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유교” 에 대한 검색결과 총 6,136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5,938)
사전(2,754)
- 유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전통왕조시대 국왕의 유서. [내용] 왕이 죽으면 영의정과 좌의정이 유교와 대보(大寶)를 사위(嗣位 : 임금의 자리를 이어받음)할 왕에게 전달한다. 국왕이 죽기 전에 왕세자와 대신 및 근신을 불러 유언하는 것을 고명(顧命)이라 하며, 그
- 유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유교(儒敎)는 중국 춘추시대(기원전 770~403) 말기에 공자(孔子)가 체계화한 사상인 유학(儒學)을 종교적 관점에서 이르는 말이다. 시조 공자의 이름을 따서 공교(孔敎)라고도 한다. [내용] 1. 유교의 인간학적 특징과 학문의 다면성...이칭별칭유술|유도
- 유교 [옛 편지 낱말사전 | 한림대학교]유모(乳母). 五月晦間 乳嬌以無何之. 數日重痛 忽焉化去, 김재정(金在鼎), 31-113분야문화‧생활 | 유형문헌
- 儒敎 [조선시대 유서(類書) 기반 지식 DB 및 지식지도 구축 | 고려대학교]TD_D1_I_0001 儒敎 유교 祖, 誕生, 六經 周 靈王 二十一年 庚戌 支那, 魯國昌平鄕 孔子 I_01_07_01 만국사물기원역사 1권 7장 1절출전만국사물기원역사 | 수록위치1권 7장 1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 柳橋 [조선시대 유서(類書) 기반 지식 DB 및 지식지도 구축 | 고려대학교]TD_R2_D_0531 柳橋 식물 翠密, 花塢, 紅稀 貞齋 D_18_04_62 대동운부군옥 18권 4장 62절출전대동운부군옥 | 수록위치18권 4장 62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단행본(11)
- 근대 유교개혁론과 유교의 정체성 [한국 근대종교의 탄생과 정체성 | 한국종교문화연구소]저자 : 김순석... | 출판사 : 도서출판 모시는사람들 | 출판일 : 2016.10.31유형단행본이 연구는 개항 이후 해방 직전까지 유교계에 어떠한 변화가 있었고 유학자들이 이 변화에 어떻게 대응하였으며, 근대 유교는 조선시대의 유교와 무엇이 다르며, 근대 유교의 정체성은 무엇이었는가를 규명하였다. 개항에서 식민지 시기 직전까지는 서구 문명의 침략으로 유교가 전
- 한국의 유교 [따따르스탄 및 러시아 중남부 지역의 한국학 진흥 | Kazan Federal University]저자 : Kim Jantae, Ko Yong Chol, D.E. Martynov ... | 출판사 : 카잔연방대 | 출판일 : 20220316금잔태는 서울대학교 종교학과 교수이다. 그는 유교학과 한국지성사 분야의 선도적인 권위자이다. 그는 『한국실제과학학교사』, 『유교: 조선초기부터 현대한국까지』 등 20권이 넘는 책을 출간했다.
- 조선왕실의 음악문화 [조선왕실의 의례와 문화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저자 : 송지원 ... | 출판사 : 세창출판사 | 출판일 : 20200630유형단행본조선왕실이 표방하고 구현해 낸 음악문화의 전반적 양상을 밝히는 일은 조선왕실의 예법적 질서를 이해하고 나아가 왕실문화의 핵심을 이해하는 일과 맞닿아 있다. 조선왕실에서 시행된 오례는 단순히 ‘왕실의 일회성 행사’라는 의미에 국한되지 않으며 오례 각각에서 연행된 각종 의...
- 서양 정치사상과 유교 지평의 확장 [근현대 한국의 동서철학사상 접변양상 연구-교착 지평과 보편 개념 분석 | 서울대학교]저자 : 강중기, 이원석, 김재현, 한정길, 양일모, ... | 출판사 : 도서출판 동과서 | 출판일 : 20191231이 책은 서양 정치사상의 유입이 유교의 철학적 사상적 이론적 지평에 어떤 변화를 불러왔는지를 살펴보고 서양 근대 정치사상에 대한 반성과 유교 전통사상의 현대적 의의를 성찰하는 기회를 제공하였다.
- 한국종교와 근대화의 정치사상 [한국 근대화의 사상적 동력 : 근대 조선과 대한민국 건국기까지의 거대 담론들 | 동국대학교]저자 : 나정원 ... | 출판사 : 앰애드 | 출판일 : 20180430유형단행본대한민국 헌법 제20조 제1항에는 ‘모든 국민은 종교의 자유를 가진다’, 제2항에는 ‘국교는 인정되지 아니하며 종교와 정치는 분리된다’고 규정되어 있다. 하지만 전통적인 한민족의 정치사상은 종교, 즉 무속, 유교, 불교, 민족종교, 그리스도교 등과 불가피하게 연결되어 ...
논문(6)
- 이항로의 심설과 서학(西學) [심설논쟁 아카이브 구축 -자료의 수집‧발굴, 교감‧표점, 해제, 해석- | 한국전통문화대학교]저자 : 김현우 | 게재정보 : 한국철학논집
- 3_이항로의 심설과 서학(西學) [심설논쟁 아카이브 구축 -자료의 수집‧발굴, 교감‧표점, 해제, 해석- | 한국전통문화대학교]저자 : 김현우 | 게재정보 : 한국철학논집
- 유교이념의 실천도구로서 음식 [종가의 제례음식 자료집성 및 DB구축 | 한국국학진흥원]저자 : 김미영 | 게재정보 : 영남학
- 1910-1945년 식민지 조선의 유교 발전 [따따르스탄 및 러시아 중남부 지역의 한국학 진흥 | Kazan Federal University]저자 : Dmitry Martynov (KFU) | 게재정보 : Modern Oriental Studies
- 학습 프로젝트로서의 모노그래프 "유교와 한국사상" 번역 김종태 [따따르스탄 및 러시아 중남부 지역의 한국학 진흥 | Kazan Federal University]저자 : DMITRII E. MARTYNOV | 게재정보 : The Journal of Direction and Development of Korean Studies in Russia
고서·고문서(1,156)
- 유교 [일제의 조선관습자료 해제와 DB화 작업 | 연세대학교(원주캠퍼스)]분류일상생활 | 소장처국사편찬위원회 | 출판사없음
- 조선의 유사종교 [일제의 조선관습자료 해제와 DB화 작업 | 연세대학교(원주캠퍼스)]이 자료는 조선총독부이 기록한 자료로 자료명은 “조선의 유사종교(朝鮮の類似宗敎)”로 표기되어 있으며 작성자는 조선총독부 관방문서과(官房文書課)로 보이며 작성년도는 1935년(소화 10)이다. 이 자료는 모두 1,016면이며 일본어로 기록되어 있다. 이 자료는 조선에 ...분류종교생활 | 소장처국립중앙도서관 | 출판사朝鮮總督府(京城)
- 유교(有喬) 서간(書簡) [영남 자료권역센터 구축(1단계) | 한국국학진흥원]모년(某年) 제(弟) 유교(有喬)가 수취자 미상(未詳)에게 보내준 답신으로 보내준 시편과 과일을 잘 받았다고 사례하고, 자신이 지은 시편과 백호차(白毫茶) 1봉지, 소고기[黃肉] 한 근을 짝지어 보낸다는 내용.내용분류개인-생활-서간 | 형식분류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현소장처안동대학교 박물관
- 조선의 종교급신앙 [일제의 조선관습자료 해제와 DB화 작업 | 연세대학교(원주캠퍼스)]니라 각기 종교에 대한 글들을 수록하였다. 조선인들의 신앙심에 대해서는 학무국장(學務局長) 와타나베(渡邊風日子)가, 조선의 유교에 대해서는 성대교수(城大敎授) 다카하시 도루(高橋亨)가, 조선의 유사종교(類似宗敎)와 관련하여서는 총독부(總督府) 탁(託) 무라요시(村由智順...분류종교생활 | 소장처국립중앙도서관 | 출판사朝鮮總督府(京城)
- 子曰:“有教無類。” [여유당전서 정본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ITKC_MP_0597A_0420 論語古今注 卷八 ITKC_MP_0597A_0420_010_0350 子曰:“有教無類。” 정약용(丁若鏞) 雜著類|論說類 여유당전서 定本 與猶堂全書 2012 다산학술문화재단 http://db.itkc.o...권차명論語古今注 卷八 | 문체雜著類|論說類 | 저자정약용(丁若鏞, 1762 ~ 1836) | 자료문의다산학술문화재단(http://www.tasan.or.kr )
구술자료(15)
- 유교, 불교, 기독교는 모두 하나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앞의 시묘살이 유래 이야기가 끝나자, 제보자는 조사자에게 기독교와 불교와 유교가 본래 하나인데 분리된 이유를 아느냐고 조사자에게 묻고는 다음 이야기를 시작했다.조사일시2009.07.20 | 조사장소경상남도 함양군 서상면 금당리 방지마을 | 제보자이성하(남,80세)
- 유교식 관복으로 만들어진 허약한 양반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이야기가 잠시 중단되었다. 점심때가 가까워 오자 자리를 뜨는 이도 있었다. 이렇게 술렁거리는 판에 제보자가 나서며 ?주원장이 조선에 갓 만들어 씌우는 이야기를 하겠다.?고 좌중의 관심을 돌렸다. 우리 민족이 중국과 일본에 유린당한 원인을 중국에서 만들어 보낸 의관...조사일시1981-07-22 | 조사장소경상북도 안동시 목성동 | 제보자김을동
- 조선조에 유교를 숭상하게 된 내력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조사자가 전설에 대하여 묻자 웃으면서 구연하였다. *조사일시1984-07-23 | 조사장소강원도 영월군 주천면 | 제보자신승남
- 우귀사신과 장례문화 [다문화 시대 한국학을 위한 이주민 설화 구술자료 DB 구축 | 건국대학교]사실 유교, 도교. 유교 아니라 도교, 도교 [조사자1: 도교.] 도교를 믿는 거 같아요. 그래서 어 돌아가실 때는 의식을 하는데 도교 의식이래요. 그래서 막 어 스님이 아니라 도사, 도사들이 그 어떤 탑이 같은 거 하고 묵검을 가져가지고 그 다음에 가족들이 살아있는국가홍콩 | 제보자채가오 [홍콩, 여, 1993년생, 유학 4년차] | 자료문의건국대학교 신동흔 교수
- 홍콩의 제사 문화 [다문화 시대 한국학을 위한 이주민 설화 구술자료 DB 구축 | 건국대학교], 토지신, 조상신, 제사, 빨간 종이, 미신, 서울시, 광진구, 화양동, 채가오, 홍콩, 문화 왜냐하면 홍콩 사람들도 약간 귀신같은 거 미신한 거 같아요. 막 우리 할머니도 집에서 막 관음, 토지신 그런 거 해요. 왜냐하면 유교, 불교 같은 거 믿으시기 때문에 어르국가홍콩 | 제보자채가오 [홍콩, 여, 1993년생, 유학 4년차] | 자료문의건국대학교 신동흔 교수
기초학문(440)
- 유교의 행위이론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이영찬, 게재일 : 200541375 이영찬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동양사회사상학회 2005 유교의 행위이론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ory=Resea유형논문 | 게재일2005
- 유교와 민주주의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문병도, 게재일 : 200532288 문병도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동양철학연구회 2005 유교와 민주주의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ory=Resear유형논문 | 게재일2005
- 유교의 생사와 귀신 문제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김수청09829 김수청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東亞大學校附設 石堂傳統文化硏究院 유교의 생사와 귀신 문제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FRBR&metaDataId=4b76f6dc유형논문
- 儒敎와 自由民主主義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이상익, 게재일 : 200007538 이상익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정치사상학회 2000 儒敎와 自由民主主義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FRBR&metaDataId=4b76f6dc1952유형논문 | 게재일2000
- 유교 지식인의 독립운동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임경석, 게재일 : 200008663 임경석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 2000 유교 지식인의 독립운동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FRBR&metaDataId=4b7유형논문 | 게재일2000
신문·잡지(168)
- 事中有巧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일젼교동 대빈궁안졍진하씨등이 잡기등로 경무즁셔에 착슈가되얏다 당쵸졍진하씨 집에셔 박상호라 친고와 소일거리로 화투등속으로 기률몃식 작뎡야 셔로희롱다가 슌검이드러와 일병포박 맛참영쳔군 리모라사은 군 군쥬를 도득코야 경셩에올나와 두류...게재일1906년 12월 6일 | 기사분류잡보
- 巧中有巧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뎡산군 가마동 윤룡속 집에셔 어느날에엇더사이 머리고 양복입은쟈일명이 비를피로 드러오더니 그뒤에 군읍뎌에사 김치슉이라사이 달녀들어와 그양복쟈의 장을슈탐야 그속에든 슈의복일습을 차져 각군에 봉안 궐한아와 젹은쳘춍과 긔황등속이 로츌되야...게재일1906년 9월 19일 | 기사분류잡보
- 曉諭教官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작일상오팔시에 학부대신이 각학교 교관을 학부로회집고 효유기를 교관봉급부죡을 탁지에쳥구엿더니 그로 시치 아니즉 폐일언고 봉급은하여간에 젼로 교육을힘쓰면 민국에 만이라 교관들의말은 교관봉급을 하감삭야 이왕반포 칙령안과 위되얏스니 칙령안을 문구...게재일1905년 10월 6일 | 기사분류잡보
- 민세안재홍전집 : 세가지큰병통 [民世 安在鴻全集 資料集成 및 DB化 事業 | 중앙대학교]0595 1930 5 15 1 1 安在鴻 안재홍 朝 鮮 사 람 에게준儒敎의功罪와그特例 세가지큰병통 잡지 조선농민 43호, 6권3호 10~11쪽 설문 사회 직접자료 선집외 儒敎, 忠孝, 中國崇拜 B1...출처형태잡지 | 자료문의중앙대학교(연구책임자 : 김인식 교수)
- 初有敎科書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국민교육회에셔 오근로야 소학도들을 갈아칠교과셔를 편집야 간이거의되야 일간발터인데 그은 심상소학에 필요더러 우리나라에셔 처음으로 만든셔젹인즉 어린학원들을 위야 대단유익일이니 국가의대이로다게재일1907년 1월 11일 | 기사분류잡보
멀티미디어(1,321)
- 계 공유가치를 모색할 수 있다. 1주차. 한국사의 시작과 고대국가의 성립 2주차. 고대국가의 분열과 통합 3주차. 고려시대사-불교국가고려와 다원성 4주차. 유교국가 조선과 유교적 안민 5주차. 17~18세기변화와 안정 6주차. 19세기를바라보는 시각 : 좌절과 연속강좌제목한국사 입문 | 강의자강제훈 정호섭 이진한 송양섭 유바다 허은
- 계 공유가치를 모색할 수 있다. 1주차. 한국사의 시작과 고대국가의 성립 2주차. 고대국가의 분열과 통합 3주차. 고려시대사-불교국가고려와 다원성 4주차. 유교국가 조선과 유교적 안민 5주차. 17~18세기변화와 안정 6주차. 19세기를바라보는 시각 : 좌절과 연속강좌제목한국사 입문 | 강의자강제훈 정호섭 이진한 송양섭 유바다 허은
- 계 공유가치를 모색할 수 있다. 1주차. 한국사의 시작과 고대국가의 성립 2주차. 고대국가의 분열과 통합 3주차. 고려시대사-불교국가고려와 다원성 4주차. 유교국가 조선과 유교적 안민 5주차. 17~18세기변화와 안정 6주차. 19세기를바라보는 시각 : 좌절과 연속강좌제목한국사 입문 | 강의자강제훈 정호섭 이진한 송양섭 유바다 허은
- 계 공유가치를 모색할 수 있다. 1주차. 한국사의 시작과 고대국가의 성립 2주차. 고대국가의 분열과 통합 3주차. 고려시대사-불교국가고려와 다원성 4주차. 유교국가 조선과 유교적 안민 5주차. 17~18세기변화와 안정 6주차. 19세기를바라보는 시각 : 좌절과 연속강좌제목한국사 입문 | 강의자강제훈 정호섭 이진한 송양섭 유바다 허은
- 계 공유가치를 모색할 수 있다. 1주차. 한국사의 시작과 고대국가의 성립 2주차. 고대국가의 분열과 통합 3주차. 고려시대사-불교국가고려와 다원성 4주차. 유교국가 조선과 유교적 안민 5주차. 17~18세기변화와 안정 6주차. 19세기를바라보는 시각 : 좌절과 연속강좌제목한국사 입문 | 강의자강제훈 정호섭 이진한 송양섭 유바다 허은
연구결과보고서(1)
- 국제유교문화포럼 -구성과 운영- 결과보고서 [국제유교문화포럼 -구성과 운영- | 성균관대학교]자료유형연구보고서
기타자료(66)
- 문교 뉴우스-제7회 자유교양대회 [한국 현대교육사 사료 집성 | 서울교육대학교]문교 뉴우스-제7회 자유교양대회 문교 뉴우스-제7회 자유교양대회 교육 문헌 교육과정 학교규율ㆍ행사 교육과정 기타교육과정범주1교육과정 | 형식잡지 | 한글저자편집자 | 사료철명문교월보
- 84학년도 덕유교육원 수련계획 [한국 현대교육사 사료 집성 | 서울교육대학교]84학년도 덕유교육원 수련계획 84학년도 덕유교육원 수련계획 84學年度 德裕敎育院 修練計劃 교육 문헌 교육과정 학교규율ㆍ행사 교육총류 교...범주1교육과정 | 형식잡지 | 한글저자전상주 | 사료철명교육경남
- (교육정보) 자본주의 정신과 신유교윤리 [한국 현대교육사 사료 집성 | 서울교육대학교](교육정보) 자본주의 정신과 신유교윤리 (교육정보) 자본주의 정신과 신유교윤리 교육 문헌 교육총류 교육론범주1교육총류 | 형식잡지 | 한글저자김정복 | 사료철명충북교육
- (93 교육계획) 93 덕유교육원 운영계획 [한국 현대교육사 사료 집성 | 서울교육대학교](93 교육계획) 93 덕유교육원 운영계획 (93 교육계획) 93 덕유교육원 운영계획 교육 문헌 교육행정 지방교육행정범주1교육행정 | 형식잡지 | 한글저자정신화 | 사료철명교육경남
- (되돌아본 경남교육) 고전읽기 자유교양 [한국 현대교육사 사료 집성 | 서울교육대학교](되돌아본 경남교육) 고전읽기 자유교양 (되돌아본 경남교육) 고전읽기 자유교양 교육 문헌 교육과정 기타교육과정범주1교육과정 | 형식잡지 | 한글저자정원조 | 사료철명교육경남
연구과제(38)
-
국제유교문화포럼 -구성과 운영-
한국학 대형 기획 총서사업 | 최영진 | 성균관대학교 | 2007 | 국내 | 서울
-
“한국의 위대한 유교학자들: 사상, 쟁점, 논쟁, 그리고 실용적이고 현대적인 함의” 에 관한 신간 단행본 3권 집필 및 출판.
한국학 세계화 랩사업 | Edward Chung | University of Prince Edward Island (University of Prince Edward Island) | 2022 | 국외 | 해외
-
조선 왕실 문화의 제도화 양상 연구
한국학 대형 기획 총서사업 | 오종록 | 성신여자대학교 | 2013 | 국내 | 서울
-
조선 초기 군주 평전: 권력과 이념
한국학 대형 기획 총서사업 | 김순남 | 고려대학교 | 2016 | 국내 | 서울
-
하곡 정제두 저 『존언 (存言)』: 해설과 역주를 포함, 영문으로 번역한 후 북미지역에서 출판
한국 학술 번역사업 | Edward Chung | University of Prince Edward Island | 2014 | 국외 | 해외
주제어사전(160)
-
유교 / 儒敎 [종교·철학/유학]
공자에 의해 창시된 종교. 유교의 근본사상은 인이다. 유교에서는 사람의 본성을 착한 것으로 보는 성선설이 주된 흐름을 이루고 있다. 유교의 인간관은 군자를 이상적 인간의 모델로 삼고 있다. 유교는 인간간의 관계, 인륜을 가장 중시하므로 윤리사상이 발전되어 있다.
-
유교구신론 / 儒敎求新論 [종교·철학/유학]
유교의 개혁을 주장한 박은식의 논문. 당시 유교계가 처한 3대 문제와 유교의 개혁과 발전을 모색하는 시도로 일관되어 있다. 제1은 유교가 인민들의 편이 아니라 제왕들의 편에 서 있다는 것, 제2는 유교가 기독교나 불교처럼 중생을 제도하기 위해 적극적으로 활동하지 못
-
유교복원론 / 儒敎復原論 [종교·철학/유학]
유교개혁을 논한 이병헌의 글. 책의 구성은 <유교복원론>편의 끝에 부록형식으로 <천학>편이 붙어있다. 1919년 저자가 중국의 강유위를 찾아다니면서 공교운동을 전개하는 과정에서 출판되었다. 서술방식은 98조목의 유교관계 문제를 중심으로 문답식으로 되어 있다. 이 책은
-
조선유교연원 / 朝鮮儒敎淵源 [종교·철학/유학]
장지연이 선유들의 문집 및 어록과 경설에 관한 내용 등을 집록한 책. 1922년에 회동서관에서 간행하였다. 총 3권인 이 책의 권1은 우선 유교의 본질을 서술하고 있다. 권2는 '왕양명전습록변'과 '인물성동이론'의 논쟁을 수록하여 호락시비의 원류와 연구자료를 제공하였
-
규장각 / 奎章閣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왕실 도서관이면서 학술 및 정책을 연구한 관서. 1776년(정조 즉위년) 3월, 궐내에 설치되었다. 역대 왕들의 친필·서화·고명(顧命)·유교(遺敎)·선보(璿譜) 등을 관리하던 곳이었으나 차츰 학술 및 정책 연구기관으로 변해 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