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유몽인” 에 대한 검색결과 145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32)

사전(99)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않고 도봉산 등에 은거하며 성안에 발을 들여놓지 않았다. 이리하여 1623년 인조반정 때 화를 면했으나 관직에서 물러나 방랑 생활을 하였다. 그 해 7월 현령 유응경(柳應泂)이 “이 광해군의 복위 음모를 꾸민다.”고 무고해 국문을 받았다. 마침내 역률(逆律...
    이칭별칭 응문(應文)| 어우당(於于堂), 간재(艮齋), 묵호자(默好子)| 의정(義貞)
  •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
    작자이자 주인공이다. 표훈사에서 병이 나 앓다가 나아 밤에남루에 오른다. 거기에서 견백주인(堅白主人), 청계도류(淸溪道流), 회계장장인(會稽張丈人), 무심과객(無心過客), 단관노선(丹冠老仙), 청빈일사(靑蘋+逸士), 지명정소극원원회태청태부인(至明正素極圓元晦太淸太夫人) ...
    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사(事)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事 인조반정(仁祖反正), 중북(中北), 불사이군(不事二君) 정치정치운영/정쟁·정론 사건 대한민국 조선 이기순 1624년(인조 2) (), 문회(文晦), 인...
    관련어인조반정(仁祖反正), 중북(中北), 불사이군(不事二君)
  • 제보개산사벽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1623년(인조 1) ()이 지은 한시. [구성 및 형식] 작자가 65세 때 경기도 용인의 보개산 절에서 지은 작품이다. 오언고시로 『어우집(於于集)』 권2에 수록되어 있다. 『대동시선(大東詩選)』 권3에는 ‘늙은...
  • 유약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1580(선조 13)∼1623(인조1). 조선 중기의 문신. [내용] 본관은 흥양(興陽). 자는 약이(瀹而). 충관(忠寬)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탱(樘)이고, 아버지는 예조참판 몽인(夢寅)이며, 어머니는 신식(申栻)의 딸이다. 1605년...
    이칭별칭 약이(?而)

고서·고문서(32)

멀티미디어(1)

  • 작품의 감상은 현대 한국어 번역문을 사용하여, 한문 독해력을 갖추지않아도수강하는데에무리가없도록하였다. 1주차. 이색과 권근 – 사대부의 나라,사대부의 문학 2주차. 강희맹과 김종직 – 교훈과 풍자의 글쓰기 3주차. – 고독한 개인의 비애와 자유 4주차. 허균

주제어사전(13)

  • / [종교·철학/유학]

    1559(명종 14)∼1623(인조 1). 조선 중기의 문신·설화 문학가. 의 증손, 할아버지는 충관, 아버지는 주부, 어머니는 민의의 딸이다. 성혼과 신호에게서 수학했으나 경박하다는 책망을 받고 쫓겨나 성혼과는 사이가 좋지 못하였다. 1589년 증광 문과에 장원 급

  • 홍도 / 紅桃 [문학/한문학]

    조선 후기에 ()이 지은 한문 단편소설. 작자의 설화집인 『어우야담(於于野譚)』에 실려 있다. 이 작품은 홍도라는 주인공의 신의와 전쟁으로 인한 한 가정의 수난을 중국과 우리나라를 배경으로 하여 그리고 있다. 임진왜란을 시대배경으로 하면서 남녀간의 애정을

  • 대가문회 / 大家文會 [문학/한문학]

    조선 중기에 ()이 엮은 고문선집(古文選集). 21권 11책. 목판본. 『대가문회』는 『좌전 左傳』(4권)·『국어 國語』(2권)·『전국책 戰國策』(2권)·『사기 史記』(3권)·『한서 漢書』(3권)·『한문 韓文』(4권)·『유문 柳文』(3권)으로 이루어져 있

  • 제보개산사벽 / 題寶蓋山寺壁 [문학/한문학]

    1623년(인조 1)()이 지은 한시. 작자가 65세 때 경기도 용인의 보개산 절에서 지은 작품이다. 오언고시로 『어우집(於于集)』 권2에 수록되어 있다. 『대동시선(大東詩選)』 권3에는 ‘늙은 과부(孀婦)’라는 제목으로 실려 있는데 본래 시의 제2연과 제

  • 떡보와 사신 / [문학/구비문학]

    記)』에 나타나며, 우리나라 문헌설화는 17세기 초의 ()의 『어우야담』과 19세기 말 이후의 문헌으로 보이는 『이언총림(俚諺叢林)』에 수록되어 있다. 전국적으로 전승되고 있으며, 서울·경기도·충청북도·경상북도·경상남도 등지에서 특히 많이 채록된 바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