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유도헌”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5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48)
사전(29)
- 전원문집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조선 말기의 학자 유도헌(柳道獻)의 시문집. [내용] 8권 4책. 목판본. 편자와 간행연도는 미상이다. 서문은 없고, 권말에 유영우(柳永佑)‧유승우(柳承佑)의 발문이 있다. 규장각 도서‧국립중앙도서관‧영남대학교 도서관 등에 있다.
- 경문 [옛 편지 낱말사전 | 한림대학교]궁금함. 婦阿荷庇無擾否 姑切傾聞, 유도헌(柳道獻), 027분야문화‧생활 | 유형문헌
- 부아 [옛 편지 낱말사전 | 한림대학교]며느리. 伏惟此時.床兄體度更若何 庇覃勻慶 婦阿節何如, 유도헌(柳道獻), 027분야문화‧생활 | 유형문헌
- 온비 [옛 편지 낱말사전 | 한림대학교]임금의 온화한 비답. 前冬○村茂亨疏請之後 蒙溫批而 更無所聞, 유도헌(柳道獻), 027분야문화‧생활 | 유형문헌
- 비담 [옛 편지 낱말사전 | 한림대학교]상대방 집안 식구들. 안부를 물을 때 쓰는 말. 伏惟此時.床兄體度更若何 庇覃勻慶 婦阿節何如, 유도헌(柳道獻), 027분야문화‧생활 | 유형문헌
고서·고문서(19)
- 유도헌(柳道獻) 통문(通文)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내용분류사회-조직/운영-통문 | 형식분류고문서-서간통고류-통문 | 현소장처안동 금계 의성김씨 학봉 종가
- 1901년 류도헌(柳道獻) 서간(書簡) [영남 자료권역센터 구축(2단계) | 한국국학진흥원]류도헌은 상대 종형의 부음을 받고 매우 놀라고 애통해 하였다고 했다. 또 어제 장례를 치렀다는 소식을 들었다고 하였다. 자신은 기력이 쇠퇴하여 그나마 하던 독서도 이 때문에 그만두게 되었다고 하였다. 아들이 일전에 임소로 되돌아갔는데 아직 소식은 없다고 하였다. 그는...내용분류개인-생활-서간 | 형식분류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현소장처한국국학진흥원
- 1903년 류도헌(柳道獻) 서간(書簡) [영남 자료권역센터 구축(2단계) | 한국국학진흥원]류도헌은 오계의 소식을 들었냐고 묻고는 세상의 일은 믿기가 어렵다고 하였다. 귀내의 박금남의 장례가 임박하였다는 소식을 들었는데 가지 못했다고 하였다. 우리 영남 유생들 사이에서 박규양과 같은 이는 얼마 되지 않는데 어찌 쓸쓸히 그를 보낼 수 있겠느냐고도 하였다. 최...내용분류개인-생활-서간 | 형식분류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현소장처한국국학진흥원
- 1908년 유도헌(柳道獻) 서간(書簡) [영남 자료권역센터 구축(2단계) | 한국국학진흥원]1908년 7월 20일에 류도헌이 안부인사와 송천에 사심이 있지 않다는 사실을 전하기 위해 보낸 편지이다. 먼저 봄에 편지를 보냈는데 상대방의 아들이 받지 못했다고 하니, 중간에서 잃어버린 것이 아닌가 하였다. 몇 달 연락이 안 되고 무더위를 겪으니 항상 그리운 마음...내용분류개인-생활-서간 | 형식분류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현소장처한국국학진흥원
- 1864년 유도헌(柳道獻) 호구단자(戶口單子)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내용분류사회-인구/호적-호구단자/준호구 | 형식분류고문서-증빙류-호적 | 현소장처안동 하회 풍산유씨 충효당
주제어사전(7)
-
유도헌 / 柳道獻 [종교·철학/유학]
1835년(헌종 1) ∼1909년(융희 3). 조선 말기 유학자. 증조는 유종춘, 조부는 유상조, 부친은 유진한. 생부 유진익과 생모 이휘승의 딸사이에서 태어났다. 두 명의 부인을 두었는데, 첫째 부인은 이휘존의 딸, 둘째 부인은 황하진의 딸이다. 산림처사로 은거하면서
-
죽헌문집 / 竹軒文集 [문학/한문학]
조선시대 학자 하성의 시·제문·만사·잡저 등을 수록한 시문집. 9대손 진원(振源) 등이 간행하였다. 권두에 김도화(金道和)의 서문이 있고, 권말에 유도헌(柳道獻)의 발문이 있다. 권1에 시 109수, 서(書) 2편, 서(序)·발(跋)·상량문·잡저 각 1편, 제문 9
-
별동집 / 別洞集 [종교·철학/유학]
윤상의 문집.목판본, 5권 2책. 김종직의 서문과 이광정의 후서, 류도헌 발문이 실려 있다. 권1에는 목차와 부 1편,시82수,표전 12편이 실려 있다. 권2는 소ㆍ진언 4편,서 1편, 기 2편, 제문 7편, 책 4편,습유 2편, 가요 6편으로 구성된다. 권3은 부록
-
갈산집 / 葛山集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학자 권종락의 시문집. 4권 1책. 목판본. 19세기 말경에 그의 증손인 권의일에 의하여 편집간행되었다. 권두에 1839년에 작성한 유도헌 서문, 권말에는 이만유와 상대의 발문이 있다. 권1에는 시 89수, 권2에는 서·기·지·상량문·상언 각 1편, 축문
-
묵재집 / 默齋集 [종교·철학/유학]
「유청량산록」 등이 수록, 권3에는 증손 용환이 쓴 가장과 유도헌이 쓴 행장을 비롯하여 이중린이 찬한 묘갈명은 물론 오대손 진하와 외손 권돈연이 쓴 발문이 함께 실려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