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유계” 에 대한 검색결과 2,754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2,724)

사전(808)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종실록(顯宗實錄)』 『시남집(市南集)』 『국조인물고(國朝人物考)』 『전고문헌(典攷文獻)』 (1607-1664) 1607(선조 40)∼...
    이칭별칭 무중(武仲)| 시남(市南)| 문충(文忠)
  •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
    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
    호란 때 설서로, 남한산성에서 김류를 목베기를 청한다. 뒤에 중도부처당한다.
    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유명윤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1629(인조 7)∼1669(현종 10). 조선 후기의 문신. [내용] 본관은 기계(杞溪). 자는 윤보(胤甫). 군수 대경(大儆)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참봉 양증(養曾)이고, 아버지는 계(棨)이며, 어머니는 이산악(李山岳)의 딸이다. ...
    이칭별칭 윤보(胤甫)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1383(우왕 9)∼1445(세종 27). 조선 전기의 문신. [개설] 본관은 문화(文化). 자는 숙행(叔行). 식(湜)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안택(安澤)이고, 아버지는 우의정 관(寬)이며, 어머니는 안씨(安氏)이다. 아버지 관이 원종...
    이칭별칭 숙행(叔行)| 안숙(安肅)

단행본(1)

  • 〈당악유사〉 표점본, 영인본 [호남지역 주요 문중문헌 조사 및 연구 | 전남대학교]
    저자 : 김대현(전남대학교 호남한문학연구실 책임교수), 권수용(전남대학교 호남한문학연구실 전임연구... | 출판사 : 정미문화사 | 출판일 : 2011.12.30
    분야문화‧생활 | 유형단행본
    金若晦韻二首 次前韻 元韻 辛卯春暮尋日出舊師時在命相庵卽景以訥齋韻書頌 次韻 師體貌癯勁 元韻 漁樵隱詩

고서·고문서(1,699)

  • 髽時 [성호전서 정본화 사업 | 한림대학교]
    nk_00063 문화‧생활 작품 조선 예설유편(禮說類編) 卷之二 喪禮_小斂 髽時 髽時 이익(李瀷, 1681~1763) DRAC_2:1:12:19Q 《家禮》婦人喪服“竹木爲簪”, 與《儀禮》不同. 《備要》云: “古禮成服用之, 與《家禮》不同.” DRAC_2:1...
    서명예설유편(禮說類編) | 저자이익(李瀷, 1681~1763) | 자료문의청명문화재단 태동고전연구소(www.chungmyung.org)
  • 내용분류교육/문화-문학/저술-문집 | 형식분류고서-문집 | 현소장처미국 버클리대학교 동아시아도서관(리치몬드 문고)
  • 내용분류교육/문화-문학/저술-문집 | 형식분류고서-문집 | 현소장처미국 버클리대학교 동아시아도서관(리치몬드 문고)
  • 1290 0652_01 集 01 문화ㆍ생활 문헌 조선 이전 종가, 일상생활, 교육생활, 문집, 李身圭, 集 한자 전적 WL265.JPG 목활자본 李身圭 선장본 1934년 26.5 15.8 2책 이전
    자료구분전적 | 현소장처상주박물관 | 자료문의경북대학교 우인수 교수
  • 1696년 서계(西溪)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
    내용분류사회-가족/친족-종중/문중자료 | 형식분류고문서-치부기록류-문중기록 | 현소장처의정부 장암 반남박씨

구술자료(13)

  • 하관시간을 놓쳐 발복하지 못한 선생의 묘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제보자가 먼저 이야기를 마치고서는 마을 근처에 있는 유계선생묘 이야기를 해주겠다 하며 이야기했다.
    조사일시2009.07.18 | 조사장소경상남도 함양군 병곡면 광평리 마평마을 | 제보자강금용(남,67세)
  • 서울굿 음반녹음 [민속악 현장조사 자료의 수집 및 정리, DB구축 | 서울대학교]
    52B) 일부를 녹음한 자료이다. 2) 음질 상 김혜란 김찬섭 김영재 이철주 미 장덕화 이은주 이춘희 최우칠 서울굿 부정거리 불사거리 마누라거리 무속음악 미상 미상 12:09 00
    자료구분상세음반녹음자료 | 자료유형무속음악 | 자료조사자이보형 | 대담자‧연주자유계미
  • 04_093 충남 충청남도 당진군 충청남도 당진군_얼카 뎅이 얼카 뎅이 잦은 호미매기 소리 충청남도 당진군 석문면 장고항리, 삼화2리. 2002.9.26 素MD 02-9-26 n.26 돌(1931년 장고항리 출생. 남. 18세에 삼화2리 이주) 이소라 이소
    녹음지역충청남도 당진군 석문면 장고항리, 삼화2리. | 녹음날짜2002.9.26 | 가창방식멕받형 (선후창)
  • 서울굿 음반녹음 [민속악 현장조사 자료의 수집 및 정리, DB구축 | 서울대학교]
    52B) 일부를 녹음한 자료이다. 2) 음질 상 김혜란 김찬섭 김영재 이철주 미 장덕화 이은주 이춘희 최우칠 서울굿 부정거리 불사거리 마누라거리 무속음악 미상 미상 12:09 00
    자료구분상세음반녹음자료 | 자료유형무속음악 | 자료조사자이보형 | 대담자‧연주자장덕화
  • 서울굿 음반녹음 [민속악 현장조사 자료의 수집 및 정리, DB구축 | 서울대학교]
    52B) 일부를 녹음한 자료이다. 2) 음질 상 김혜란 김찬섭 김영재 이철주 미 장덕화 이은주 이춘희 최우칠 서울굿 부정거리 불사거리 마누라거리 무속음악 미상 미상 12:09 00
    자료구분상세음반녹음자료 | 자료유형무속음악 | 자료조사자이보형 | 대담자‧연주자김영재

기초학문(3)

  • 무신정권기 정안임씨 임의 혼인망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신수정, 게재일 : 2006
    13520 신수정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고려사학회 2006 무신정권기 정안임씨 임의 혼인망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FRBR&metaDataId=4b76f6
    유형논문 | 게재일2006
  • , 無界 이론을 이용한 중국어 연구에 대한 고찰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이우철, 게재일 : 2010
    44813 이우철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중국인문학회 2010 , 無界 이론을 이용한 중국어 연구에 대한 고찰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
    유형논문 | 게재일2010
  • 조선후기~해방이전 자산가형 지방 유력자와 사계 - 포구상업도시 강경 덕유정계 사례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정연태, 게재일 : 2006
    lView.html?dbGubun=SD&category=ResearchPaper&m201_id=10005527&local_id=10009761 조선후기 ~ 해방 이전 商人層의 성장추구와 鄕射契 - 포구상업도시 江景의 덕 사례 https://www.k
    유형논문 | 게재일2006

신문·잡지(163)

  • 경제·산업 사건 근대 烈(烈商店 ) 수원 烈商店 本町 2町目 63 - - 면/견포 - - - 水原商工人名錄, 1942년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토대연구지원 서강대학교 최기영
    대표표제어劉桂烈(劉桂烈商店 ) | 지역수원 | 품목- | 영업종목면/견포 | 자료출처水原商工人名錄, 1942년
  • 본인이 셔셔인달방 슈사이십오統삼...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본인이 셔셔인달방 슈사이십오統삼호 초가오간 판각문셔와 슈표일쟝을 병야 셔실얏스니 슈모습득거던 슈사아 복덕방으로젼시면 후오리다 가쥬에 최명현 고
    게재일1905년 11월 21일 | 기사분류광고
  • 본인이 셔셔인달방 슈사이십오統삼...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본인이 셔셔인달방 슈사이십오統삼호 초가오간 판각문셔와 슈표일쟝을 병야 셔실얏스니 슈모습득거던 슈사아 복덕방으로젼시면 후오리다 가쥬에 최명현 고
    게재일1905년 11월 20일 | 기사분류광고
  • 근일 학부에셔 셩균관 관제를 다시 ...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근일 학부에셔 셩균관 관제를 다시 졍기로 다 셩균관쟝은 칙임 이등으로 고 교슈 일인만 두고 업이란 벼과 즁졍이란 벼 두리를 다더라
    게재일1900년 4월 4일 | 기사분류잡보
  • 쥰원샤거 어늬위관 한분이 그이웃에...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쥰원샤거 어늬위관 한분이 그이웃에거 김만을 잡아다가 문 형벌며 말기를 잇든 병뎡이 일젼에 도망엿신즉 너 필경알터이니 곳챠쟈노라고 무슈악형엿다더라
    게재일1900년 8월 24일 | 기사분류잡보

기타자료(37)

  • 문;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099893 북한 평남 숭실학교 3-05 회원명부(1938년 9월調) 牟義理 숭실교우회 1938―10―15 56면 1. 숭전·숭실 졸업생;2) 나, 라行部 문;文 전남 광주부 양림정;강계...
    학교소재지역평남 | 학교명숭실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상;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110076 남한 경기 송도고등보통학교 3-03 松都同窓會報 창간호, 1922 18면 1. 회원명부;2)통상회원부(무순);(2) 고등과 제2회 17명 (명치44년(1911) 6월 졸업) 상;
    학교소재지역경기 | 학교명송도고등보통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상;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113044 남한 경기 송도고등보통학교 3-03 송우 제7호 1933―03―18 88면 1. 졸업생상황;2) 한영서원 제2회(1911년 6월) 17명 상;相 미국
    학교소재지역경기 | 학교명송도고등보통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희;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045995 남한 경성 경성여자고등보통학교 1-12 회원명부 1939―12―20 84면 (학과)본과신제도 희;姬 15회 1937년
    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경성여자고등보통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순;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044625 남한 경성 경성여자고등보통학교 1-12 회원명부 1939―12―20 43면 (학과)사범과 순;順 9회 1923년
    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경성여자고등보통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주제어사전(30)

  • / [종교·철학/유학]

    1607(선조 40)∼1664(현종 5). 조선 후기의 문신·학자. 할아버지는 대경, 아버지는 양증, 어머니는 이신의 딸이다. 김장생의 문인이다. 송시열·송준길·윤선거·이유태 등과 더불어 충청도 유림의 오현으로 일컬어졌다. 저서로는 문집인『시남집』이 있다.

  • 윤선거 / 尹宣擧 [종교·철학/유학]

    1610(광해군 2)∼1669(현종 10). 조선 후기의 학자. 아버지는 황, 어머니는 성혼의 딸이다. 문거의 아우이며, 증의 아버지이다. 김집의 문인이다. 와 함께 저술한『가례원류』·『후천도설』 및 이에 관하여 와 논변한 편지를 비롯한 많은 저술을 남겼다.

  • 가례원류 / 家禮源流 [사회/가족]

    조선 후기의 학자이자 문신인 ()가 『가례』에 관한 여러 글을 분류, 정리한 책. 14권 8책. 목판본. 규장각 도서에 있다. 이 책은 『가례』의 본문을 기본으로 삼고, 삼례(三禮: 周禮·儀禮·禮記)에서 관계되는 사항을 뽑아서 주석으로 삼아 이를 원(源)이라

  • 유호서원 / 柳湖書院 [교육/교육]

    출발하였다. 「달류재기(達流齋記)」에 따르면, 곽재겸의 고택이 있던 ()와 채응린이 머물던 금호(琴湖)의 옛 정자가 금호강을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보고 있었는데, 채응린과 곽재겸 사후 두 사람의 도학과 행적을 기리기 위해 사우를 지어 위패를 봉안하였다. 후에 백

  • 관성제군오륜경 / 關聖帝君五倫經 [언어/언어/문자]

    1884년에 간행된 『오륜경』을 언해한 책. 목판본. 도교의 일종인 관성교의 경문 가운데서 오륜경을 언해한 책으로 한문원문 3장과 순한글 언해 7장 합하여 모두 10장으로, ()에 10행 21자로 되어 있으며, 한문 부분에만 ‘五倫經’이란 판심서명과 상흑어미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