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유둔” 에 대한 검색결과 총 406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402)
사전(85)
- 유둔 [옛 편지 낱말사전 | 한림대학교]비올 때 쓰려고 이어 붙인 두꺼운 기름먹인 종이. 曾達油芚二浮 今書無下答 似歸遺忘, 곽재우(郭再祐), 22-65분야문화‧생활 | 유형문헌
- 유둔 [조선시대 의궤용어사전(I)-왕실전례편 | 대구가톨릭대학교]기름 먹인 두꺼운 종이. 유둔은 종이부스러기를 물에 풀어 두꺼운 종이를 만든 다음 들기름을 먹여 만든다. 유둔은 기름을 먹여 만든 두꺼운 종이로 비를 막기 위한 천막이나 습기를 방지하기 위해 바닥에 까는 용도로 사용하였다. 특히 천막에 사용하기 위해서는 유둔 한 장의...분야문화‧생활 | 유형개념용어
- 유둔(油芚)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6405 물품도구 유둔(油芚) 유둔 油芚 기름 먹인 종이를 두껍고 넓게 붙여 만든 한지(韓紙). 비가 올 때 쓰기 위해 닥종이를 이어 붙여 두껍게 만든 기름종이로, 질기면서도 질이 좋은 고려지의 하나이다. 유둔지(油芚紙)라고도 하는...유형분류물품도구
- 육유둔 [조선시대 의궤용어사전(I)-왕실전례편 | 대구가톨릭대학교]유둔을 6장 이어 붙여 만든 것. 유둔은 기름 먹인 두꺼운 종이로 낱장의 크기가 작아 여러 장을 잇대어 붙여 사용하는데, 유둔 6장을 붙여 만든 것을 육유둔, 4장을 붙여 만든 것을 사유둔이라 한다. 햇빛이나 비를 가리기 위해 사용하는 차일이나 천막 등에 사용되었다....분야문화‧생활 | 유형개념용어
- 사유둔 [조선시대 의궤용어사전(I)-왕실전례편 | 대구가톨릭대학교]기름 먹인 두꺼운 종이인 유둔을 4장 이어 붙여 만든 것. 유둔은 낱장의 크기가 작아 여러 장을 잇대어 붙여 사용하는데, 유둔 6장을 붙여 만든 것을 육유둔, 4장을 붙여 만든 것을 사유둔이라 한다. 이렇듯 여러 장을 붙여 만든 유둔은 햇빛이나 비를 가리기 위해 사용...분야문화‧생활 | 유형개념용어
고서·고문서(309)
- 미상(1819)_강원도 原州郡 [19세기 사회경제 변동과 국가시스템의 충돌-규장각 소장 궁방전 관련 자료 데이터베이스 및 심층해제 | 서울대학교]2_149784 19304_14_1_0047 奎19304_14_1 미상(1819) 강원도 原州郡 鳩踰屯垈員 강원도 原州郡 鳩踰屯垈員 8 2 8결 2두락자료번호19304_14_1_0047 [奎19304_14_1] | 자료문의서울대학교 김건태 교수 연구팀
- ○당(堂)에 머물렀다 [16세기 역사상의 재해석 :『묵재일기(默齋日記:1535〜1567)』교감(校勘) 및 역주(譯註) 사업 | 서울대학교]1566_384_347 1566년11월 ○당(堂)에 머물렀다 1566년 11월 23일 기묘. ○당(堂)에 머물렀다. ○4장을 부친 유둔(油芚)을 이광증(李光曾)의 상(喪)에 부의로 보냈다. 廾三日己卯。 廾三日己卯。 ○留。○四丈付油芚送賻李光曾之喪。...자료문의서울대학교(연구책임자 : 정긍식 교수)
- ○당(堂)에 머물렀다 [16세기 역사상의 재해석 :『묵재일기(默齋日記:1535〜1567)』교감(校勘) 및 역주(譯註) 사업 | 서울대학교]1566_384_110 1566년4월 ○당(堂)에 머물렀다 1566년 4월 21일 임오. ○당(堂)에 머물렀다. ○강(姜) 관찰사가 6장(丈)을 붙인 유둔(油芚) 1개‧2장을 붙인 유둔 1개 등을 보냈다. ○권응인(權應仁)이 게 포[蟹脯] 5되‧검은 바...자료문의서울대학교(연구책임자 : 정긍식 교수)
- 대죽(大竹)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48569 B048569 대죽 大竹 경제산업 輿地圖書 慶尙道 晉州 進貢 進貢生鰒 雀舌 蔈古 錢魚 文魚 海參 油芚 粉藿 乾鰒短引 乾加瓦魚 全鰒 早藿 乾雉 眞梳 竹笋 靑大竹출처전거輿地圖書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당(堂)에 머물렀다 [16세기 역사상의 재해석 :『묵재일기(默齋日記:1535〜1567)』교감(校勘) 및 역주(譯註) 사업 | 서울대학교]1564_384_260 1564년8월 ○당(堂)에 머물렀다 1564년 8월 25일 갑오. ○당(堂)에 머물렀다. ○이여회(李如晦)가 6장(杖)을 붙인 유둔(油芚) 1개‧백저포(白苧布) 40자[尺] 등을 다시 나누어 보냈다. ○동정(東亭) 논의 벼 50속...자료문의서울대학교(연구책임자 : 정긍식 교수)
신문·잡지(2)
- 영종진 둔답 열셤직이를계미년 방어영 ...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리라 더니 명유 구월에 유둔감이 엽젼 이쳔 륙량 륙젼을 논갑 명으로 각 답쥬의게 난호어 쥬 십칠호 답쥬의 여 인구가 장 아샤 디경을 면치 못지라 월젼에 그 셤즁 셩들이 올나와 운현궁에 호소고 물너 달나고1)1) ‘고’자가 옆으로 뉘어 있음. 여도 듯지...게재일1898년 8월 26일 | 기사분류잡보
- 함남인민보_1949_0416_02 [한국전쟁기 미군노획문서철 중 북한신문자료의 수집.해제.데이터베이스 구축 | 이화여자대학교]알선하여 부족 사료를 보충하였다. 더우기 리 인민위원회는 가축 증식에 심심한 고려를 돌리었다. 즉 가축 실태에 대한 정확한 조사를 한 후 군 증축창과의 긴밀한 련계 밑에 우량종을 증식시키었으며 임신률을 제고시키기 위하여 유축우는 3개월 유둔은 1개월만에 젖을 떼게...대표표제어함남인민보_1949_0416_02 | 책임주필림상준
기타자료(6)
- 서신남;徐愼南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027205 남한 경성 정신여학교 1-40 정신 제3호 1937 88면 3. 재학생 명부;2) 3학년 서신남;徐愼南 전남 고양군 末江面 油芚里(魯東)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정신여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서광순;徐廣淳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117844 남한 경성 휘문고등보통학교 1-48 회원명부 1942―02―15 122면 서광순;徐廣淳 전남 고흥군 동강면 유둔리;延禧專門 제16회 1938년 3월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휘문고등보통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서석순;徐碩淳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093990 남한 경성 경기공립중학교 경기공립중학교동창회 회원명부(1940/12) 1940 62면 (37) 제35회 163명(1939년 3월 졸업) 서석순;徐碩淳 전남 고흥군 동강면 유둔리 198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경기공립중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서석순;徐碩淳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동정)전남 고흥군 동강면 유둔리 198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경기공립중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당이 백제의 부여융을 웅진도독에 제수하다. [동아시아 ‘교류’ 관련 한국고대사 기초자료 연구 : 문서, 사람, 물품 | 고려대학교]因陳便宜 願留屯 詔可 由是以仁願爲不忠 始 仁軌任帶方州 謂人曰 天將富貴此翁邪 乃請所頒曆及宗廟諱 或問其故 答曰 當削平遼海 頒示本朝正朔 卒皆如言 (新唐書 108 列傳 33 劉仁軌)대표표제어당이 백제의 부여융을 웅진도독에 제수하다. | 주제분류교류담당 | 연대663년(癸亥/신라 문무왕 3/고구려 보장왕 22/唐 龍朔 3/倭 天智 2)
주제어사전(4)
-
유둔 / 油芚 [경제·산업]
기름 먹인 두꺼운 종이. 유둔은 종이부스러기를 물에 풀어 두꺼운 종이를 만든 다음 들기름을 먹여 만든다. 유둔은 기름을 먹여 만든 두꺼운 종이로 비를 막기 위한 천막이나 습기를 방지하기 위해 바닥에 까는 용도로 사용하였다. 특히 천막에 사용하기 위해서는 유둔 한 장
-
고흥유둔리덕암지석묘군 / 高興油屯里德岩支石墓群 [역사/선사시대사]
전라남도 고흥군 동강면 유둔리에 있는 청동기시대의 지석묘군. 전라남도 기념물 제159호. 남방식과 개석식이 혼재되어 있고 지석묘군의 한 가운데에 높이 376㎝, 너비 205㎝, 두께 62㎝에 달하는 입석이 있는데, 지석묘들은 이 입석을 중심으로 둥그렇게 배치되어 있는
-
김영성 / 金永聲 [역사/근대사]
過驛)에서, 12월에는 유둔만(油屯萬)에서, 1910년초에는 돌산(突山)에서 일본군과 교전하여 다수의 일본군을 사살하고, 돌산전투에서 총상을 입고 붙잡혔다. 1910년 1월 광주지방재판소 목포지부에서 징역 10년형을 언도받고 복역 중, 1912년 12월에 7년으로 감형
-
장흥고 / 長興庫 [정치·법제/법제·행정]
고려·조선시대에 돗자리·유둔 등을 관장하던 관서. 고려는 1308년(충렬왕 34) 충선왕이 즉위하여 대부상고를 장흥고로 하였고 소속관원으로 사(종5품) 1인, 부사(종6품) 1인, 직장(종7품) 1인을 두었다. 공민왕 때에는 사를 강등하여 종6품으로 하고, 부사·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