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유문통” 에 대한 검색결과 총 8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7)
사전(5)
- 유문통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1438(세종 20)∼1498(연산군 4). 조선 전기의 문신. [개설] 본관은 진주(晋州). 자는 관지(貫之), 호는 괴정(槐亭). 광보(光甫)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의(依)이고, 아버지는 공조판서 종식(宗植)이며, 어머니는 안동권씨(...이칭별칭 관지(貫之)| 괴정(槐亭)
- 柳文通 [조선시대 유서(類書) 기반 지식 DB 및 지식지도 구축 | 고려대학교]TD_L14_D_0098 柳文通 인물 光廟 晉州 貫之, 槐亭 D_01_01_74 대동운부군옥 1권 1장 74절출전대동운부군옥 | 수록위치1권 1장 74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 유인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1463(세조 9)∼1531(중종 26). 조선 중기의 문신. [내용] 본관은 진주(晉州). 자는 자영(子榮), 호는 수재(睡齋). 의(依)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종식(宗植)이고, 아버지는 문통(文通)이며, 어머니는 이추(李抽)의 딸이다...이칭별칭 자영(子榮)| 수재(睡齋)
- 통형병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몸체가 원통형이고 목과 입이 작은, 술을 담아 따르는 술병. [내용] 고려시대부터 조선시대까지 널리 만들어졌는데, 국립중앙박물관 소장의 고려시대 청자철화유문통형병(靑瓷鐵畫柳文筒形甁)의 버드나무 무늬는 통형의 몸체와 잘 어울리는 대표적인
- 사한림유고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조선 전기의 문신 유문통(柳文通) 및 그의 아들 형제와 손자 등 3대 4인의 시문집. [편찬/발간 경위] 1637년(인조 15) 유문통의 5대손 유흥도(柳興道)가 유고를 수집한 것을 12대손 유영건(柳榮建)이 편집‧간행하였다...
고서·고문서(2)
- ○손자를 돌보며 당(堂)에서 잤다 [16세기 역사상의 재해석 :『묵재일기(默齋日記:1535〜1567)』교감(校勘) 및 역주(譯註) 사업 | 서울대학교]堂, 書李弘器空卷。○葺外籬。○隣人加隱石買漢之代鳩木爲幕云, 運木聲震。屢驚于此乃怒, 適見其人于路, 令奴敺之。○朴深以委差下來云, 暮來見。因聞“世子自七月得痢證, 八月向苦。不進膳四十餘日, 皮骨相連, 幽門洞泄, 九月十八日炁絶, 避接于承政院。十九日疾革而卒, 以廾日早卒啓達, 實則十九...자료문의서울대학교(연구책임자 : 정긍식 교수)
- 허백정집 [영남학파의 사유세계와 역사인식 -영남학파 문집 상세 해제 및 주요저작 번역- (2단계) | 한국국학진흥원]야기를 나눈 적이 있었는데, 지금 임광재가 찬한 嶺南紀行錄을 보니 옛날 꿈속에서 본 것과 같았다고 하였다. 送柳牧使文通赴任尙州序(1492) 55 司諫柳文通이 상주목사로 부임할 때 지은 送序. 유문통이 예전에 자신이 부모 봉양을 이유로 외직을 청하여 경주부윤으로 나갔던...분야문학 | 유형문헌
주제어사전(1)
-
유문통 / 柳文通 [종교·철학/유학]
1438(세종 20)∼1498(연산군 4). 조선 전기의 문신. 광보 증손, 할아버지는 의, 아버지는 종식, 어머니는 권우의 딸이다. 가학을 이어받았다. 1460년(세조 6) 별시문과에 을과 3등으로 급제하여 승문원 권지부정자에 제수되었으며, 예산현감, 이조정랑, 괴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