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유범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45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42)
사전(13)
- 호곡집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조선 후기의 학자 유범휴(柳範休)의 시문집. [내용] 14권 7책. 목판본. 1900년에 간행되었고, 서문과 발문은 없다. 규장각 도서에 있다. 권1에 시‧서(書), 권2∼7에 서(書), 권8‧9에 잡저, 권10에 서(序)‧기(記...
- 유범휴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1744(영조 20)∼1823(순조 23). 조선 후기의 문신‧학자. [개설] 안동 출신. 본관은 전주(全州). 자는 천서(天瑞), 호는 호곡(壺谷). 공조참의 유승현(柳升鉉)의 손자이다. 아버지는 참봉 유도원(柳道源)이며, ...이칭별칭 천서(天瑞)| 호곡(壺谷)
- 만취동일고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다. 스승 김종덕과 왕복한 별지는 『논어』의 예지용화위귀(禮之用和爲貴)ㆍ불천노(不遷怒)ㆍ지자요수(智者樂水)ㆍ인자요산(仁者樂山) 등 9항목에 대한 문답이고, 유범휴(柳範休)에게 보낸 별지는 자재천상장(子在川上章) 주(註)의 도체(道體)와 위체(爲體)의 두 체(體)자에 대...
- 유정문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유범휴(柳範休)이며, 어머니는 의성김씨로 김강한(金江漢)의 딸이다. [생애] 할아버지 유도원(柳道源)과 아버지 유범휴로부터 가학을 계승하였다. 유도원‧유범휴 부자는 이상정(李象靖)의 문인으로 당시 안동 유림을 대표하는 학자들이었다. 아버지가 서울로 벼슬살...이칭별칭 이중(耳仲)| 수정재(壽靜齋)|제문(齊文)
- 송계선사문집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이 책은 문손(門孫) 일행(一行)이 편록하였으며, 1822년(순조 22) 광흥사(廣興寺) 극락암(極樂庵)에서 간행하였다. 책의 첫머리에는 1821년(순조 21) 유범휴(柳範休)가 쓴 서문이 있다. 책의 맨끝에는 1822년 윤3월 문손 전홍(展鴻)이 기록한 송계화...
고서·고문서(29)
- 기유년 유범휴(柳範休) 간찰(簡札)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내용분류개인-생활-서간 | 형식분류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현소장처안동 천전 의성김씨
- 기미년 유범휴(柳範休) 간찰(簡札)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내용분류개인-생활-서간 | 형식분류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현소장처구미 옥산 인동장씨 여헌 종택
- 1802년 유범휴(柳範休) 간찰(簡札)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내용분류개인-생활-서간 | 형식분류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현소장처구미 옥산 인동장씨 여헌 종택
- 1802년 유범휴(柳範休) 간찰(簡札)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내용분류개인-생활-서간 | 형식분류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현소장처구미 옥산 인동장씨 여헌 종택
- 1801년 유범휴(柳範休) 간찰(簡札)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내용분류개인-생활-서간 | 형식분류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현소장처구미 옥산 인동장씨 여헌 종택
주제어사전(3)
-
유범휴 / 柳範休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문신(1744∼1823). 1780년(정조 4) 생원이 되었고, 1785년(정조 9) 천거로 태릉참봉에 임명되었다. 이후 의금부도사·안변부사 등을 역임했다. 저서로《반촌문답》·《호곡집》 등이 있다.
-
부훤당집 / 負暄堂集 [종교·철학/유학]
김해의 시문집. 4권 2책. 목판본. 1750년 무렵 편집된 것으로 보이나, 5세손 우량이 남은 저술을 한 질로 만들고, 6세손인 현규에 의해 간행되었다. 권두에 류범휴의 서문이 있으며, 발문은 없다. 권1과 권2는 모두 시로 구성되어 있다. 권3에는 소 3편, 서
-
신야집 / 新野集 [종교·철학/유학]
이인행의 문집. 목판본. 14권 7책. 권1~2는 시를 수록, 권3에는 서연강의를 수록, 권3~4에 채제공, 류범휴, 류낙휴, 김희락, 김희주, 정약용 등과 주고받은 편지를 수록하였다. 권5는 잡저‧서, 권6은 기‧식‧발‧잠‧명‧상량문‧애사, 권7에는 축문‧제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