환, 게재일 : 200312973 최환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중어중문학회 2003 한국 類書의 종합적 연구(Ⅱ)―한국 유서의 간행 및 특색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FRBR&me유형논문 | 게재일2003
- 梵網經 異本을 통한 고려대장경과 돈황 유서 비교 연구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조은수, 게재일 : 200942290 조은수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보조사상연구원 2009 梵網經 異本을 통한 고려대장경과 돈황 유서 비교 연구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유형논문 | 게재일2009
- 類書 번역본의 출현과 그 어문학적 의의: 국문본 彙言의 자료적 가치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양승민, 게재일 : 200540699 양승민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학중앙연구원 2005 類書 번역본의 출현과 그 어문학적 의의: 국문본 彙言의 자료적 가치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유형논문 | 게재일2005
- 조선시대 사대부 남성 유서의 사회문화적 기능과 의미 탐색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이홍식, 게재일 : 201761164 이홍식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근역한문학회 2017 조선시대 사대부 남성 유서의 사회문화적 기능과 의미 탐색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유형논문 | 게재일2017
신문·잡지(179)
- 李氏遺書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젼 군부대신리용익씨가 아라 츄풀등디에셔 신고말은 이왕긔얏거니와 리씨가 림죵시에 유셔지여 그손 리죵호씨에게보엿다 의들은즉 가 국가위야 쳔신만고의 풍상을 무릅쓰고 임군을 셤긴지 우금 이십여년에 소인의 시긔을입어 업은 한가지도 일우지못고 이졔...게재일1907년 3월 13일 | 기사분류잡보
- 洪氏遺書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홍참판 만식씨 슌졀 에 그죵 민참판 졍식씨에게 편지글에얏스되 통곡통곡 슯흐다 하날이여 엇지참아 이러야 삼쳔리 의리닙은나라으로 바다 밥난다난션 잇단말을 듯지못얏고 오년 죵샤의 오무로 나라일에 쥭난신하 보지못고 렬셩죠작셩양압신 덕화가 이에 근쳣난...게재일1906년 1월 22일 | 기사분류잡보
- 遺書飜譯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우에말바 민공의유셔 자에번역노라 오호라 나라의 슈치와 인민의 욕됨이 이디경이되야 우리인민이 쟝 살기 경쟝난 가온셔 소멸지라 대뎌 살기 요구난쟈난 반다시 쥭난거시오 쥭기긔약난쟈난 사난거슬엇난거슨 졔공인들엇지 몰으리오 영환은 한갓한번쥭어우러러 황은을갑...게재일1905년 12월 1일 | 기사분류잡보
- 山林遺書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슌졀 옥쳔산림 송병션씨가 림죵시에 젼국인민에게 보이노라고 유셔 두엇 그 젼문을 강번역노라 병션은 쵸야에뭇친사이라 문을닷고 글만닑고 분의만직희고 셰상의 셩쇠 오작 공의손만 르더니 지금 나라이망에 닐으고 인민이 다쥭날을당야 임의 능히 셰상을위...게재일1906년 2월 3일 | 기사분류잡보
- 閔公遺書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슌졀 민보국 시톄 본가로옴겨 슈시난 의복이에 유셔여러봉이 잇난 각국공관에 보닌글이 각각잇고 젼국인민에게 샤례글이 잇더라더라게재일1905년 12월 1일 | 기사분류잡보
멀티미디어(60)
- 세계 10주차. 17-19세기의 경세서(經世書), 새로운 국가를 기획하다 11주차. 족보(族譜)의 유래와 형식 12주차. 유서(類書), 전근대의 백과사전 황재문 (대표) 교수 1. 학력 서울대학교 국어국문학과 졸업(학사) 서울대학교 국어국문학과 졸업(석사) 서울강좌제목규장각과 책의 문화사 | 강의자황재문 (대표) 교수
- 세계 10주차. 17-19세기의 경세서(經世書), 새로운 국가를 기획하다 11주차. 족보(族譜)의 유래와 형식 12주차. 유서(類書), 전근대의 백과사전 황재문 (대표) 교수 1. 학력 서울대학교 국어국문학과 졸업(학사) 서울대학교 국어국문학과 졸업(석사) 서울강좌제목규장각과 책의 문화사 | 강의자황재문 (대표) 교수
- 세계 10주차. 17-19세기의 경세서(經世書), 새로운 국가를 기획하다 11주차. 족보(族譜)의 유래와 형식 12주차. 유서(類書), 전근대의 백과사전 황재문 (대표) 교수 1. 학력 서울대학교 국어국문학과 졸업(학사) 서울대학교 국어국문학과 졸업(석사) 서울강좌제목규장각과 책의 문화사 | 강의자황재문 (대표) 교수
- 세계 10주차. 17-19세기의 경세서(經世書), 새로운 국가를 기획하다 11주차. 족보(族譜)의 유래와 형식 12주차. 유서(類書), 전근대의 백과사전 황재문 (대표) 교수 1. 학력 서울대학교 국어국문학과 졸업(학사) 서울대학교 국어국문학과 졸업(석사) 서울강좌제목규장각과 책의 문화사 | 강의자황재문 (대표) 교수
- 세계 10주차. 17-19세기의 경세서(經世書), 새로운 국가를 기획하다 11주차. 족보(族譜)의 유래와 형식 12주차. 유서(類書), 전근대의 백과사전 황재문 (대표) 교수 1. 학력 서울대학교 국어국문학과 졸업(학사) 서울대학교 국어국문학과 졸업(석사) 서울강좌제목규장각과 책의 문화사 | 강의자황재문 (대표) 교수
연구결과보고서(1)
- 조선시대 유서(類書) 기반 지식 DB 및 지식지도 구축 [조선시대 유서(類書) 기반 지식 DB 및 지식지도 구축 | 고려대학교]자료유형연구보고서
기타자료(36)
- 박유서;朴有緖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041822 남한 경성 경기공립중학교 경기공립중학교동창회 회원명부 1940―12 48면 ㅁ1. 회원명부;ㅁ1) 보통회원(갑종);ㅁ(32) 제30회 142명(1934년 3월 졸업) 박유서;朴有緖 (주소 및...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경기공립중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박유서;朴有緖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096367 남한 경성 경기공립중학교 경기공립중학교동창회 회원명부(1940/12) 1940 48면 (32) 제30회 142명(1934년 3월 졸업) 박유서;朴有緖 경성부 관훈정 197-10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경기공립중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유서진;柳瑞鎭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075778 남한 전북 전주농업학교 2-42 20周年 紀念寫眞帖 1930―04 6면 유서진;柳瑞鎭 장수군 長水面 下碑里 52 제7회 1918년학교소재지역전북 | 학교명전주농업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유강수(구 유서■);柳康秀(구 柳瑞■)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074325 남한 전북 전주농업학교 2-42 회원씨명부 1942―12―10 25면 유강수(구 유서■);柳康秀(구 柳瑞■) 제7회 1918년학교소재지역전북 | 학교명전주농업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의무교육재정평형교부금법안및제안이유서 [한국 현대교육사 사료 집성 | 서울교육대학교]의무교육재정평형교부금법안및제안이유서 의무교육재정평형교부금법안및제안이유서 교육 문헌 교육법령 법령안 교육기회확대 의무교육범주1교육법령 | 형식문서 | 사료철명교육위원회 회의서류철
연구과제(7)
-
조선시대 유서(類書) 기반 지식 DB 및 지식지도 구축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사업 | 박종천 | 고려대학교 | 2016 | 국내 | 서울
-
발신자로서 한국어문학의 심화와 확산
K학술 확산연구소사업 | 정승철 | 서울대학교 | 2021 | 국내 | 서울
-
조선시대 직업사전 편찬 및 DB구축 사업
한국학 국영문 사전 편찬사업 | 강문종 | 제주대학교 | 2022 | 국내 | 제주
-
미국 수도에서의 한국학 글로벌 교류와 포용성 강화
해외한국학 중핵대학 육성사업 | 김지수 | George Washington University | 2021 | 국외 | 해외
-
중국 내 최고 수준의 '인문한국학' 교육연구모델 개발 및 시스템 구축
해외한국학 중핵대학 육성사업 | 윤해연 | 南京大學 (Nanjing University) | 2013 | 국외 | 해외
주제어사전(91)
-
유서 / 諭書 [정치·법제/법제·행정]
왕이 지방으로 부임하는 관찰사 등 관원에게 내리는 비밀 문서. 밀부제(密符制)를 실시한 까닭은 관찰사(觀察使)·절도사(節度使)·방어사(防禦使)·유수(留守) 등의 군사권을 가진 관원들이 왕명없이 마음대로 동병할 수 없게 하기 위해서였다.
-
유서석록 / 遊瑞石錄 [문학/한문학]
조선조 선조 때에 고경명(高敬命)이 지은 무등산 기행문. 순한문으로 기술되어 있다. 원문은 그의 문집인 『제봉집(霽峰集)』에 수록되어 있다. 「유서석록」의 제목에서 ‘서석’은 광주(光州)의 옛 이름이다. 이 글은 1574년(선조 7) 초여름에 친구들과 함께 증심사(證
-
유서필지 / 儒胥必知 [언론·출판/출판]
자부(子部) - 유서류(類書類) 편자미상, 목판본, 1권 1책(부록, 吏讀彙編 8장 포함, 합 56장). 목민관, 이서, 일반 백성이 다루어야 할 상언(上言) 등 7종의 공문 서식과 여기에 쓰이는 이두(吏讀) 등을 해설한 공문 지침서이다.
-
임하유서 / 林下遺書 [문학/고전시가]
작자 미상의 동학가사(東學歌辭). 분량은 2율각 1구로 159구이며, 율조는 4·4조가 주를 이루고 있으나, 귀글체가 파괴되어 난삽하다. 1935년 10월시천교당(侍天敎堂)에서 발행하던 용천검사(社)의 잡지 『룡쳔검』 제29호에 실려 있다. 이본으로 경상북도 상주의 동
-
김성일유서 / 金誠一諭書 [역사/조선시대사]
1592년 문신·학자 김성일을 경상우도 병마절도사 등의 관직에 제수한 교서. 종가유물. 이 유서는 1592년(선조 25)에 선조가 경상우도 병마절도사가 된 김성일에게 내린 문서이다. 1987년 3월 7일에 보물 제906호로 지정된 김성일 종가 고문서 일괄 17종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