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위백규” 에 대한 검색결과 45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39)

사전(18)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원류 原類≫‧≪연어 然語≫ 등이 있다. 司馬榜目 存齋集 屛溪先生文集(尹鳳九) 梅山集(洪直弼) 朝鮮儒學史(玄相允, 民衆書館, 1949) 의 生涯와 思想(河聲來, 實學論叢, 湖南文化硏究所,...
    이칭별칭 자화(子華)| 존재(存齋), 계항(桂巷), 계항거사(桂巷居士)
  • 옥계서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경상남도 합천군 봉산면 술곡리에 있는 서원. [내용] 조선시대 지방유림의 공의로 이이(李珥)의 도덕과 학행을 추모하기 위해 창건하여 위패를 모셨다. 창건연대는 미상이며, 그 뒤에 민봉구(閔鳳九)‧채두남(蔡斗南)‧(...
  • 장흥장천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서재로 이용되어왔다고 한다. 현 건물은 1870년경 중건한 건물로서 한때 ()가 수학하였던 곳이다. 는 이곳, 즉 장흥부 계춘동(지금의 관산읍 방촌리)에서 태어나 평생동안 벼슬을 하지 않고 학문으로만 일생을 마쳤으며, 천문‧지리‧율력‧의학서 등에...
    연계항목장흥장천재(長興長川齋)
  • 자회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1787년(정조 11) ()가 지은 가사. [개설] 필사본. 총 144구. 『삼족당가첩(三足堂歌帖)』과 『존재가첩(存齋歌帖)』에 수록되어 있다. 1974년 경인출판사에서 간행한 영인본 『존재전서...
  • 농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조선 후기에 ()가 지은 시조. [개설] 모두 9수의 연시조이다. 『존재가첩(存齋歌帖)』‧『삼족당가첩(三足堂歌帖)』‧『사중약강회명첩(社中約講會名帖)』 등에 전한다. 『삼족당가첩』의 작품은 1972년 심재완(沈載完) 편 『역대시...

고서·고문서(12)

  • 下乙四 疇咨若時 【梅云:“誰能咸熙庶績,順是事者?”】 [여유당전서 정본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
    工之度也。百工奏績,有大臣爲之量度而考校之,此之也。梅說恰好,不可少也。○此節蓋求百揆之材。 《周禮》賈序引鄭註,以‘疇咨若時’爲堯末年事,非也。鄭於《書大傳》之註云:“舜格文祖之年,堯始以羲ㆍ和爲六卿。” 【見《古訓》】 兩說豈不矛盾乎? 577쪽
    권차명與猶堂全書補遺○尙書知遠錄 洌水 丁鏞 述 | 문체雜著類|論說類 | 저자정약용(丁若鏞, 1762 ~ 1836) | 자료문의다산학술문화재단(http://www.tasan.or.kr )
  • 帝曰:“棄,黎民阻飢,汝后稷,播時百穀。” [여유당전서 정본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
    “阻,難也。” ○鄭云:“時讀曰蒔。始者洪水時,衆民厄於飢,汝居稷官,種蒔五穀,以救活之。”【〈周頌ㆍ思文〉疏】 ○梅云:“美其前功以勉之。” ○王云:“播,敷也。堯遭洪水,民不粒食,衆民之難,在於飢。”【謂追美其功】 ○鏞案 於禹追美其功,而繼曰勉哉者,改命故也。於稷追美其功,而遂無勉語者,...
    권차명尙書古訓 卷二 | 문체雜著類|論說類 | 저자정약용(丁若鏞, 1762 ~ 1836) | 자료문의다산학술문화재단(http://www.tasan.or.kr )
  • 告子下 第十章 (제십장) [성호전서 정본화 사업 | 한림대학교]
    【不生󰑧.】 【 】: 규장각본(나)에는 원주가 없다. HCME_6:2:10:1 貉, 二十取一而足. 故爲“貉道”, 何有於大小貉之別也? 愚恐此一節卽懸空汎說, 非但指白圭. 故大小桀非與於白圭, 而亦該擧之. 蓋什一先王之中制, 不可輕重之也. 後人欲輕之者非一, 欲重之者...
    서명맹자질서 | 저자이익(李瀷, 1681~1763) | 자료문의청명문화재단 태동고전연구소(www.chungmyung.org)
  • 辨大予樂之均鍾木卽樂家之蟊賊 [여유당전서 정본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
    一寸之內細刻,將至於萬九千六百八十三分,此非九寸之管所能盡刻。雖以百分爲一分,其一寸細刻,猶將十六分零。此所謂離朱之明,猶不能盡窮者也。九寸之管,其可用乎?於是佯尊律管,以立道本,私造別律,以節音聲,或名曰準,或名曰均,或名曰通。雖其分數各殊,名稱胥異,若其刻劃分寸,按畫考聲,以代古同律之用,...
    권차명樂書孤存 卷二 | 문체雜著類|論說類 | 저자정약용(丁若鏞, 1762 ~ 1836) | 자료문의다산학술문화재단(http://www.tasan.or.kr )
  • 帝曰:“疇咨若時,登庸?” 放齊曰:“胤子朱啓明。” 帝曰:“吁。嚚訟可乎?”【馬本,訟作庸。《說文》,疇作𢏚,朱作絑。《玉篇》,啓作启】 [여유당전서 정본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
    之職。揆者,度也。【《易》云:“揆其方。” 《詩》云:“揆之以日。”】 百揆者,百工之度也。百官奏績,有大臣爲之量度而考校之,此之也。【蔡云:“此下至鯀績用弗成,皆禪舜張本。” 孔疏亦以爲求舜張本。蓋帝意,將以舜宅百揆】 馬云:“胤,嗣也。” 鄭云:“帝堯胤嗣之子,名曰丹朱。開明也。”【見《史...
    권차명尙書古訓 卷一 | 문체雜著類|論說類 | 저자정약용(丁若鏞, 1762 ~ 1836) | 자료문의다산학술문화재단(http://www.tasan.or.kr )

기초학문(9)

  • 存齋 의 현실인식과 시적 형상화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박명희, 게재일 : 2006
    21516 박명희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고시가문학회 2006 存齋 의 현실인식과 시적 형상화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
    유형논문 | 게재일2006
  • 구전 이야기를 통해 본 의 생애 재구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서해숙, 게재일 : 2004
    37651 서해숙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어문연구학회 2004 구전 이야기를 통해 본 의 생애 재구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
    유형논문 | 게재일2004
  • 18세기 鄕村 知識人의 自我 構成 : 存齋 의 경우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 게재일 : 2013
    60586 한국연구재단 민족문화연구원 2013 18세기 鄕村 知識人의 自我 構成 : 存齋 의 경우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ory=
    유형논문 | 게재일2013
  • 존재 의 「格物說」 〈尙論〉 연구― 작품 내적 논리와 특징적 수사를 중심으로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박동주, 게재일 : 2014
    55889 박동주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대동문화연구원 2014 존재 의 「格物說」 〈尙論〉 연구― 작품 내적 논리와 특징적 수사를 중심으로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
    유형논문 | 게재일2014
  • 18세기 향촌재지사족의 梅花의 기억과 사유―존재 의 「然語」의 경우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박동주, 게재일 : 2012
    29060 박동주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대동문화연구원 2012 18세기 향촌재지사족의 梅花의 기억과 사유―존재 의 「然語」의 경우 https://www.krm.or.kr/krmts/sea
    유형논문 | 게재일2012

주제어사전(6)

  • /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실학자(1727∼1798). 천거로 옥과현감·장원서별제·경기전령 등을 지냈다. 경세론은 물론 경학·지리·역사·의학 등에 밝아 실학자적인 면모를 갖추었다. 저서로 《정현신보》·《본초강목》·《고금》등이 있다. 죽천사에 배향되었다.

  • 신편표제찬도환영지 / 新編表題纂圖寰瀛誌 [언론·출판/출판]

    자부(子部) - 유서류(類書類) () 저, 목판본, 2권 1책. 표제는 지도서(指圖書), 판심제는 환(寰)이다. 가 천문(天文), 지리(地理) 등에 도설을 덧붙인 유서이다.

  • 존재가첩 / 存齋歌帖 [문학/고전시가]

    조선후기 학자 와 위세보의 시조 「농가」와 가사 「자회가」·「금당별곡」 등을 수록한 가집.첩·가곡류. 의 「농가」 9장은 농부화의 추세 속에 놓인 향촌사족층인 서생(書生)이 자영농(自營農)의 자리로 이전해가는 단계를 전형적으로 반영한 작품으로 평가되며,

  • 영귀서원 / 詠歸書院 [교육/교육]

    1)에 허계(許繼), 1846년(헌종 12)에 허소(許紹)를 추가 배향하였다. 선현배향과 지방교육의 일익을 담당하여오던 중 흥선대원군의 서원철폐령으로 1868년(고종 5)에 훼철되었다가 1960년전라남도 유림에 의하여 현재의 위치에 복원되었다. 1965년에는 (

  • 자회가 / 自悔歌 [문학/고전시가]

    1787년(정조 11)()가 지은 가사. 필사본. 총 144구. 『삼족당가첩(三足堂歌帖)』과 『존재가첩(存齋歌帖)』에 수록되어 있다. 1974년 경인출판사에서 간행한 영인본 『존재전서(存齋全書)』 하권 부록편에도 수록되어 있다. 「자회가」는 제목 그대로 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