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유마경” 에 대한 검색결과 73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71)

사전(40)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서로는 신라 원효(元曉)의 ≪종요 宗要≫ 1권과 ≪疏≫ 3권, 경흥(憬興)의 ≪무구칭경소 無垢稱經疏≫ 6권, 둔륜(遁倫)의 ≪요간 料簡≫ 1권이 있었다 하나 모두 현존하지 않는다. 佛典解說(李箕永, 韓國佛敎硏究院,...
  •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
    구마라습(Kumārajīva, 鳩摩羅什, 344-413)이 번역한 대승불교 경전.
    정의구마라습(Kumārajīva, 鳩摩羅什, 344-413)이 번역한 대승불교 경전.[두산백과] | 문광부표기Yuma gyeong | MR표기Yuma kyŏng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법명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생몰년 미상. 백제시대의 승려. [내용] 비구니. 655년(의자왕 15) 일본 대마도(對馬島)로 건너가서 내대신(內大臣) 겸자(鎌子)의 병을 고치기 위하여 오(吳)나라 음으로 『()』을 독송하여 그의 병을 고쳐주었다. 그 뒤
  • 정명경집해관중소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조선 초기에 간행된 『정명경』 주석서. [내용] 2권 1책. 목판본. 보물 제736호. 당나라의 도액(道液)이 주로 『주(注)』을 근거하여 주요내용을 가려 엮은 것이다. 『정명경』은 『』의 뜻을 번역한 이름이므로 ‘...
    연계항목정명경집해관중소(淨名經集解關中疏)
  • 이동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전주 봉서사(鳳棲寺)ㆍ쌍계사(雙溪寺) 등지에서 수행하였으며, 순천 흥국사(興國寺) 만일회(萬日會)에서 염불수행을 하였다. 『()』을 좋아하여 청하는 사람에게는 즐겨 필사하여 주었다. 『동사열전(東師列傳)』 ...
    이칭별칭 침산(枕山)

고서·고문서(8)

  • 사전 上 [사전 편찬 정보 통합 DB 구축 | 고려대학교]
    교육 개념용어 근현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자유주제 고려대학교 최호철 사전 上 인문학 불교학 기타불교학 사전 上 정암 지음 하늘북 서울 2009 ; 대승불교; 구마라습; 재가주...
    대표표제어維摩經사전 上 | 대분류인문학 | 중분류불교학 | 소분류기타불교학
  • 4824 중국 필기 손공담포 001 기타 孫公談圃 上 呂相端奉使髙麗 過洋祝之曰 囘日無虞 當以金書 爲謝 比囘 風濤輙作 遂取經沉之 聞絲竹之聲起于舟下 音韻淸越 非人間比 經沉隱隱而去 崔伯易在禮部 求奉使髙麗故實 遂得申公事 故楊康國錢勰皆冩此經往 豐...
    국가중국 | 서명손공담포 | 왕대기타  
  • 曰 莫祇這便是否 師曰 不勞讚歎 問 教中道是人先世罪業 應墮惡道 以今世人輕賤故 此意如何 師曰 動則應墮惡道 靜則為人輕賤[崇壽稠別云 心外有法 應墮惡道 守住自己 為人輕賤] 問 香積飯甚麼人得喫 師曰 須知得喫底人入口也須抉出 有僧在房內念經 師隔窓問 闍黎念者是甚麼經 僧曰 師曰...
    국가중국 | 서명오등회원 | 왕대기타  
  • 六騎徑詣渭水上與頡利隔水而語 [여유당전서 정본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
    幣贈。 長城南北各太平,瀚海無波天色定。 無端驅馬數萬匹,渭水ㆍ秦山來賭勝。 紅兜雲簇二酋營,羽箭星流雙闕徑。 龍旗豹纛策府陳,大國非無車萬乘。 飛龍九五日未久,爾謂朝廷驚眼瞪。 孤雛正合股掌玩,六師何煩金鼓應。 秋風高勒六轡來,渭川寒波。 金鞭橫睨大漠天,隔水胡營煙樹暝。 吾今問罪豈張皇,汝...
    권차명與猶堂全書補遺○眞珠船 | 문체詩類|詩類 | 저자정약용(丁若鏞, 1762 ~ 1836) | 자료문의다산학술문화재단(http://www.tasan.or.kr )
  • 自心定者至終 [성호전서 정본화 사업 | 한림대학교]
    kh_00032 문화‧생활 작품 조선 근사록질서(近思錄疾書) 卷四 自心定者至終 自心定者至終 이익(李瀷, 1681~1763) HCRT_4:7:1 “重”者, 發之遲, 旣發, 而又須舒緩. “輕疾”者反是. HCRT_4:7:2 《》云: “一大增損, 百一病生;
    서명근사록질서(近思錄疾書) | 저자이익(李瀷, 1681~1763) | 자료문의청명문화재단 태동고전연구소(www.chungmyung.org)

기초학문(8)

  • 玄疏』訳注研究(II)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 게재일 : 2009
    19959 한국연구재단 금강대학교 불교문화연구소 2009 『玄疏』訳注研究(II)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ory=ResearchP
    유형논문 | 게재일2009
  • 玄疏』訳註硏究(Ⅰ)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 게재일 : 2009
    21055 한국연구재단 금강대학교 불교문화연구소 2009 『玄疏』訳註硏究(Ⅰ)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ory=ResearchPa
    유형논문 | 게재일2009
  • 』 異譯本의 번역책략과 전승관계에 관한 몇 가지 검토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임병권, 게재일 : 2014
    53617 임병권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선학회 2014 『』 異譯本의 번역책략과 전승관계에 관한 몇 가지 검토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
    유형논문 | 게재일2014
  • 通相三觀の成立に關する一考察 ―智의の『』解釋との關連から―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 게재일 : 2009
    20170 한국연구재단 동아시아불교연구학회 2009 通相三觀の成立に關する一考察 ―智의の『』解釋との關連から―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
    유형논문 | 게재일2009
  • 중국의 『』해석 변천에 관한 일고찰 -수나라 3대법사의 ‘유마힐’해석을 중심으로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 게재일 : 2010
    18447 한국연구재단 대동철학회 2010 중국의 『』해석 변천에 관한 일고찰 -수나라 3대법사의 ‘유마힐’해석을 중심으로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
    유형논문 | 게재일2010

신문·잡지(15)

  •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지정주제 동국대학교 김천학 언론·출판 문헌 전근대 소(疏) 1 소 유통서지 疏 3 元曉 勝寶5 記載 奈良朝現在一切經疏目錄 권3-642 동아시...
    대표표제어유마경소(維摩經疏) 1 | 대표서명維摩經疏 | 한글서명유마경소 | 서지형태유통서지
  •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지정주제 동국대학교 김천학 언론·출판 문헌 전근대 소(疏) 2 소 유통서지 䟽 3卷 元曉 大日本古文書 753年(天平勝寶5) 正倉院 『大日...
    대표표제어유마경소(維摩經疏) 2 | 대표서명維摩經䟽 | 한글서명유마경소 | 서지형태유통서지
  • 약찬(略贊) [한국찬술 불교문헌의 확장형 서지 DB 및 디지털 지형도 제작 | 동국대학교]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지정주제 동국대학교 김천학 언론·출판 문헌 전근대 약찬(略贊) 略贊 약찬 유통서지 略贊 一帙五卷 行賀 一百五十紙 大小乘經律論記目錄(七寺古逸經典硏究叢...
    대표표제어유마경약찬(維摩經略贊) | 대표서명維摩經略贊 | 한글서명유마경약찬 | 서지형태유통서지
  • 요간(料簡) 1 [한국찬술 불교문헌의 확장형 서지 DB 및 디지털 지형도 제작 | 동국대학교]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지정주제 동국대학교 김천학 언론·출판 문헌 전근대 요간(料簡) 1 料簡 요간 유통서지 料簡 1 卌九紙 大小乘經律論記目錄(七寺古逸經典硏究叢書 第六卷, 1...
    대표표제어유마경요간(維摩經料簡) 1 | 대표서명維摩經料簡 | 한글서명유마경요간 | 서지형태유통서지
  • 요간(料簡) 2 [한국찬술 불교문헌의 확장형 서지 DB 및 디지털 지형도 제작 | 동국대학교]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지정주제 동국대학교 김천학 언론·출판 문헌 전근대 요간(料簡) 2 料簡 요간 유통서지 料簡 1卷 遁倫 佛典疏鈔目錄 卷上 大日本佛敎全書 p.196.
    대표표제어유마경요간(維摩經料簡) 2 | 대표서명維摩經料簡 | 한글서명유마경요간 | 서지형태유통서지

주제어사전(2)

  • / [종교·철학/불교]

    대승불교의 경전 가운데 하나. 구마라습과 지겸, 현장 등이 한역하였다. 그 가운데 구마라습이 번역한 <유마힐소설경>이 만히 읽혀지고 있다. 이 경은 공 사상에 바탕을 두고 보살행을 실천할 것을 중심 주제로 삼고 있다. 유마거사와 문수보살의 대화가 중심적인 내용으로 엮어

  • 김기추 / 金基秋 [종교·철학/불교]

    大義)의 요청으로 대전 심광사에 머물면서 《금강경》·《》을 강의하였고, 1972년 부산으로 거처를 옮겨 금정사(金井寺)에서 《금강경》을 강의하는 등 재가불자의 선수행포교(禪修行布敎)에 힘을 기울였다. 같은해 부산 남천동 산중턱에 보림선원(寶林禪院)을 설립하고, 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