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유득공” 에 대한 검색결과 179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60)

사전(112)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古鮮冊譜(前間恭作, 東洋文庫, 1946) 泠齋(李龍範, 李乙浩博士停年紀念實學論叢, 全南大學校湖南文化硏究所, 1975) (1749-?) 1748(영조 24)∼?. 조선 후기의 실학자. 저서로...
    이칭별칭 혜보(惠甫), 혜풍(惠風)| 영재(?齋), 영암(?庵), 고운당(古芸堂)
  • 연대재유록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조선 순조 때 ()이 청나라에 다녀온 사행기록. [개설] 1권. 필사본. 이 사행은 1801년(순조 1) 순조 즉위책봉에 대한 사은사(謝恩使)로 정사 조상진(趙尙鎭), 부사 신헌(申憲), 서장관 신현(申絢) 등을 파견하였다.
  • 유우춘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이 지은 한문단편소설. [구성 및 형식] 악사 유우춘(柳遇春)의 생애를 전기화한 작품이다. 작자의 문집인 『영재집(泠齋集)』에 실려 있다. [내용] 「유춘우」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서기공(徐旂公)은
  • 서이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1749(영조 25)∼1802(순조 2). 조선 후기의 학자. [내용] 본관은 달성(達城). 자는 이중(而仲). 서얼(庶孼) 출신이지만 학문이 뛰어나 유학(幼學)으로서 1779년(정조 3) 박제가(朴齊家)ㆍ이덕무(李德懋), 생원 (...
    이칭별칭 이중(而仲)
  • 성대중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성리학자로서의 체질을 탈피하지는 못했으나, 당대의 시대사상으로 부각된 북학사상(北學思想)에 경도하여 홍대용(洪大容)ㆍ박지원(朴趾源)ㆍ이덕무(李德懋)ㆍ()ㆍ박제가(朴齊家) 등과 교유하면서 이들에게 가학(家學) 및 스승 김준(金焌)에게서 전수받은 상수학적(象數學...
    이칭별칭 사집(士執)| 청성(靑城)

단행본(2)

  • 저자 : 高红姬,朴爱阳,董超越,高子迪,李雪冉,李真 ... | 출판사 : 山东大学 外国语学院 朝鲜语系 | 출판일 : 20210401
    책만 보는 바보는 이덕무와 그의 벗들, 즉 조선 후기의 실학자들의 삶을 담은 책이다. 하루 종일 들판에서 일하고 돌와와 봐야 먹을 것도 입을 것도 넉넉하지 않았던 시대, 굶주림의 고통을 겪어 보고, 날 때부터 사람의 운명을 갈라놓은 신분제도의 문제점을 느껴 온 선비들의...
  • 韓國學硏究論文集(二) [중국문화대학 | Chinese Culture University]
    저자 : 임홍빈 외... | 출판사 : 中國文化大學華岡出版部 | 출판일 : 2013.01.
    분야교육 | 유형단행본
    『한객건연집』에 실린 시의 격률에 관하여 문화 생산계층으로서의 1970년대 한국 청년문화에 대한 고찰

논문(2)

고서·고문서(31)

기초학문(1)

  • 󰡔경도잡지󰡕 윷점의 易哲學的 해석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임채우, 게재일 : 2012
    40168 임채우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국학연구원 2012 󰡔경도잡지󰡕 윷점의 易哲學的 해석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
    유형논문 | 게재일2012

신문·잡지(11)

  • 해동회고시 [대한제국기 국한문체 잡지메타정보 DB | 부산대학교]
    해동회고시 언론 출판 문헌 근대 조양보(朝陽報) 조양보(朝陽報)_6호 海東懷古詩 1906. 09. 10. 사조 143~144 205~206 미상(未詳) 대한제국 () 조선 ()의 「이십일도회...
    잡지명조양보(朝陽報) | 호수조양보(朝陽報)_6호 | 자료문의부산대학교팀(연구책임자:강명관 교수)
  • 해동회고시 [대한제국기 국한문체 잡지메타정보 DB | 부산대학교]
    해동회고시 언론 출판 문헌 근대 조양보(朝陽報) 조양보(朝陽報)_3호 海東懷古詩 1906. 07. 25. 사조 69~70 97~100 미상(未詳) 대한제국 () 조선 ()의 「이십일도회고시(...
    잡지명조양보(朝陽報) | 호수조양보(朝陽報)_3호 | 자료문의부산대학교팀(연구책임자:강명관 교수)
  • 해동회고시 [대한제국기 국한문체 잡지메타정보 DB | 부산대학교]
    해동회고시 언론 출판 문헌 근대 조양보(朝陽報) 조양보(朝陽報)_4호 海東懷古詩 1906. 08. 10. 사조 96~97 133~136 미상(未詳) 대한제국 () 조선 ()의 「이십일도회고시...
    잡지명조양보(朝陽報) | 호수조양보(朝陽報)_4호 | 자료문의부산대학교팀(연구책임자:강명관 교수)
  • 해동회고시 [대한제국기 국한문체 잡지메타정보 DB | 부산대학교]
    해동회고시 언론 출판 문헌 근대 조양보(朝陽報) 조양보(朝陽報)_5호 海東懷古詩 1906. 08. 25. 사조 120~121 170~172 미상(未詳) 대한제국 () 조선 ()의 「이십일도회...
    잡지명조양보(朝陽報) | 호수조양보(朝陽報)_5호 | 자료문의부산대학교팀(연구책임자:강명관 교수)
  • 해동회고시 [대한제국기 국한문체 잡지메타정보 DB | 부산대학교]
    해동회고시 언론 출판 문헌 근대 조양보(朝陽報) 조양보(朝陽報)_7호 海東懷古詩 1906. 09. 25. 사조 169~170 241~243 미상(未詳) 대한제국 () 조선 ()의 「이십일도회...
    잡지명조양보(朝陽報) | 호수조양보(朝陽報)_7호 | 자료문의부산대학교팀(연구책임자:강명관 교수)

기타자료(1)

  • 신라가 북국(발해)로 사신을 보내다. [동아시아 ‘교류’ 관련 한국고대사 기초자료 연구 : 문서, 사람, 물품 | 고려대학교]
    7, 『역주 삼국사기(3) 주석편(상)』, 한국정신문화연구원, 305쪽). 뒷날 실학자 ()이 신라와 발해의 병립 시기 역사를 ‘남북국사’로 지칭한 것은 여기에서 비롯하는 것이다(이강래, 1998, 『삼국사기(Ⅰ)』, 한길사, 250쪽).에 사신으로 보냈다....
    대표표제어신라가 북국(발해)로 사신을 보내다. | 주제분류교역물품 | 연대812년(壬辰/신라 헌덕왕 4/발해 定王 永德 4, 僖王 朱雀 1/唐 憲宗 元和 7/日本 嵯峨天皇 弘仁 3)

연구과제(3)

주제어사전(16)

  • / [역사/조선시대사]

    1748(영조 24)∼1807(순조 7). 조선 후기의 실학자. 1774년(영조 50) 사마시에 합격해 생원이 되고, 시문에 뛰어난 재질이 인정되어 1779년(정조 3) 규장각검서(奎章閣檢書)로 들어가 활약이 컸다. 그 뒤 제천·포천·양근 등의 군수를 거쳐 말년에는 풍

  • 유우춘전 / 柳遇春傳 [문학/한문학]

    ()이 지은 한문단편소설. 악사 유우춘(柳遇春)의 생애를 전기화한 작품이다. 작자의 문집인 『영재집(泠齋集)』에 실려 있다. 「유우춘전」은 그 당시 천시하던 기예(技藝) 가운데 해금으로 독보하던 유우춘의 일생을 전기적으로 묘사하고 있다. 여기에서는 서기공의

  • 규장전운 / 奎章全韻 [언어/언어/문자]

    ·이서구(李書九)·이가환(李家煥)·성대중(成大中)·()·박제가(朴齊家) 등이 교정한 다음, 1796년에 간행하였다. 그 뒤 방각본(坊刻本)으로도 많이 인행되어 이본이 많다.

  • 성대중 / 成大中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문신·학자(1732∼1812). 1756년에 정시문과에 급제하였다. 서얼출신이지만 서얼통청운동을 통해 관직에 나갔으며, 이후 목민관으로서 선정을 베풀었다. 노론 성리학파 중 낙론계에 속했으며, 북학사상에 경도되어 홍대용·박지원·이덕무··박제가 등과

  • 이덕무 / 李德懋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실학자(1741∼1793). 박학다식하고 문장에 개성이 뚜렷하며 글씨와 그림에 능했으나, 서자라서 크게 등용되지 못했다. 박제가··이서구와 함께《건연집》이라는 사가시집을 내었고, 박지원·홍대용 등 북학파실학자들과 교유하였으며, 정조 때 초대 규장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