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유두면” 에 대한 검색결과 30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27)

사전(13)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그러나 언제부터인지 밀가루로 국수를 만들어 먹는 것으로 바뀌게 되었다. ≪동국세시기 東國歲時記≫에는 을 몸에 차거나 문설주에 걸어서 잡귀를 막는 풍속이 기록되어 있다. 을 먹으면 여름 내내 더위를 먹지 않는다고 한다. 東國歲時記 ...
  • 유토면세(稅)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유토면세 유토면세 稅 면세전(免稅田) 무토면세(無土免稅), 궁방전(宮房田), 둔전(屯田) 경제재정/전세 개념용어 대한민국 조선후기 강제훈 [정의] 궁방이나 아문·군문이 소유권을 행사할...
    상위어면세전(免稅田) | 관련어무토면세(無土免稅), 궁방전(宮房田), 둔전(屯田)
  • 유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로서 ‘물맞이’라는 뜻이다. 오늘날에도 신라의 옛 땅인 경상도 지방에서는 유두를 ‘물맞이’라고 부른다. 이날 아침 각 가정에서는 ‧밀전병‧수단(水團)‧건단(乾團), 그리고 피‧조‧벼‧콩 등 여러 가지 곡식을 새로 나온 과일과 같이 사당에 차려놓고 고사를...
  • 액막이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세수를 하며 창포뿌리에 ‘壽(수)’‧‘福(복)’자를 새겨 비녀를 만들어서 그 끝에 연지를 발라 머리에 꽂는 액막이도 있다. 유두날에는 밀가루로 구슬모양의 ()을 만들어 먹거나 에 오색의 물감을 들여 세 개를 이어 색실로 꿰어차고 다니거나 문설주에...
  • 유토궁방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조선 후기 민전(民田) 위에 설정된 나누어 주거나 하사한 토지. [내용] 유토면세지(稅地)와 영작궁둔(永作宮屯)의 두 종류로 나누어지는데 모두 면세의 특권이 주어졌다. 유토면세지는 무토궁방전(無土宮房田)과 마찬가지로 민전 위에 설정...

고서·고문서(14)

  • 又或有加耕立案等處之仍免稅者, 此外初無別劃, 稅之事。 今豈有援依其例之可論? 而且守臣狀啓, 雖有便近邑田稅, 依華城例劃給之語, 華城陞留之後, 亦未嘗劃給稅結, 只有泰安田結之稅納江都者, 移劃本府。 而以本府田稅則上納地部, 泰安田稅則移納本府, 事涉不便, 許其互換取用而已, 則今...
    출처전거純祖實錄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51167 B051167 도민 島民 도서 일반 承政院日記 正祖 11年 5月 12日_039 鳴旨島田畓, 係是永作宮屯, 稅之處, 依法典土稅租一斗, 免稅租一斗上納, 而租一斗價, 以八分爲定後, 除出各樣雜費, 實起六十結零, 收稅錢九百十一兩零, 每年定式上送, 已多年所矣。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지역분류일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51439 B051439 도민 島民 도서 일반 承政院日記 正祖 8年 10月 1日_037 ... 稅, 每結米八十斗收捧矣。 至於中間, 平日等四島, 混同以八十斗收稅, 丙申罷宮後, 二十三斗外, 別無加納矣。 自戊戌年, 導掌輩, 依前以八十斗收稅, 極爲痛?。 昨年綸音內, 何...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지역분류일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 而又或有加耕立案等處之仍免稅者。 此外初無別劃稅之事, 今豈有援依其例之可論, 而且守臣狀啓, 雖有便近邑田結, 依華城例劃給之語, 華城陞留之後, 亦未嘗劃給稅結, 只有泰安田稅之輸納江都者, 移劃本府, 而以本府田稅則上納地部, 泰安田稅則移納本府, 事涉不便, 許其互換取用而已, 則...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여유당전서 정본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
    ,其乾者名曰掛麪。亦未必麥末爲麪也,,【見《山家淸供》】 𪍷麪,【陸游詩云:“村店賣𪍷麪。”】 有菉豆麪,【見《月令廣義》】 胡麻麪,【《物類相感志》】 葛麪,【王建詩云:“濾泉調葛麪。”】 菱麪,【見《月令廣義》】 莎麪,【莎木之屑也,出南番外國】 楡麪,【刮白皮爲之】 槐葉麪,【陸游詩...
    권차명附 雜纂集 二 | 문체雜著類|論說類 | 저자정약용(丁若鏞, 1762 ~ 1836) | 자료문의다산학술문화재단(http://www.tasan.or.kr )

주제어사전(3)

  • / [생활/식생활]

    는 것으로 바뀌게 되었다. ≪동국세시기 東國歲時記≫에는 을 몸에 차거나 문설주에 걸어서 잡귀를 막는 풍속이 기록되어 있다. 을 먹으면 여름 내내 더위를 먹지 않는다고 한다.

  • 유토면세전 / 稅田 [경제·산업/경제]

    조선 후기의 내수사전 등 왕실의 사유지와 대군·군·공주·옹주 등 왕족들의 사유지. 조선 후기의 궁방전은 왕실·왕족들이 직접 지배하는 사유지와 왕실·왕족들의 지배 하에 있는 일반 민전인 수조지가 있었다. 전자를 유토면세전 또는 영작궁전(永作宮田)이라 했고, 후자의 수조

  • 유토궁방전 / 有土宮房田 [경제·산업/경제]

    조선 후기 민전 위에 설정된 나누어 주거나 하사한 토지. 유토면세지(稅地)와 영작궁둔(永作宮屯)의 두 종류로 나누어지는데 모두 면세의 특권이 주어졌다. 유토면세지는 무토궁방전(無土宮房田)과 마찬가지로 민전 위에 설정된 것으로서 주로 나누어 주거나 하사한 것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