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유득일” 에 대한 검색결과 총 111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09)
사전(22)
- 유득일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1650(효종 1)∼1712(숙종 38). 조선 후기의 문신. [개설] 본관은 창원(昌原). 자는 영숙(寧叔), 호는 귀와(歸窩). 정(淨)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여해(汝諧)이고, 아버지는 참판 창(琩)이며, 어머니는 예조참의 이척연(李...이칭별칭 영숙(寧叔)| 귀와(歸窩)
- 한염 [옛 편지 낱말사전 | 한림대학교]가뭄과 더위. 謹承問書 具審旱炎 令監旬履佳福 豈勝仰慰, 유득일(兪得一), 5-144분야문화‧생활 | 유형문헌
- 지사 [옛 편지 낱말사전 | 한림대학교]감사를 표함. 節扇簡幅之. 謹領知謝, 유득일(兪得一), 5-145분야문화‧생활 | 유형문헌
- 대탄 [옛 편지 낱말사전 | 한림대학교]대간(臺諫)의 탄핵. 臺彈重發 意外允從 深歎深歎, 유득일(兪得一), 5-144분야문화‧생활 | 유형문헌
- 문서 [옛 편지 낱말사전 | 한림대학교]문안 편지. 謹承問書 具審旱炎 令監旬履佳福 豈勝仰慰, 유득일(兪得一), 5-144분야문화‧생활 | 유형문헌
고서·고문서(87)
- 고금도(古今島)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23888 B023888 고금도 古今島 도서 전라남도 承政院日記 肅宗 27年 2月 6日_002 ○下直, 咸鏡監司兪得一, 交河縣監柳鳳輝, 成歡察訪趙之重, 古今島僉使洪時九。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지역분류전라남도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거제현(巨濟縣)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18097 B018097 거제현 巨濟縣 정치행정 承政院日記 肅宗 9年 2月 3日_004 ○備忘記, 已示痛惡之意於臺批, 而如此怪妄無狀之輩, 不可不俾知國法, 朴泰維, 巨濟縣監, 兪得一, 珍島郡守除授, 卽日內給馬催促發送。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동래(東萊)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71847 B071847 동래 東萊 정치행정 承政院日記 肅宗 31年 1月 15日_032 ○兪得一所啓, 東萊金井山城築城便否, 別遣武臣中解事者看審事, 大臣旣已陳達於筵中, 而本道前後監司·水使及東萊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동래(東萊)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72451 B072451 동래 東萊 정치행정 承政院日記 肅宗 31年 1月 15日_032 ○兪得一所啓, 東萊金井山城築城便否, 別遣武臣中解事者看審事, 大臣旣已陳達於筵中, 而本道前後監司·水使及東萊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與通判宣意 [세종시대 국가경영 문헌의 체계화 사업 -세종을 만든, 세종시대가 만든 문헌DB화 작업 | 여주대학교]歐蘇手簡 第四卷 與通判宣意 구양수(歐陽脩)‧소식(蘇軾) 41 與通判宣意 某啓薄今遠想起居佳勝眷愛各安健獨負多事久不通問想未訝也令子偶失薦時命未遂非學之咎聞老兄明年美解便赴闞若未補外猶得一見畢甚未間千萬順時保嗇서명歐蘇手簡 | 저자구양수(歐陽脩)‧소식(蘇軾) | 자료문의여주대학교 박현모 교수
주제어사전(2)
-
유득일 / 兪得一 [종교·철학/유학]
1650(효종 1)∼1712(숙종 38). 조선 후기의 문신. 정 증손, 할아버지는 여해, 아버지는 창, 어머니는 이척연의 딸이다. 박세채의 문인이다. 1677년 알성문과에 을과로 급제하였다. 대사성, 대사헌, 이조참판, 병조판서 등을 역임하였다.
-
읍취헌유고 / 挹翠軒遺稿 [문학/한문학]
: 朴秀林·韓氏·申氏·安瑚), 부록으로 묘지명·묘표·서문(序文 : 李荇·鄭斗卿·兪得一)이 붙어 있다. 문집의 대부분이 한시이며, 여기에 실린 작품 거의 모두가 교우와의 화답시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