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원유남” 에 대한 검색결과 총 13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2)
사전(7)
- 원유남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1561(명종 16)∼1631(인조 9). 조선 중기의 무신. [내용] 본관은 원주(原州). 자는 관보(寬甫). 할아버지는 첨지중추부사 송수(松壽)이고, 아버지는 수군절도사 호(豪)이며, 어머니는 상주김씨(尙州金氏)로 승훈랑(承訓郎) 광후...이칭별칭 관보(寬甫)| 충숙(忠肅)|원계군(原溪君)
- 원두추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1604(선조 37)∼1663(현종 4). 조선 후기의 문신. [개설] 본관은 원주(原州). 자는 자중(子中). 첨지중추부사 송수(松壽)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수군절도사 호(豪)이고, 아버지는 지중추부사 유남(裕男)이다. 형 두표(斗杓)...이칭별칭 자중(子中)
- 백운자시고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감정이 풍부한 詩體)로 서정성이 두드러진 작품이다. 시형은 오언절구와 율시가 많은 편이다. 부록의 증별시에는 이식의 작품이 여러 수 있으며, 송서의 <송권원유남귀서 送權遠遊南歸序>도 이식이 지은 것이다. 연세대학교 도서관에 소장되어 있다. ...
- 원몽린(元夢麟)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효헌(孝憲) 양반 남자 1648년(인조 26) 1674년(현종 15) 3월 17일 원주(原州) 서울 경기도 여주시 대신면 상구리 원유남(元裕男) (양조부)원두...
- 원두표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원유남의 아들이다. 부모를 일찍 여의고, 술만 마시면 분한일을 참지 못한다. 힘이 세고 무서움이 없어 어려서 ‘독갑’의 당집을 부쉈으나, 오히려 귀신이 무서워하며 도망간다. 훈장님이 빚 독촉을 받는 모습을 보고 한주먹으로 빚쟁이를 때려죽인다. 살인죄로 충주 관리에게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고서·고문서(4)
- 唐羣臣賀有草生庭以知旬朔 [여유당전서 정본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謂祥也宜。 殆同蓍策之辨陰陽,其理不忒。 肆於出爲時之瑞, 爰有覽而知之要。 氣候靡差,看榮萎於葉上。 朔旬自定,驗消長於草心。 推十五一盛而一衰,何煩重黎之司地? 至三百六旬有六日,默贊羲和之授時。 絶勝翠槿之知朝, 奚啻黃楊之識閏? 必與三五月而同滿,異凡卉有生無知。 迨其廿九日之後...권차명與猶堂全書補遺○冽水文簧 | 문체雜著類|其他類 | 저자정약용(丁若鏞, 1762 ~ 1836) | 자료문의다산학술문화재단(http://www.tasan.or.kr )
- 추안급국안 : 경오년(1630, 인조 8) 이경검(李景儉) 반역 사건 [<추안급국안> 정서화 및 DB 기반 구축 | 전주대학교]夫退在鄕曲極爲未安一一 月還爲上京爲白乎矣同月忠翊衛將除授留都體 察使西平府院君別將差下兼仕爲白如可今年 二月初八日大駕南幸之時矣身一時直招駕到水 原分摠管除授慈殿扈衛行到▣▣▣▣左議政 以留都大臣回京時矣身及元裕男等留都大將 啓請率來仍察留都之任爲白如可大駕還都後遆 任爲白有如乎三月初生爲始矣身前...서명추안급국안(推案及鞫案) | 권책003 | 자료문의전주대학교(연구책임자 : 변주승 교수)
- 동유기(東遊記) [금강산유람록 번역 및 주해 | 경상대학교]所謂, “淸川帶長薄, 車馬去閑閑”者, 如畵出眞境. 海中七星諸峯, 望之, 若衲子著袈裟, 拱立相向. 楹間有尤翁詩及海山亭三字. 又有谷雲‧石峯題額, 殆可與海山爭雄矣. 夜深乃宿. 翌日. 與主倅之子, 同往三日浦. 乘舟沿洄, 尋埋香碑. 碑折爲二片, 巖傍宛有南石行三字, 卽所謂四仙題名...구분금강산 유람기 | 저자김상직(金相直) | 자료문의경상대학교 장원철 교수 연구팀
- 한수재집 [규장각 도서자료 연구사업(2단계) | 서울대학교]후면에 새길 글을 부탁했다고 하였다. 原溪君元公-裕男-墓表 (32) 元裕男(1561∼1631)의 묘표. 壬辰倭亂때 전사한 豪의 아들이자 反正功臣 斗杓의 아버지로서, 기상이 빼어나고 도량이 컸으며 항상 청백과 검소로 자신을 단속했다고 하였다. 統虞侯李公-德一-墓表...분야문학 | 유형문헌
기타자료(1)
- 신라 효공왕이 당 소종에게 신라보다 윗자리를 차지하려는 발해의 요청을 거절한 것에 대해 감사하는 表 [동아시아 ‘교류’ 관련 한국고대사 기초자료 연구 : 문서, 사람, 물품 | 고려대학교]驟霑優寵 戎狄不可厭也 堯舜其猶病諸 遂攀滕國之爭 自取葛王之誚 向非皇帝陛下英襟獨斷 神筆橫批 則必槿花鄕廉讓自沉 楛矢國毒痡愈盛 今者遠綏南越 漢文之深意融春 罷省東曹 魏祖之嘉言同曉 自此八裔絶躁求之望 萬邦無妄動之徒 礭守成規 靜銷紛競 臣伏限統戎海徼 不獲奔詣天朝 ( 東文選 33...대표표제어신라 효공왕이 당 소종에게 신라보다 윗자리를 차지하려는 발해의 요청을 거절한 것에 대해 감사하는 表 | 주제분류외교문서
주제어사전(1)
-
원유남 / 元裕男 [종교·철학/유학]
1561(명종 16)∼1631(인조 9). 조선 중기의 무신. 할아버지는 송수, 아버지는 호, 어머니는 김광후의 딸이다.1583년(선조 16) 무과에, 1586년 무과중시에 각각 급제하였다. 창성부사, 지중추부사 등을 역임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