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유상운” 에 대한 검색결과 216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215)

사전(32)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1636(인조 14)∼1707(숙종 33). 조선 후기의 문신. [개설] 본관은 문화(文化). 자는 유구(悠久), 호는 약재(約齋) 또는 누실(陋室). 몽익(夢翼)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준(浚)이고, 아버지는 좌랑 성오(誠吾)이며, 어...
    이칭별칭 유구(悠久)| 약재(約齋), 누실(陋室)| 충간(忠簡)
  • 유구징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 정승) ()이 그를 한번 만나기를 청하였으나 이에 응하지 않아 도리어 칭찬을 들었다. 4읍의 수령을 역임할 때 한결같이 멸사봉공(滅私奉公 : 사사로움을 버리고 공적인 것을 앞세움)의 자세로 임하여 치적이 많았다. 그뒤 관계와 인연을 끊고 빈부득실(...
    이칭별칭 중구(仲久)
  • 유봉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1654(효종 5)∼1699(숙종 25). 조선 후기의 문신. [내용] 본관은 문화(文化). 자는 계휴(季休). 준(浚)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성오(誠吳)이고, 아버지는 영의정 상운(尙運)이며, 어머니는 이행원(李行遠)의 딸이다. 좌의정...
    이칭별칭 계휴(季休)
  • 유봉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1659(효종 10)∼1727(영조 3). 조선 후기의 문신. [개설] 본관은 문화(文化). 자는 계창(季昌), 호는 만암(晩菴). 속(洬)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형조정랑 성오(誠吾)이고, 아버지는 영의정 상운(尙運)이며, 어머니는 이행...
    이칭별칭 계창(季昌)| 만암(晩菴)| 충정(忠靖)
  • 영팔정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호 [역사적 변천] 전라도 관찰사 유관이 이곳에 정착하면서 그의 아들 맹문(孟聞)에게 명하여 1406년(태종 6)에 건립하였는데, 그후 여러 차례 중‧개수가 이루어지다가 현재 규모로 중창된 것은 1689년(숙종 15) 영의정을 지냈던 ()에 의...
    이칭별칭모정(茅亭) | 연계항목영팔정(詠八亭)

고서·고문서(181)

  • 1899년 이생원댁(李生員宅) 종중(宗中) 배지(牌旨)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
    내용분류경제-매매/교역-배지 | 형식분류고문서-명문문기류-배지 | 현소장처안산 부곡 진주유씨 경성당
  • 46606 B046606 대정현 大靜縣 정치행정 承政院日記 肅宗 28年 5月 15日_005 ○禁府, 南九萬 牙山縣, 稷山縣, 中途付處。 吳始復, 大靜縣絶島, 圍籬安置。 啓。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65326 B065326 도중 島中 도서 일반 承政院日記 肅宗 24年 9月 20日_024 ○所啓, 新銀行用事, 曾因東萊府使狀啓, 使之受書契於島中矣。 今則馬島 ...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지역분류일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65471 B065471 도중 島中 도서 일반 承政院日記 肅宗 24年 9月 20日_024 ○所啓, 新銀行用事, 曾因東萊府使狀啓, 使之受書契於島中矣。 今則馬島 ...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지역분류일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72529 B072529 동래 東萊 정치행정 承政院日記 肅宗 24年 9月 20日_024 ○所啓, 新銀行用事, 曾因東萊府使狀啓, 使之受書契於島中矣。 今則馬島 ...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기타자료(2)

  • ;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050115 남한 경남 부산제이상업학교 2-30 金蓮 19호 25주년특집호 1935―02―03 212면 ; 제14회
    학교소재지역경남 | 학교명부산제이상업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邦光淸平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051023 남한 경남 부산제이상업학교 2-30 同窓會名簿 1941―12―28 42면 ;;邦光淸平 사천군 삼천포 조선상업은행지점 제14회 1927년 3월
    학교소재지역경남 | 학교명부산제이상업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주제어사전(1)

  • / [종교·철학/유학]

    1636(인조 14)∼1707(숙종 33). 조선 후기의 문신. 몽익 증손, 할아버지는 준, 아버지는 성오, 어머니는 박동량의 딸이다. 1666년 별시 문과에 병과로 급제해 승정원주서, 평안도관찰사, 형조판서, 영의정 등을 역임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