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원종공신” 에 대한 검색결과 2,340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2,320)

사전(684)

  • 장유성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생몰년 미상. 조선 전기의 역관. [내용] 사역원가제조(司譯院假提調)를 거쳐 통사(通事)가 된 인물로 1457년(세조 3) 세조의 왕위찬탈에 공헌한 공로로 () 3등에 녹훈되었다. 통사란 조선시대의 역관(譯官)의 하나로서
  • 길회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의 고사를 인용하여 연을 버리고 말을 타고 돌아갈 것을 주청하여 흔쾌한 윤허를 받았다. 이후 재차 헌납ㆍ장령 등 청요직(淸要職)을 역임하였다. 죽은 뒤인 1603년에 호종한 공으로 () 1등에 추록되었다. 품성이 단아하고 지조가 굳었으며 경학(經學...
    이칭별칭 사가(士可)
  • 김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1405(태종 5)∼1484(성종 15). 조선 전기의 문신. [개설] 본관은 안산(安山). 자는 선택(宣澤). 아버지는 연성군(蓮城君) 정경(定卿)이다. [내용] 1422년(세종 4) 음직(蔭職)으로 남부녹사(...
    이칭별칭 선택(宣澤)| 평호(平胡)
  • 김계종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생몰년 미상. 조선 전기의 무신. [내용] 1455년(세조 1)에 사용(司勇)으로 세조 () 2등에 책록되었다. 1467년 건주야인(建州野人) 토벌 때 세운 공으로 다대포만호(多大浦萬戶)가 되고, 이어서 사량만...
  • 김곤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생몰년 미상. 조선 전기의 문신. [내용] 1455년 세조가 즉위하자 에 책록되었다. 1479년(성종 10)영안도(永安道 : 현재 咸鏡道)지방의 반란을 무마하기 위하여, 선전관으로 남도절도사 김서형(金瑞衡)과 함께 파...

고서·고문서(1,633)

  • 좌익녹권(佐翼錄卷)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
    1458년경에 금속활자로 제작된 좌익녹권(左翼錄券)을 베껴 쓴 책이다. 좌익공신은 세조가 왕위에 오르는데 공을 세운 신하들에게 내려진 공신 명칭이다. 은 이들 공신들에 비해 세운 공이 작은 신하들에게 내려지는 명칭이다. 좌익공신으로는 44명이,
    내용분류국왕‧왕실-교령-공신녹권 | 형식분류고문서-교령류-공신녹권 | 현소장처규장각한국학연구원
  • 분무록권(奮武錄券) [해외소장 한국전적의 해제 및 디지털화를 통한 공유화 사업(2단계) | 고려대학교]
    내용분류정치/행정-조직/운영 | 형식분류고서-기타 | 현소장처일본 동양문고(東洋文庫)
  • 1591년 유우(柳祤) 광국록(光國錄)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
    내용분류국왕/왕실-교령-공신녹권 | 형식분류고문서-교령류-공신녹권 | 현소장처안동 하회 풍산유씨 충효당
  • 1395년 개국녹권(開國錄券)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
    1395년(태조 4) 윤9월에 개국으로 책록하는 증서이다. 개국은 이성계를 왕으로 추대하여 조선왕조를 창업한 정공신 다음으로 공을 세운 신하들에게 내리는 훈호이다. 당시 개국으로 책록되면 공신 훈호와 함께 녹권을 받았으며, 그의 부모와 처는 봉작...
    내용분류국왕‧왕실-교령-공신녹권 | 형식분류고문서-교령류-공신녹권 | 현소장처서울 성암고서박물관
  • 1605년 유균(柳袀) 호성녹권(扈聖錄券)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
    내용분류국왕/왕실-교령-공신녹권 | 형식분류고문서-교령류-공신녹권 | 현소장처안동 하회 풍산유씨 충효당

기초학문(1)

  • 柳觀, 辛克敬, 鄭津 朝鮮 開國錄券 연구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남권희, 게재일 : 2009
    30299 남권희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영남문화연구원 2009 柳觀, 辛克敬, 鄭津 朝鮮 開國錄券 연구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
    유형논문 | 게재일2009

신문·잡지(2)

  • 선무록권 정중환 179
    발행국가한국 | 발행연도1962
  • 조선출판경찰월보 104호 강남악부 [일제강점기 제국과 식민지의 출판 검열 자료 DB 구축 | 선문대학교]
    분에 선무이등록(宣武二等錄)에 올랐다. 계묘(癸卯), 무과에 합격, 관도(官都) 도사(都事)에 이르렀다. 예부터 호준(豪俊)이 출현하는 때가 있다. 무화란(武禍亂)을 평정해야 참된 남아다. 곽분양(郭汾陽)의 막리(幕裏)에서는 웅략(雄略)을 모았고, 제갈(...
    대표표제어조선출판경찰월보 104호 강남악부 | 출판물명강남악부(江南樂府) 전1책

주제어사전(20)

  • / [정치·법제/법제·행정]

    왕을 수종해 공을 세운 사람에게 준 칭호, 또는 그 칭호를 받은 사람. 공신을 크게 나누면, 배향공신과, 훈공을 나타내는 명호를 1등에서 3등 또는 4등으로 나누어 포상하는 훈봉공신이 있다. 그리고 훈봉공신은 다시 정공신과 으로 나뉜다. 실록에 나오는

  • 개국 / 開國 [역사/조선시대사]

    조선시대 개국공신을 늘리려는 의도에서 에게 내린 칭호 또는 그 칭호를 받은 사람. 조선에 들어와 신포상 제도로서 마련된 것이다. 정공신인 개국공신을 늘리려는 의도가 변경되어 28인의 원종 공신을 책봉한 데서 비롯되었다.

  • 김천리 개국녹권 / 金天理開國錄券 [역사/조선시대사]

    1395년 공신도감에서 김천리를 개국에 녹훈하며 발급한 녹권. 보물 제1076호. 1축. 필사본. 개국은 1392년(태조 1)부터 1397년까지 여러 차례에 걸쳐 1,400명에게 봉해졌는데, 김천리가 녹권을 받을 때에는 695인이 받았다. 그 때 그들

  • 김회련 개국녹권 / 金懷鍊開國錄券 [역사/조선시대사]

    1395년 공신도감에서 문신 김회련을 개국에 녹훈하며 발급한 녹권. 보물 제437호. 녹권은 공신에게 내려주는 문서로서 공신에 오른 자의 증서라 할 수 있다. 조선초에는 개국(開國)·정사(定社)·좌명(佐命)의 정공신(正功臣)에게는 공신교서와 녹권을 함께 주었

  • 공신 / 功臣 [역사]

    국가나 왕실을 위해 공을 세운 사람에게 주던 칭호 또는 그 칭호를 받은 사람. 크게 배향공신과 훈봉공신으로 분류될 수 있으며, 훈봉공신은 다시 정공신과 으로 나누어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