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원점” 에 대한 검색결과 295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290)

사전(135)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것으로 생각된다. 점이라는 것은 한 장단 안에서 장구의 합장단ㆍ북편ㆍ채편을 치는 것을 가리키는 것으로 박자와는 다르다. 「여민락」ㆍ「보허자」ㆍ「영산회상」 등의 국악곡을 옛 악보에 의하여 역사적인 변화과정을 살펴보면 후대로 내려올수록 이 증가되어 단순하던 가락...
    이칭별칭간점(間點)|본점(本點)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조선시대에 성균관과 4부학당 등의 교육기관에서 유생의 출결사항을 점검하기 위해 학생들이 식당에 들어갈 때 도기(到記)에 점을 찍고 서명하게 하여 매기는 점수. [내용] 하루에 아침저녁 두 번 식당에 들어가서 서명을 해야 1점이 된다...
  • ()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관시(館試), 도기(到記), 생원(生員), 유학(幼學) 교육 출판교육기관/성균관 개념용어 대한민국 조선 박연호 [정의] 조선시대 성균관 유생이 관내에 머물며 수학하는
    관련어관시(館試), 도기(到記), 생원(生員), 유학(幼學)
  • 절목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조선시대 성균관의 거재(居齋) 유생들을 대상으로 한 학사규정(學事規定). [내용] 유생들로 하여금 학업에 근면하게 하고, 문과 초시에 응시할 수 있는 자격을 부여하기 위하여 제정되었다. 고려시대도 비슷한 제도가 있었으나, 3...
  •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
    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고서·고문서(116)

  • 2 第二統統首武學金 [울산호적의 기초조사 및 전산화 (2단계) | 울산대학교]
    1684년_내상면(內廂面) 1684년 내상면(內廂面) 第五西士乙浦里 2 第二統統首武學金 統第一戶府案付武學病人金年參拾伍庚寅本金海父學生有寬祖僉知彦國曾祖展力副兼司僕仁儀外祖納粟通政大夫李鰒年本星州妻 金召史年參拾陸己丑本金海父武學而貞祖學生立曾祖通政大夫成起...
    연도_면이름1684년_내상면(內廂面) | 면이름내상면(內廂面) | 마을이름第五西士乙浦里
  • 인혁당사건 재심 결정 550쪽 공소장 서 재검토 [분단 70년 DMZ 남북 충돌(군사)사례 DB구축: 1945~2015 | 동국대학교]
    역사 문헌 현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 동국대학교 김용현 인혁당사건 재심 결정 550쪽 공소장 서 재검토 대한민국(남한) 동아일보 기타(신문) 남한의 주요 일간지인 『동아일보』: 1920년 4월 1일 창간 ...
    대표표제어인혁당사건 재심 결정 550쪽 공소장 원점서 재검토 | 저작권자동아일보 | 자료구분기타(신문) | 키워드인혁당, 사형, 간첩
  • 唐李泌謝於夜宴親賜燒棃,諭以天生此間氣 【戊申三月初七日三日製 生 主文徐有鄰 十地 三中一】 [여유당전서 정본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
    ITKC_MP_0597A_1630 與猶堂全書補遺○冽水文簧 ITKC_MP_0597A_1630_030_1490 唐李泌謝於夜宴親賜燒棃,諭以天生此間氣 【戊申三月初七日三日製 生 主文徐有鄰 十地 三中一】 정약용(丁若鏞) 雜著類|其他類 여유당전서 定本...
    권차명與猶堂全書補遺○冽水文簧 | 문체雜著類|其他類 | 저자정약용(丁若鏞, 1762 ~ 1836) | 자료문의다산학술문화재단(http://www.tasan.or.kr )
  • 2_099957 18737_0220 奎18737 毓祥宮(1903) 황해도 재령군 安城坊 下垌 황해도 재령군 安城坊 下垌 107.6 4 107.6결 4두락 이(李) 이...
    자료번호18737_0220 [奎18737] | 자료문의서울대학교 김건태 교수 연구팀
  • 庶姓,唯進士入于太學,餘歸司徒。 [여유당전서 정본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
    itkc.or.kr/inLink?DCI=ITKC_MP_0597A_1180_020_0020_2015_026_XML 026 養賢庫饋進士,一日毋過百人。凡已者出,令未者入。【若無求入者,雖已,仍不出】 總以榜之先後爲序。【之法,詳見科制】 ○凡爲進士者,雖本下賤,皆入...
    권차명經世遺表 卷十三 | 문체雜著類|論說類 | 저자정약용(丁若鏞, 1762 ~ 1836) | 자료문의다산학술문화재단(http://www.tasan.or.kr )

구술자료(2)

  • 지금 애들 보니까 너무 또 예쁜 거예요. 제 직업은 선생님이었어요. 참 돌고 돌아서 다시 으로 왔습니다. 사실은 그것도 영어. 항상 그래요. 학교 뭔가 이제 가서 와서 교육 사업을 하자. 그러면 왠지 잘 할 것 같거든요. 일단 배운 게 있으니까 애들은 좋아해. 일
    국가중국 | 제보자리칭후아(이청화) [중국, 여, 1976년생, 결혼이주 17년차] | 자료문의건국대학교 신동흔 교수
  • 어지는 놈도 있는데 이쪽으로 가는 놈, 저쪽으로 가는 놈, 제 마음대로 가고 에 가서 안 떨어지더라고. [이종서 : 그냥 간 거야. 화기 자체가.] 그래서 포탄을 싸서 넘기면은 우리 아군들이 다쳐놓은 우리 포에도 가다 도중에서 떨어진단 말이 에요. [조사자 :
    조사지역강원 춘천 | 조사일2013년 2월 17일

기초학문(1)

  • 식민지 교육정책의 : 이자와 슈지의 동화주의와 청각적 근대성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정준영, 게재일 : 2011
    44333 정준영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학중앙연구원 2011 식민지 교육정책의 : 이자와 슈지의 동화주의와 청각적 근대성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
    유형논문 | 게재일2011

신문·잡지(27)

  •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동경뎐을 거즉 일병이 본월십팔일에 화강문을 졈령고 다시츄격야 원을 졈령얏다더라
    게재일1905년 3월 23일 | 기사분류외국통신
  •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작일에 젼쥬관찰가 부로 뎐보기 회인이 졈졈 더하야 그수를 아지못 난데 대단이 소요하니 진위 병뎡으로 츅츌하난것이 엇더하냐 지라 부에셔  뎐칙하기 효유퇴송하라 하엿난데 필경은 병뎡으로 진압하리라더라
    게재일1904년 12월 10일 | 기사분류잡보
  •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작일관보에 반포된 광졔위원이 일칠십명이더라
    게재일1902년 10월 29일 | 기사분류잡보
  • 検定 3 報道の自由議会の特権に優先 5 民統連路線目標 尹在杰 7 釜山米文化拠...
    발행국가일본 | 발행연도1986
  • 筆苑-因習と女 成順子 27 분절 027~029 筆苑-まんが創作あれこれ 全哲 29 분절 029~031 特輯-八.一五解放のを問う (1)-民族か 外勢...
    발행국가일본 | 발행연도1976

기타자료(9)

  • 이영옥;李瑛玉;상옥;上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044957 남한 경성 경성여자고등보통학교 1-12 회원명부 1939―12―20 46면 (학과)본과신제도 이영옥;李瑛玉;상옥;上玉 경성부 재동정 84-35 5회 1927년
    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경성여자고등보통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옥천 남송타운 전원주택조성부지 옥천 증약리유적 [한국중세고고학 기초자료 데이터베이스 구축-한국중세역사학의 고고학 자료 이용 활성화- | 숙명여자대학교]
    유물 중 동체 상부에 횡방향으로 문이 시문된 인화문토기가 출토되었다. 우리 연구원에서는 (주)남송의 의뢰로 옥천 남송타운 전원주택조성부지내 유물산포지와 추정분묘군에 대한 시굴조사를 실시하였다. 시굴조사 결과 유물산포지는 현지표에서 부식토층인 흑갈색사질점토층을 5...
    발행연도2007 | 발굴기관중앙문화재연구원 | 발굴지역충청북도
  • Taxation on sales of CRIK materials [한국의 건국과 전쟁 및 전후 재건 관련 외교문서 DB화 | 숙명여자대학교]
    관에게 CEBFISC의 입장과 관점을 에서 판단할 수 있도록 보고하는 메모임. CEBFISC, Korean government, aid goods, compromise solution, Headquarters, UNCACK, United Nations...
    국내소장처국립중앙도서관 | 발신자Wm E. Carraway Colonel, Infantry Deputy Commander | 수신자Rear Admiral B. Hall Hanlon Deputy Commander for Civil Affairs
  • 왜의 장수들이 백제를 방문하고 돌아가다. [동아시아 ‘교류’ 관련 한국고대사 기초자료 연구 : 문서, 사람, 물품 | 고려대학교]
    而却還矣 於是 采女大海 從小弓宿禰喪 到來日本 遂憂諮於大伴室屋大連曰 妾不知葬所 良地 大連卽爲奏之 天皇勅大連曰 大將軍紀小弓宿禰 龍驤虎視 旁眺八維 掩討逆節 折衝四海 然則身勞萬里 命墜三韓 宜致哀矜 充視葬者 又汝大伴卿與紀卿等 同國近隣之人 由來尙矣 於是 大連奉勅 使土師連小鳥...
    대표표제어왜의 장수들이 백제를 방문하고 돌아가다. | 주제분류교류담당 | 연대465년(乙巳/신라 자비마립간 8/고구려 장수왕 53/백제 개로왕 11/劉宋 永和 1, 景和 1, 泰始 1/倭 雄略 9)
  • 왜의 장수들이 백제를 방문하고 돌아가다. [동아시아 ‘교류’ 관련 한국고대사 기초자료 연구 : 문서, 사람, 물품 | 고려대학교]
    曰 欲觀國堺 請垂降臨 是以 韓子宿禰等 並轡而往 及至於河 大磐宿禰 飮馬於河 是時 韓子宿禰 從後而射大磐宿禰鞍几後橋 大磐宿禰愕然反視 射墮韓子宿禰 於中流而死 是三臣由前相競 行亂於道 不及百濟王宮而却還矣 於是 采女大海 從小弓宿禰喪 到來日本 遂憂諮於大伴室屋大連曰 妾不知葬所 良地...
    대표표제어왜의 장수들이 백제를 방문하고 돌아가다. | 주제분류교역물품 | 연대465년(乙巳/신라 자비마립간 8/고구려 장수왕 53/백제 개로왕 11/劉宋 前廢帝 永光 1, 景和 1, 明帝 泰始 1/倭 雄略天皇 9)

주제어사전(5)

  • / [교육/교육]

    조선시대 교육기관에서 유생들의 출결사항 점검을 위해 매기는 점수. 하루에 아침저녁 두 번 식당에 들어가서 서명을 해야 1점이 된다. 이 제도는 기숙하면서 공부하는 거재생들의 거관일수를 확인하기 위해 실시한 것으로, 특히 성균관의 경우 생원과 진사로 하여금 성균

  • 사학합제 / 四學合製 [교육/교육]

    조선시대 사학 유생들의 학업권장을 위하여 실시하였던 과거. 1659년(효종 10) 사학 및 동재의 법 및 제술지규가 많은 폐단이 있어 폐지, 학관 및 겸교수가 매계절마다 한번씩 순회하여 유생을 모아 고강과 제술시험을 실시하였다. 4기 동안 ≪소학≫·사서로 40인

  • 색장 / 色掌 [교육/교육]

    관한 일을 담당하였다. 특히, 색장은 매일 아침·저녁 식당에서 도기(출석부)를 확인, 감독하는 일을 맡았는데, 성균관유생들의 산정기준이 되었다.

  • 초시 / 初試 [정치·법제]

    고려·조선시대 각종 과거의 제1차 시험. 예조가 주관하는 문과·생원진사시, 그리고 병조·훈련원 등이 주관하는 무과 및 해당 관청에서 실시하는 잡과의 제1차 시험이 그것이다. 초시에는 관시·한성시·향시가 있었다. 관시는 문과에만 있던 시험으로 성균관 유생 중 3

  • 12월 12일 / 十二月 十二日 [문학/현대문학]

    산산조각나고 구제받지 못한 한 인간의 정신적 패배를 기록한 날이기도 하다. 따라서 ‘12월 12일’의 표층적 의미는 바로 인생에 대한 절규이며 으로 회귀하는 숙명적인 아이러니 그 자체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