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월인석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79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71)
사전(66)
- 월인석보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보면 『석보상절』 권11과 권19의 내용이 각각 『월인석보』 권21과 권18에 나타나는가 하면, 같은 권13이 『석보상절』은 『법화경』 권1, 『월인석보』는 『법화경』 권2,3의 내용을 담고 있는 등, 권11부터 권차(卷次)가 달라져 있다. 문장과 표기법을 보면 「월인...연계항목월인석보(月印釋譜)
- 월인석보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1459년에 세조(재위 1455-1468)가 세종(재위 1418-1450)이 지은 〈월인천강지곡(月印千江之曲)〉을 본문으로 하고 자신이 지은 《석보상절(釋譜詳節)》을 설명부분으로 하여 합편한 책.정의1459년에 세조(재위 1455-1468)가 세종(재위 1418-1450)이 지은 〈월인천강지곡(月印千江之曲)〉을 본문으로 하고 자신이 지은 《석보상절(釋譜詳節)》을 설명부분으로 하여 합편한 책.[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문광부표기Worin seokbo | MR표기Wŏrin sŏkpo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월인석보(月印釋譜)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월인석보 월인석보 月印釋譜 불교국어학 문헌 한국 조선 세조 성낙수 박종국 2014 세조(世祖) 1459년(세조 5) 25권 서강대학교 도서관, 동국대학교 도서관,
- 선우태자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작자‧연대 미상의 고전소설. [구성 및 형식] 목판본. 『월인석보(月印釋譜)』에 실린 독립 작품이므로 15세기에 언해되었다고 추정된다. [내용] 이 작품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바라나국왕과 제일부인이 기도하여 선우태자를 낳...
- 목련경언해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羅尼經諺解)』와 함께 남부방언의 자료가 된다. 그런데 『목련경』의 언해는 『월인석보(月印釋譜)』 권23에 수록되어 전한다. 『월인석보』가 『석보상절(釋譜詳節)』의 내용을 수정하여 담고 있으므로, 『목련경』은 한글 창제 직후에 이미 번역되었다고 하겠다. 약 500...
고서·고문서(2)
- 〈국어학 사전〉(1995) 해제 [사전 편찬 정보 통합 DB 구축 | 고려대학교]항목으로 이루어져 있다. 국어학의 음운, 문법, 의미, 국어사 등 전분야의 학술 용어뿐만 아니라 일반 언어학 용어 등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훈민정음이나 월인석보, 월인천강지곡 같은 중세국어 문헌이나 대한문전 등과 같은 후대의 학술 문헌에 이르기까지 국어학 관련 주요 문...대표표제어〈국어학 사전〉(1995) 해제 | 편저자 한글학회 | 권수 1책
- 상춘완경가 [경상북도 내방가사 조사,정리 및 DB구축 | 안동대학교][월인석보]에서 ‘다다’를 찾을 수 있고 [석보상절]에서 ‘다라’가 나타나는 것으로 보아 ‘다다/다다]다다]다르다]다다르다’의 변화를 겪었다고 볼 수 있다. ‘다-’은 후대 문헌에 다양하게 표기되어 나타나는데, 이러한 표기들은 7종성법의 경향에 따라 ‘다...가사유형여행가류 | 소장처김구현 | 시대해방이후
기초학문(3)
- 월인석보의 저본에 관한 연구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게재일 : 200143731 한국연구재단 서지학회 2001 월인석보의 저본에 관한 연구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ory=ResearchPaper&m201_유형논문 | 게재일2001
- 필사본 금강경언해와 월인석보의 관계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게재일 : 201368996 한국연구재단 한국서지학회 2013 필사본 금강경언해와 월인석보의 관계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ory=ResearchPaper유형논문 | 게재일2013
- 『월인석보』 권두 부속문자의 서지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이호권, 게재일 : 201124709 이호권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민족문화연구소 2011 『월인석보』 권두 부속문자의 서지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유형논문 | 게재일2011
연구과제(1)
-
석보상절 권3,6,9,11
한국 학술 번역사업 | Bella Pak | Institute of Oriental Studies, Russian Academy of Sciences | 2021 | 국외 | 해외
주제어사전(7)
-
월인석보 / 月印釋譜 [언론·출판/출판]
1459년(세조 5)에 세조가 세종이 지은「월인천강지곡(月印千江之曲)」을 본문으로 하고 자신이 지은『석보상절』을 설명부분으로 하여 합편한 책. 목판본. 초간본 10권(권1·2·7·8·9·10·13·14·17·18) 8책과 중간본 4권(권21·22·23·25) 4책이 보
-
선우태자전 / 善友太子傳 [문학/고전산문]
작자·연대 미상의 고전소설. 목판본. 『월인석보(月印釋譜)』에 실린 독립 작품이므로, 15세기에 언해되었다고 추정된다. 이 작품은 고전소설의 전기적 유형에 속하는 영웅의 일대기이다. 불교경전에 근거를 둔 포교문학이기는 하지만, 불교의 냄새를 전혀 풍기지 않는 순수한
-
이동림 / 李東林 [언어/언어/문자]
본관은 원주(原州). 호는 허당(虛堂). 강원도 영월 출신. 국어학자. 1950년동국대학교(東國大學校) 국어국문학과를 졸업하고, 1957년 3월 동 대학원에서 <월인석보소고 月印釋譜小考>로 문학석사 학위, 1970년 9월 동 대학원에서<동국정운연구 東國正韻硏究> 로
-
지장경언해 / 地藏經諺解 [언어/언어/문자]
제목이 나란히 적혀 있어서 『월인석보』 권21과의 관계를 알 수 있다. 본문은 『월인천강지곡』 제412부터 제417까지를 간행당시의 표기법에 따라 고쳐 써 놓은 다음에 ‘도리텬궁신통품(忉利天宮神通品)’ 등 13품을 상·중·하로 나누어 실었는데, 각품(各品)의 아래에 『
-
월인천강지곡 / 月印千江之曲 [언론·출판/출판]
조선 세종이 1449년(세종 31)에 지은 불교 찬가(讚歌). 활자본. 상 · 중 · 하3권. 현재 상권 1책과 중권의 낙장이 전할 뿐이다. 보물 제398호. 이 책은 《석보상절》과 함께 합편되어《월인석보》로 간행되었다. 원간본과의 대조에 의하면, 이때 《석보상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