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월인천강지곡”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6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50)
사전(46)
- 월인천강지곡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조선시대 세종(재위 1418-1450)이 지은 악장체의 찬불가(讚佛歌).정의조선시대 세종(재위 1418-1450)이 지은 악장체의 찬불가(讚佛歌).[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문광부표기Worin cheon gang ji gok | MR표기Wŏrin ch’ŏn kang chi kok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월인천강지곡(月印千江之曲)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월인천강지곡 월인천강지곡 月印千江之曲 음악국어학/불교 문헌 한국 조선 세종 성낙수 박종국 2014 세종(世宗) 주자소 1447년(세종 29) 3권 3책 대한교과서주식...
- 월인석보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1459년(세조 5)에 세조가 세종이 지은 「월인천강지곡(月印千江之曲)」을 본문으로 하고 자신이 지은 『석보상절(釋譜詳節)』을 설명부분으로 하여 합편한 책. [내용] 목판본. 초간본 10권(권1‧2‧7‧8‧9‧10‧13‧14‧17‧18)...연계항목월인석보(月印釋譜)
- 월인석보(月印釋譜)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고려대학교 아세아문제연구소, 김민영(개인소장), 호암미술관, 연세대학교, 수타사, 보림사, 삼성출판박물관 [정의] 1459년(세조 5) 『월인천강지곡(月印千江之曲)』과 『석보상절(釋譜詳節)』을 합쳐 석가의 일대기를 서술한 책. [개설] ...
- 통문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월인천강지곡 月印千江之曲≫(원본 재현), 1970년대에 이병주(李丙疇)의 ≪두시언해비주 杜詩諺解批注≫, 1980년대에 이동향(李東鄕)의 ≪가헌신기질사연구 稼軒辛棄疾詞硏究≫ 등이 있다. 통문관 책방비화(李謙魯, 匡祐堂, 1987) ...
고서·고문서(2)
- 월인천강지곡한언문(月印千江之曲漢諺文) [해외소장 한국전적의 해제 및 디지털화를 통한 공유화 사업(2단계) | 고려대학교]내용분류교육/문화-문학/저술 | 형식분류고서-기타 | 현소장처일본 동양문고(東洋文庫)
- 〈국어학 사전〉(1995) 해제 [사전 편찬 정보 통합 DB 구축 | 고려대학교]항목으로 이루어져 있다. 국어학의 음운, 문법, 의미, 국어사 등 전분야의 학술 용어뿐만 아니라 일반 언어학 용어 등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훈민정음이나 월인석보, 월인천강지곡 같은 중세국어 문헌이나 대한문전 등과 같은 후대의 학술 문헌에 이르기까지 국어학 관련 주요 문...대표표제어〈국어학 사전〉(1995) 해제 | 편저자 한글학회 | 권수 1책
기초학문(1)
- 佛所行讚과 月印千江之曲의 붓다관 비교 연구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김유미, 게재일 : 201552291 김유미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불교연구원 2015 佛所行讚과 月印千江之曲의 붓다관 비교 연구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유형논문 | 게재일2015
신문·잡지(1)
- 조선_1930_185 [국내외 근현대 신문잡지 자료의 조사, 수집 해제 및 DB화 | 성균관대학교]二十年我が國は朝鮮で何を爲したか 萩原彦三 9 朝鮮水産物罐詰製造營業取締規則の發布に就て 松村松盛 30 月印千江之曲と釋譜詳節とに就きて 今西龍...발행국가한국 | 발행연도1930
연구과제(2)
-
월인천강지곡 (月印千江之曲)
한국 학술 번역사업 | Thorsten TRAULSEN | Ruhr-Universität Bochum | 2014 | 국외 | 해외
-
석보상절 권3,6,9,11
한국 학술 번역사업 | Bella Pak | Institute of Oriental Studies, Russian Academy of Sciences | 2021 | 국외 | 해외
주제어사전(4)
-
월인천강지곡 / 月印千江之曲 [언론·출판/출판]
조선 세종이 1449년(세종 31)에 지은 불교 찬가(讚歌). 활자본. 상 · 중 · 하3권. 현재 상권 1책과 중권의 낙장이 전할 뿐이다. 보물 제398호. 이 책은 《석보상절》과 함께 합편되어《월인석보》로 간행되었다. 원간본과의 대조에 의하면, 이때 《석보상절》보
-
월인석보 / 月印釋譜 [언론·출판/출판]
1459년(세조 5)에 세조가 세종이 지은「월인천강지곡(月印千江之曲)」을 본문으로 하고 자신이 지은『석보상절』을 설명부분으로 하여 합편한 책. 목판본. 초간본 10권(권1·2·7·8·9·10·13·14·17·18) 8책과 중간본 4권(권21·22·23·25) 4책이
-
지장경언해 / 地藏經諺解 [언어/언어/문자]
제목이 나란히 적혀 있어서 『월인석보』 권21과의 관계를 알 수 있다. 본문은 『월인천강지곡』 제412부터 제417까지를 간행당시의 표기법에 따라 고쳐 써 놓은 다음에 ‘도리텬궁신통품(忉利天宮神通品)’ 등 13품을 상·중·하로 나누어 실었는데, 각품(各品)의 아래에 『
-
궁체 / 宮體 [예술·체육/서예]
여 궁체를 형성하였다고 보는 것이 일반적이다.『훈민정음』 원본의 한글은 한자의 전서(篆書)와 같이 획이 둥근 원필(圓筆)을 썼다. 그런데 원필은 쓰기에 많은 시간과 노력이 소요되므로 그 뒤에 간행된 『석보상절』·『월인천강지곡』 등에서는 쓰기에 편리한 방필(方筆)로 바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