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월봉집” 에 대한 검색결과 총 22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21)
사전(16)
- 월봉집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및 「조천별장(朝天別章)」은 1624년(인조 2) 주문사(奏聞使)의 서장관으로 명나라에 다녀올 때 주고받은 시들을 모은 것이다. 월봉집 월봉...
- 월봉집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조선 중기의 고승 무주(無住)의 시문집. [내용] 3권 1책. 목판본. 1703년(숙종 29) 2월 담양 추월산 용추사(龍湫寺)에서 개판하였다. 권두에 대덕질(大德秩)로서 혜인(惠仁)ㆍ일옥(一玉)ㆍ현옥(玄玉)ㆍ추붕(秋鵬) 등이 기록되었으며...
- 유영길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0년 예조참판으로 치사하였다. 시문에 능하였다. 저서로는 『월봉집』이 있다. 『명종실록(明宗實錄)』 『선조실록(宣祖實錄)』 『국조방목(國朝榜目)』이칭별칭 덕순(德純)| 월봉(月蓬)
- 고부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그가 죽자 김상용(金尙容)ㆍ장유(張維)ㆍ최명길(崔鳴吉)ㆍ이상형(李尙馨) 등 당시 명공석학들의 많은 만장이 답지하였다. 저서로는 『월봉집』 9권이 있다. 『광해군일기(光海君日記)』 『인조실록(仁祖...이칭별칭 군섭(君涉)| 월봉(月峯)
- 홍보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그리고 청나라에 들어가 군대징발 요청에 대한 나라 사정을 진술하기도 하였다. 저서로 『월봉집』이 있다. 영의정에 추증되었으며, 시호는 경헌(景憲)이다. 『인조실록(仁祖實錄)』 『국조방목(國朝榜目...이칭별칭 여시(汝時)| 월봉(月峰)| 경헌(景憲)
고서·고문서(5)
- 월봉집 [영남학파의 사유세계와 역사인식 -영남학파 문집 상세 해제 및 주요저작 번역- (2단계) | 한국국학진흥원]之日韓裕伯以詩起之和以示 月峯集 志, 附原韻, 和贈曺德厚(潤邦)(1644), 附原韻, 夜坐, 歎老, 念孫兒(1645, 乙酉避疫入山), 病起 初往霞洞新舍(1641), 和示女壻全伯兪(命龍), 和贈伯兪, 附原韻, 和贈伯兪(1642), 贈伯兪在 鍾城, 聞北關監都皆遆憂念伯兪而作,...분야문학 | 유형문헌
- 월봉집(月峯集) [해외소장 한국전적의 해제 및 디지털화를 통한 공유화 사업(2단계) | 고려대학교]내용분류교육/문화-문학/저술 | 형식분류고서-문집 | 현소장처일본 동양문고(東洋文庫)
- 月峯集 01 [조선시대 영남지역 종가생활문화자료 집성 및 DB화 | 경북대학교]1089 0559_01 月峯集 01 문화ㆍ생활 문헌 조선 황정 종가, 일상생활, 교육생활, 月峯集, 시문집, 문집, 高傅川 한자 전적 SH025.JPG 목판본 高傅川 선장본 1860년 33.8 22.5 2책 ...자료구분전적 | 현소장처황규욱 | 자료문의경북대학교 우인수 교수
- 고부천(高傅川)의 『월봉집(月峯集)』 [호남권 한국학자료센터 구축(1단계) | 전북대학교]『月峯集』은 맨 처음 저자의 아들 悔過가 원고 수집을 했고 다시 그 손자 때 吟味贈遺詩 수십 편을 더 얻었으며 또 현손 때에 와서는 제가의 문집 기타 현판 등을 참고로 더욱 증보를 해 놓았다가 1860년(철종 11) 6세손 時佐에 이르러 간행되었다. 고부천은 부‧숙부...내용분류교육/문화-문학/저술-문집 | 형식분류고서-문집 | 현소장처전남대학교 중앙도서관
- 풍악록(楓樂錄) [금강산유람록 번역 및 주해 | 경상대학교]) 월봉(月峯) : 고부천(高傅川, 1578-1636)의 호이다. 자는 군섭(君涉), 본관은 장흥(長興)이다. 1615년 38세에 알성문과시에 병과로 급제하여 교서관 정자, 지제교, 사헌부 장령 등 청환직을 역임하였다. 저술로 『월봉집』이 있다., 청음(淸陰) 청음(淸...구분금강산 유람기 | 저자윤휴(尹鑴) | 자료문의경상대학교 장원철 교수 연구팀
주제어사전(1)
-
월봉집 / 月峯集 [종교·철학/유학]
고인계의 문집. 목판본, 서: 홍상민, 5권 2책. 7세손 고몽찬이 1856년에 후손 고택룡과 저자의 문집을 간행하려고 구본의 시 2책과 문 2책을 다시 교정하여 각각 1책으로 줄이고 부록까지 포함하여 5권 2책으로 재편하였다. 권수에는 홍상민이 지은 서문과 목록이 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