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원자부”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50)
사전(10)
- 원자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제들을 시직(侍直)이라는 직함으로 원자부에 불러 같이 공부하게 하였다. 1408년 원자가 세자로 책봉되면서 원자부는 세자시강원으로 대체되었다. 그 뒤 오랫동안 원자가 없었고, 있을 때도 궁중에서 교육되었기 때문에 경승부는 폐지되었고 원자부라는 호칭도 사용되지 않았다. ...
- 元子不肖 [조선시대 유서(類書) 기반 지식 DB 및 지식지도 구축 | 고려대학교]TD_E1_D_0232 元子不肖 왕실 次子, 兄弟, 羣下推戴 王太祖訓要 D_16_02_15 대동운부군옥 16권 2장 15절출전대동운부군옥 | 수록위치16권 2장 15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 조선대화집(朝鮮對話集)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미야번(宇都宮藩)에서 두 형제가 함께 벼슬하였다. 『조선대화집(朝鮮對話集)』의 내제(內題)는 ‘한객부원재부우소대화초회십월오일재회십월십일(韓客不怨齋不尤所對話 初會十月五日 再會十月十日)’이다. 본문에는 서간(書簡) 5편, 척독(尺牘) 1편, 시 65수, 필어(筆語) 2...유형분류문헌
- 鼠 [조선시대 유서(類書) 기반 지식 DB 및 지식지도 구축 | 고려대학교]TD_R1_D_0391 鼠 동물 善伺, 晝竄, 夜縱 徐達城烏圓子賦 D_13_04_141 대동운부군옥 13권 4장 141절출전대동운부군옥 | 수록위치13권 4장 141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 麟史 [조선시대 유서(類書) 기반 지식 DB 및 지식지도 구축 | 고려대학교]TD_I2_D_0026 麟史 사서·역사학 刺碩, 書食 國風, 徐達城烏圓子賦 D_20_01_102 대동운부군옥 20권 1장 102절출전대동운부군옥 | 수록위치20권 1장 102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고서·고문서(38)
- 詩文門1_鑿枘 [성호전서 정본화 사업 (II) | 청명문화재단], 規本圓, 飛鳥之影本不可使不動, 則鑿與枘, 元自不合者也.서명星湖先生僿說卷之二十八 | 저자이익(李瀷, 1681~1763) | 자료문의청명문화재단 태동고전연구소(www.chungmyung.org)
- 내포(內浦)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36727 B036727 내포 內浦 군사교통 成宗實錄 八年(1477) 閏二月 성종실록_10802111_003 ... 010103]榮山倉、靈光法聖倉、咸悅德城倉, 各以附近輸納, 遠者不過四五日程, 其視慶尙居民遠輸之弊, 勞逸懸絶。 但全羅田稅, 皆由海路, 間有漂沒之患。 臣謂慶...출처전거成宗實錄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강화부(江華府)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 方秋租稅之貢, 怨咨不作。 矧玆不煩不擾之政, 必籍克剛克柔之才。 器械餱糧, 宜念有備而無患, 桑土牗戶, 詎忽居安而思危? 必如寇恂之御衆牧民, 無或一日豫怠, 常若吳漢之臨陳對敵, 莫曰百年升平。 凡諸倉卒際施爲, 亦有節目間故事。 於戲, 畀卿一面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다구(茶丘)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諸郡至尙州而還郞將蔡取和謂曰 捐妻子從公絶域者欲安國家耳 今無一毫事利國與叛臣無異 遂逃還逆竪鄭子明以告綧綧遣人追斬之 初綧之入質也寓於東京摠管洪福源積不平綧妻奏于帝殺福源語在福源傳後福源子茶丘訴綧於帝曰 眞金太子中書令也永寧公高麗尙書令故自謂秩等於皇太子 帝大怒奪綧所領兵馬子雍熙諴禔和琳⁄雍封信安...출처전거高麗史 권90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동래(東萊)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71707 B071707 동래 東萊 정치행정 承政院日記 純祖 4年 4月 27日_020 基本一定, 而放濁苟得望空之弊, 自然革矯而卽是次第事也。 伏願殿下, 深留省察於根基之本焉。 上曰, 所奏好矣。 上又曰, 晉武創業時, 立國規模, 元自不善爲之。 故何曾之退謂諸子者, 其言亦如此矣...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구술자료(1)
- 집단학살 현장에서 오빠 시신을 찾다 [한국전쟁 체험담 조사 연구-현지 답사를 통한 한국전쟁 관련 구술담화의 집대성과 DB구축- | 건국대학교]다.” 당골네가. 그릏게 했어. 이집부터 경찰후원자부터 경찰후원자 가족들은 자기들이 많이 있으니까 경찰후원자부터 질을 치구 말하자믄 이장네 질을 친다는 것은 구신이 와서 사실이 영령헌다는 거 여. 질 치는 거. 당골네들 허는 거 알지요? [조사자 : 네] 막 여기 사람조사지역제주 | 조사일2014년 01월 21일
신문·잡지(1)
- 투사신문_1950_0607_04_01 [한국전쟁기 미군노획문서철 중 북한신문자료의 수집.해제.데이터베이스 구축 | 이화여자대학교]원자부기 금지에 대한 호소문에서 말하는 사람의 수는 □가되고 있는 것을 말하여 주고 있다. 북부분란은 지역이 광대하기 때문에 서명수집자들의 사업이 곤난한데도 불구하고 제일 먼저 좋은 결과를 거두었다. 전쟁□기에 참해를 입었으며 그후 실업으로 타격을 받은 지역의 주민...대표표제어투사신문_1950_0607_04_01 | 책임주필한호
주제어사전(2)
-
원자부 / 元子府 [정치·법제/법제·행정]
실무담당의 주부를 두었다가 뒤에 부승으로 고쳤다. 뒤에는 공신의 자제들을 시직이라는 직함으로 원자부에 불러 같이 공부하게 하였다. 1408년 원자가 세자로 책봉되면서 원자부는 세자시강원으로 대체되었다.
-
해동사부 / 海東辭賦 [문학/한문학]
27명이다. 작품 수는 57편이다. 『해동사부』 상책에 이규보의 「조강부 祖江賦」·「춘망부 春望賦」·「몽비부 夢悲賦」와 이색의 「민지사 閔志辭」, 서거정의 「오원자부 烏圓子賦」, 강희맹의 「양초부 養蕉賦」, 김인후(金麟厚)의 「칠석부 七夕賦」 등 36편이 실려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