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유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1,191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180)
사전(108)
- 동유사서해집평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조선 후기의 학자 유건휴(柳健休)가 사서(四書)에서 논의된 중요한 부분에 대하여 우리나라 선유(先儒)들의 평주(評註)를 모아 엮은 책. [내용] 6권 3책. 편찬 연대는 1762년(영조 38)경으로 보이나, 간행 연대는 이보다 훨씬 뒤인...이칭별칭사서집평
- 대야문집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조선 후기의 학자 유건휴(柳健休)의 시문집. [내용] 10권 5책. 목판본. 서문과 발문이 없어서 편자와 간행연대를 알 수 없다. 국립중앙도서관 등에 있다. 권1에 시 78수, 권2∼6에 서(書) 133편, 잡저 1편, 권7ㆍ8에...
- 이학집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조선 후기의 학자 유건휴(柳健休)가 성리학 외의 여러 학설에 대하여 비판하고 변론한 책. [내용] 5권 5책. 필사본. 저자 자신의 서문이 실려있다. 성리학 외의 학설을 일체 이단(異端)으로 규정하고, 이단에 대한 기존 여러...
- 유건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유생들이 도포ㆍ창의에 쓰던 검은 베로 만든 실내용 관모. [내용] 민자관(民字冠)이라고도 한다. 유건을 넓은 의미로 생원ㆍ학생ㆍ사인(士人) 등 유생이 착용하던 관건(冠巾)으로 볼 때에는 복건도 이에 포함된다. 그 형태를 『연려실기...이칭별칭민자관
- 유건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유생들이 도포‧창의에 쓰던 검은 베로 만든 실내용 관모.정의유생들이 도포‧창의에 쓰던 검은 베로 만든 실내용 관모.[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문광부표기yugeon | MR표기yugŏn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고서·고문서(949)
- 襲奠有巾 [성호전서 정본화 사업 | 한림대학교]nk_00019 문화‧생활 작품 조선 예설유편(禮說類編) 卷之二 喪禮_襲 襲奠有巾 襲奠有巾 이익(李瀷, 1681~1763) 答秉休問目 DRAC_2:1:7:2Q 謹按, 《家禮》“襲奠”條云: “以卓子置脯醢, 奠于尸東當肩、巾之云云.” 然考諸《士喪禮》, 則襲奠無巾也...서명예설유편(禮說類編) | 저자이익(李瀷, 1681~1763) | 자료문의청명문화재단 태동고전연구소(www.chungmyung.org)
- 유건호(柳建鎬) 간찰(簡札)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내용분류개인-생활-서간 | 형식분류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현소장처안동 오천 광산김씨 후조당
- 李淸病死審語 儒巾圖賴 [여유당전서 정본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ITKC_MP_0597A_1360 欽欽新書 卷二 ITKC_MP_0597A_1360_020_0080 李淸病死審語 儒巾圖賴 정약용(丁若鏞) 雜著類|論說類 여유당전서 定本 與猶堂全書 2012 다산학술문화재단 http://db.itkc.o...권차명欽欽新書 卷二 | 문체雜著類|論說類 | 저자정약용(丁若鏞, 1762 ~ 1836) | 자료문의다산학술문화재단(http://www.tasan.or.kr )
- 經史門1_酒淸肉乾 [성호전서 정본화 사업 (II) | 청명문화재단]酒淸肉乾酒淸肉乾: 국중본(가)ㆍ규장각본ㆍ동양문고본에는 이 단락이 없다. 와세다대본에 따라 보충한다. “酒淸肉乾”之義, 以《聘義》本文觀之, 蓋行禮繁多, 時刻差晩, 酒之濁者, 滓沈而至於淸, 肉之濕者, 日晅而至於乾, 非有別意也. 今云: “酒淸, 則味不佳, 而不敢飮爲訓....서명星湖先生僿說卷之十八 | 저자이익(李瀷, 1681~1763) | 자료문의청명문화재단 태동고전연구소(www.chungmyung.org)
- 4 第四統統首金有巾 [울산호적의 기초조사 및 전산화 (2단계) | 울산대학교]1702년_웅촌면(熊村面) 1702년 웅촌면(熊村面) 第五注南坊 4 第四統統首金有巾 統第一戶 故金儀良代子府御軍金有巾年肆拾壹壬寅本金海父御軍儀良祖定虜衛戒生曾祖御侮將軍行龍驤尉副護軍白亨 外祖金淡同本金海率母金召史年伍拾捌乙酉率子御保儀三年拾捌乙丑加現率同生女儀今年...연도_면이름1702년_웅촌면(熊村面) | 면이름웅촌면(熊村面) | 마을이름第五注南坊
구술자료(3)
- 자장가 메유건(엄마는 아들을 사랑해) [다문화 시대 한국학을 위한 이주민 설화 구술자료 DB 구축 | 건국대학교]베트남 20161121_033_003_베트남_03_호민두_E_자장가 메유건(엄마는 아들을 사랑해) 민속·문화 자장가 메유건(엄마는 아들을 사랑해) 2016. 11. 21(월) 오후 강원도 고성군 토성면 봉포리 호민두 [베트남, 남, 1997년생, 유학 1년차] 조사자국가베트남 | 제보자호민두 [베트남, 남, 1997년생, 유학 1년차] | 자료문의건국대학교 신동흔 교수
- 베트남_호민두 [다문화 시대 한국학을 위한 이주민 설화 구술자료 DB 구축 | 건국대학교]2016_033_베트남_03_호민두_P01 20161121_033_001_베트남_03_호민두_F_의붓자매 떰과 깜 20161121_033_002_베트남_03_호민두_M_용과 불사조의 자손 20161121_033_003_베트남_03_호민두_E_자장가 메유건(엄마는원국적베트남 | 자료문의건국대학교 신동흔 교수
- 강원 20161121_강원도 고성군 토성면 봉포리 [다문화 시대 한국학을 위한 이주민 설화 구술자료 DB 구축 | 건국대학교]떰과 깜 20161121_033_002_베트남_03_호민두_M_용과 불사조의 자손 20161121_033_003_베트남_03_호민두_E_자장가 메유건(엄마는 아들을 사랑해) 20161121_033_004_베트남_03_원황하이이옌_L_쩌우까우 유래 20161121_033제보자호민두 [베트남, 남, 1997년생, 유학 1년차] 원황하이이옌 [베트남, 여, 1997년생, 유학 1년차] | 자료문의건국대학교 신동흔 교수
기초학문(3)
- 공유건물에 대한 철거청구소송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김상수, 게재일 : 201458642 김상수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민사소송법학회 2014 공유건물에 대한 철거청구소송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o유형논문 | 게재일2014
- 조선 후기 영남 유학자의현학청담(玄學淸談) 이해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김백희, 게재일 : 2015=SD&category=ResearchPaper&m201_id=10056924&local_id=10061504 조선 후기 영남 유학자의 현학청담(玄學淸談) 이해 - 유건휴 [이학집변(異學集辨)]을 중심으로 https://www.krm.or.kr/krmt유형논문 | 게재일2015
- 글로벌 무역‧금융공급망관리를 위한 국제지급결제네트워크의 구축과 활용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류건우, 게재일 : 201419243 류건우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무역보험학회 2014 글로벌 무역‧금융공급망관리를 위한 국제지급결제네트워크의 구축과 활용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유형논문 | 게재일2014
신문·잡지(98)
- 柳建燮(-) [한말~식민지 시기 상공회의소 관련자료 조사 분석 및 DB화 | 서강대학교]경제·산업 사건 근대 柳建燮(-) 인천 柳建燮 - 支那町 49 - - 쌀(미),콩(대두),좁쌀(속),잡곡 판매 17 - 仁川港: 仁川商工人名錄, 1931년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토대연구지원 서강대학교 ...대표표제어柳建燮(-) | 지역인천 | 품목- | 영업종목쌀(미),콩(대두),좁쌀(속),잡곡 | 자료출처仁川港: 仁川商工人名錄, 1931년
- 金裕建(泰榮商會) [한말~식민지 시기 상공회의소 관련자료 조사 분석 및 DB화 | 서강대학교]경제·산업 사건 근대 金裕建(泰榮商會) 서울 金裕建 泰榮商會 堅志町 195 복장품 - 일본/서양식 잡화(和洋雜貨) 소매 36.9 - 京城商工名錄, 1940년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토대연구지원 서강대학교 ...대표표제어金裕建(泰榮商會) | 지역서울 | 품목복장품 | 영업종목일본/서양식 잡화(和洋雜貨) | 자료출처京城商工名錄, 1940년
- 劉建業(建和商店) [한말~식민지 시기 상공회의소 관련자료 조사 분석 및 DB화 | 서강대학교]경제·산업 사건 근대 劉建業(建和商店) 서울 劉建業 建和商店 蓬萊町 4-33 식료품 - 식료잡화 소매 22.2 - 京城商工名錄, 1940년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토대연구지원 서강대학교 최기영대표표제어劉建業(建和商店) | 지역서울 | 품목식료품 | 영업종목식료잡화 | 자료출처京城商工名錄, 1940년
- 운봉군 동면 건촌호슈가 겨우 삼십일...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운봉군 동면 건촌호슈가 겨우 삼십일호인 거월 십팔일 에 최로의 집에셔 불이나셔 이십팔호가 물슈히 즙물지 소화엿대 김귀옥과 최명은 불에 타 쥭고샹쟈가 십여인이니 그 호포 결세등을 견감야 인민을 구호케야 달나고 군슈 남쥰원씨가 부로 보고엿다더라게재일1900년 7월 17일 | 기사분류잡보
- 兩局長渡韓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일본연초 젼국장 인미유무씨와 조폐국장 장곡쳔위치씨가 한가지 한국에 츌발라 명을밧아 불일건너 온다더라게재일1907년 6월 4일 | 기사분류외국통신
기타자료(19)
- 유건락;柳建洛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122888 남한 경성 세브란스연합의학전문학교 1-33 교우회원주소급명부 1934―10 44면 유건락;柳建洛 경북 慶山;경성부 예지동 124 재학생 제4학년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세브란스연합의학전문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유건락;柳建洛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123949 남한 경성 욱의학전문학교 동창회명부(1943년 4월 현재) 1943 39면 유건락;柳建洛 경북 제13회 1935년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욱의학전문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고유건;高柳健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112145 북한 평남 평양사범학교 3-12 평양사범학교 졸업기념 1936 3면 1. 강습과 주소록;1) 1조 고유건;高柳健 전라남도 광주 학강정 62학교소재지역평남 | 학교명평양사범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유건락;柳建洛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107246 남한 경남 東萊高等普通學校 2-22 卒業證書臺帳 제1호(冊中1号) n.r. 12면 - 유건락;柳建洛 1927년 3월 18일학교소재지역경남 | 학교명東萊高等普通學校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유건락;柳建洛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008035 남한 경성 세브란스의학전문학교 1-33 세브란스연합의학전문학교일람 1934 104면 1. 제6편. 생도일람;1) 1. 在籍생도 명부;(1) 제4학년 유건락;柳建洛 (원적)경북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세브란스의학전문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주제어사전(11)
-
유건 / 柳健 [종교·철학/유학]
1708년(숙종 34)~미상. 조선 후기 문신. 증조는 유장운, 조부는 유환, 부친은 유창진이다. 외조는 이천재, 처부는 이기조이다. 1733년(영조 9) 식년시 생원 3등 68위와 진사 2등 23위로 입격하였고, 1743년(영조 19) 정시 병과 18위로 문과 급제하
-
회계수간 / 匯溪手簡 [언론·출판]
편자 이가원(1917-2000). 필사본. 서첩 구성은 1책 13면이다. 표제는 '회계수간'이라고 묵서 되어 있고 '연옹첨'이란 부제를 달아 편자를 밝혔다. 편자인 이가원이 편지의 발송인인 유건우와 유건익에 대한 이력을 첫 번째와 마지막 페이지에 각각 적어 놓았다.
-
유치구 / 柳致球 [문학/한문학]
은 막히는 것이 없었다고 한다. 그 뒤에 유장원(柳長源)의 문하에서 성리학을 깊이 배운 유건휴(柳建休)에게 배움을 청하는 글을 올렸다. 당시 유건휴를 가르쳤던 유장원은 『퇴도서절요(退陶書節要)』10권을 쓰고 소퇴계(小退溪)라고 추앙받던 이상정(李象靖)의 뛰어난 제자였다
-
두건 / 頭巾 [생활/의생활]
·문라건(文羅巾)·오건(烏巾)은 모두 두건에 속하는 것이었고, 조선시대 때의 유건(儒巾)·복건(幅巾)·평정건(平頂巾) 등도 이에 속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
백두산설화 / [문학/구비문학]
백두산에 있는 산봉·호수·암석·동식물 등과 관련된 설화. 백두산설화가 본격적으로 수집 정리된 것은 청나라 말에 유건봉(劉建封)이 편찬한 『장백산강강지략 長白山江崗志略』에서부터이다. 유건봉은 청나라 길림성 안도현 지현(知縣)을 역임한 사람으로 1908년 5월부터 국경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