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유분전” 에 대한 검색결과 총 13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 연관검색어
- 저포전
연구성과물(11)
사전(8)
- 유분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1개의 시전이 이에 해당되었다. 한편, 유분전 가운데서 국역을 가장 많이 부담하는 시전 6개를 추려서 육의전(六矣廛)이라 하였으며, 가난한 시전은 무분전(無分廛)이라 하여 국역을 부담하지 않았다. →무분전, 육주비전 『태종실록(太宗實錄)』 ...이칭별칭유분각전
- 무분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조선시대의 시전(市廛) 중 국역(國役)부담의 의무가 없던 전. [내용] 무분각전(無分各廛)이라고도 한다. 조선 정부는 육의전(六矣廛)을 비롯한 유분전(有分廛)에는 각기 10분(分)에서 1분에 이르는 응분의 국역을 부담하게 하였던 반면,이칭별칭무분각전(無分各廛)
- 저포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디까지나 세포만을 취급하였으며, 삼베는 육의전이 아닌 유분전(有分廛)인 포전(布廛)에서 취급, 판매하여 구별되었다. 봉건시대에 의료생산의 주역은 여성이었으며, 모시[苧]와 삼베[麻]생산은 재배로부터 제사(製絲)와 직조에 이르기까지 여성노동에 의존한 바 컸다. 이...
- 장목전(長木廛)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전(有分廛)이었고, 외장목전은 분역이 없는 무분전(無分廛)이었다. 이들 시전은 뚝섬 등지에 집하되는 목재를 사거나, 집을 헐면서 나오는 목재를 사서 판매하였다[『영조실록』 6년 10월 11일]. 시전에는 정부에 대해 일정한 역(役)을 지고 있던 유분전과 역을 지지...상위어시전(市廛) | 동의어내장목전(內長木廛), 외장목전(外長木廛) | 관련어외도고(外都庫), 목사(木商)
- 면주전(綿紬廛)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면주전 면주전 綿紬廛 시전(市廛) 육의전(六矣廛), 금난전권(禁難廛權), 통공정책(通共政策), 유분전(有分廛) 경제산업/상업·무역|경제/재정/공물·진상|왕실/왕실문화 집단 기구 대한민국 조선 조선 최주희상위어시전(市廛) | 관련어육의전(六矣廛), 금난전권(禁難廛權), 통공정책(通共政策), 유분전(有分廛)
고서·고문서(3)
- 子張問崇德辨惑。子曰:“主忠信,徙義,崇德也。愛之欲其生,惡之欲其死。旣欲其生,又欲其死,是惑也。誠不以富,亦祇以異。”【〈小雅〉,誠作成】 [여유당전서 정본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足以得富,適以此自異於人。” ○邢云:“引《詩》斷章,故不與本義同。”】 ○補曰 取斂之政,誠不足以致富,適足以違先王之定制,而見異於百姓也。 包曰:“愛惡當有常。一欲生之,一欲死之,是心惑也。” ○駁曰 非也。人之於人,旣愛之欲生,又惡之欲死,有是理乎?歷數天下萬事,惟分田重斂,可當此目。除此一事...권차명論語古今注 卷六 | 문체雜著類|論說類 | 저자정약용(丁若鏞, 1762 ~ 1836) | 자료문의다산학술문화재단(http://www.tasan.or.kr )
- 7 [第]七統統首安國賢 [울산호적의 기초조사 및 전산화 (2단계) | 울산대학교]生崔震崗本慶州婢愛分三所生婢龍德年肆拾壹己亥同婢一所生 婢太月年貳拾壹己未二所生婢太今年拾捌壬戌三所生婢太守年拾參丁卯等四口時居長只買得婢 有分前逃亡奴愛尙良産一所生婢同今時居東萊等丙子戶口相准 第二戶 幼學蔣必恒年伍拾肆丙戌本牙山父通德郞載華祖學生弘芳曾祖通德郞世英外祖將仕郞 金鑺本金海妻鄭氏年...연도_면이름1759년_유포면(柳浦面) | 면이름유포면(柳浦面) | 마을이름第四達洞坊
- 歷代兵要 卷第六 [세종시대 국가경영 문헌의 체계화 사업 -세종을 만든, 세종시대가 만든 문헌DB화 작업 | 여주대학교])聞之救淮泗諸郡若魏寇小至則各堅守大至則拔民歸壽陽邊戌偵候不明(偵候謂覘而伺候之也)魏主自將步騎十萬奄至南頓(南頓郡名)潁川太守並棄城走陳憲守懸瓠城中戰士不滿千人魏主圍之晝夜攻懸瓠憲督厲將士若戰積尸與城等魏人乘尸上城短兵相接憲銃氣愈奮戰士無不一當百殺傷萬計城中死者亦過半魏主攻懸瓠四十二日帝遣臧質救懸...서명歷代兵要 | 저자정인지(鄭麟趾)‧유효통(兪孝通)‧이석형(李石亨) | 자료문의여주대학교 박현모 교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