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유상기” 에 대한 검색결과 94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92)

사전(13)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1651(효종 2)∼1718(숙종 44). 조선 후기의 문신. [내용] 본관은 기계(杞溪). 자는 공좌(公佐), 호는 기초재(祈招齋). 참봉(參奉) 양증(養曾)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이조참판 계(棨)이며, 아버지는 이조정랑 명윤(命胤)이...
    이칭별칭 공좌(公佐)| 기초재(祈招齋)
  • 포계 [옛 편지 낱말사전 | 한림대학교]
    匏係窮巷 與病爲隣 萬事都廢 先伯氏.筵尙未.哭 此其一證也, (), 37-100
    분야문화‧생활 | 유형문헌
  • 계사왕복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조선 후기의 학자 ()의 서간집. [내용] 불분권 1책. 목판본. 할아버지 계(棨)의 저술인 『가례원류(家禮源流)』를 간행하는 과정에서 당시 소론 재상 윤증(尹拯)과 의견이 맞지 않아 서신을 왕복하면서 의견을 조절한 내용이다....
  • 단혈지모 [옛 편지 낱말사전 | 한림대학교]
    日 第其.姿雅儀 看看奇愛 可認其鄧林之材 丹穴之毛 而但其劣嬌之..蔑敎 竊愧爲其對., 유교희(柳敎熙), 40-182
    분야문화‧생활 | 유형문헌
  • 등림지재 [옛 편지 낱말사전 | 한림대학교]
    팡이가 등림이라는 수천 리에 이르는 거대한 숲이 되었다고 함. 允郞日 第其.姿雅儀 看看奇愛 可認其鄧林之材 丹穴之毛 而但其劣嬌之..蔑敎 竊愧爲其對., 유교희(柳敎熙), 40-182
    분야문화‧생활 | 유형문헌

고서·고문서(69)

구술자료(1)

  • , 폐광. 거기 우리 소조 나가서 한번 잠복한 적이 있어. 그러믄 거기에는 우리 책임위원 동지 누이동생이 그 근방에 살아요. 거기 우리 지하 조직선이었었어. 그래 거기 잠복하면서 낮에는 그 들에서 일하는 사람 밥 나눠주고 있잖여. 그거 해가지고 갖다 주고잉, 근
    조사지역인천 | 조사일2013년 8월 1일

신문·잡지(4)

  •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젼외부대신 유긔환씨 신병으로 오신고 더니 작일에 셰상을 바렷다더라 씨가 환로에 츌입이후에 외부대신의 직무를 마니 정엿데 경우가 분명고 마암이 굿건야 외국공령와 교셥데 신의도 일치아니고 무도 위험△을 피치아니 지라 고로 신병으로 직 이후...
    게재일1902년 8월 27일 | 기사분류잡보
  • 41 비밀협의전의 간첩전 2 견축 42 전형을 틀어쥐고 사업을 지도하였다 , 리설송 47 펜타곤의...
    발행국가중국 | 발행연도1991
  • ○○지구 당 단체 및 유격대 사회단체에서는 합동기념보고대회를 지난 8월 14일 ○○거점에서 성대히 거행하였다. 대회는 강봉기 지구책 및 유옥윤 지구사령관을 비롯한 주석단이 우뢰같은 박수 환영 속에 등장하자 정치위원 동무의 개회 선언으로부터 시작되었으며 김일성...
    대표표제어백운로동신문_1951_0901_02
  • 리 김병열 101 교권 101 바람직한 교육자상 이강로 102 학부모가 보...
    발행국가한국 | 발행연도1970

기타자료(5)

  • ;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005313 남한 경성 보성전문학교 1-30 보성전문학교일람 1931 95면 1. 제12. 졸업생;41) 상과 제6회 졸업생 (1928년 3월 (19일) 23인 ; 익산군 益山面 裡里...
    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보성전문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007146 남한 경성 보성전문학교 1-30 보성전문학교일람 1937 93면 2. 제8. 졸업자;41) 상과 23인 (1928년 3월 (19일) ; (원적)전북
    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보성전문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074082 남한 전북 전주농업학교 2-42 회원씨명부 1942―12―10 8면 ; 제1회 1912년
    학교소재지역전북 | 학교명전주농업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075512 남한 전북 전주농업학교 2-42 20周年 紀念寫眞帖 1930―04 1면 ; 전남 光州郡 光州面 제1회 1912년
    학교소재지역전북 | 학교명전주농업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교육 현장은 말한다) 진실한 대화, 솔선 수범하는 학교행정 [한국 현대교육사 사료 집성 | 서울교육대학교]
    잡지 1996 8 교육월보 176호 교육부 ...
    범주1교육총류 | 형식잡지 | 한글저자유상기 | 사료철명교육월보

주제어사전(2)

  • / [종교·철학/유학]

    1651(효종 2)∼1718(숙종 44). 조선 후기의 문신. 양증 증손, 할아버지는 계, 아버지는 명윤이다. 송시열의 문하에서 수학하였다. 할아버지 계의 저서인『가례원류』를 간행할 때에, 스승 송시열을 등지고 당쟁을 조장하였다고 윤증을 공격한 정호의 발문으로 소론의

  • 계사왕복서 / 癸巳往復書 [종교·철학/유학]

    조선후기 학자 와 소론의 재상 윤증이 주고받은 편지를 모아 1718년에 간행한 서간집. 불분권 1책. 목판본. 할아버지 계(棨)의 저술인 『가례원류(家禮源流)』를 간행하는 과정에서 ()와 당시 소론 재상 윤증(尹拯)의 의견이 맞지 않아 서신을 왕복하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