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원유관” 에 대한 검색결과 115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06)

사전(96)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조선시대 때 왕과 왕세자가 조현복(朝見服)인 강사포(絳紗袍)에 쓰던 관(冠). [내용] ‧강사포로 대를 이루는 조복이다. 제복(祭服)인 면류관‧구장복(九章服), 상복(常服)인 익선관‧곤룡포와 더불어 조선시대의 대표적인...
  • [조선시대 의궤용어사전(I)-왕실전례편 | 대구가톨릭대학교]
    정조(正朝)ㆍ동지(冬至)ㆍ삭망(朔望)ㆍ조칙(詔勅) 등의 의례에 쓰는 관모. 강사포와 함께 착용한다. 국조오례의서례國朝五禮儀序例 관복도설을 보면, 왕의 은 검은색의 비단으로 만들며, 골(梁)은 아홉[九梁]에 골마다 18개의 구슬이 있는데, 앞뒤에 각각 9옥씩이...
    분야문화‧생활 | 유형개념용어
  •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
    임금이 조하(朝賀)에 나갈 때 쓰던 관.
    정의임금이 조하(朝賀)에 나갈 때 쓰던 관.[한국고전용어사전] | 문광부표기wonyugwan | MR표기wŏnyugwan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복(服)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服 강사포(絳紗袍)·() 복식(服飾) 조복(朝服) 생활 풍속의생활/의복 의복 대한민국 조선 이민주 신하들로부터 하례(賀禮)를 받을 때, 거가출궁(車駕出宮), 거가환...
    상위어복식(服飾) | 관련어조복(朝服)
  • ()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법복(法服), 복(服) 강사포(絳紗袍), 양관(梁冠), 조복(朝服), 통천관(通天冠) 생활 풍속의생활/관모 의복 대한민국 조선 이은주 [정의] ...
    상위어법복(法服), 원유관복(遠遊冠服) | 관련어강사포(絳紗袍), 양관(梁冠), 조복(朝服), 통천관(通天冠)

고서·고문서(10)

  • 到舊廬述感 [여유당전서 정본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
    k?DCI=ITKC_MP_0597A_0020_010_1820_2014_001_XML 001 水閣煙光內,黃薇晚色深。田眼,花木舊怡心。樑燕亦新乳,林鸎空好音。得時堪羨物,倚杖一悲吟。 306쪽
    권차명詩集 卷二 | 문체詩類|詩類 | 저자정약용(丁若鏞, 1762 ~ 1836) | 자료문의다산학술문화재단(http://www.tasan.or.kr )
  • , 竝因營關毁撤, 至癸亥秋, 又爲重建, 前道臣尹光顔, 輪關列邑, 竝令撤新設之祠。 然此影堂, 則所重自別, 而移奉時儀節, 無所知委, 縣監曺錫倫, 全失愼重, 以致隷之互相紛挐, 堂門奉開之不用鑰匙, 擧措極駭。 至於皇朝紀年、本朝國忌板、大老祠碑文、御筆 ...
    출처전거純祖實錄 | 지역분류일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蒙朝廷勑臣放與完聚臣聞命兢惶不知所措伏念小邦遭遇聖朝太祖高皇帝改臣國號復臣鐵領鐵領廣本抱本領作嶺,是也.一帶地土太宗文皇帝賜臣父以九章冕服賜臣母以冠服宣宗章皇帝賜臣以御絛環寶帶御絛環寶帶抱本絛作縧.賜臣世子珦以冠服玉帶今聖上賜臣以九梁服又蒙列聖褒獎戒諭之勤至至於至至於舊校刪一至字.陪臣下走皆蒙...
    출처전거『明實錄』 英宗睿皇帝實錄 | 자료문의서울대학교 정요근 교수
  • 山風 蠱【巽下艮上】 ○第十卦之反【泰一之上】 [여유당전서 정본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
    夾持坤土,【中二陰】 亦幹築之象也。故卦之本象,蠱之形,不待爻變而後方得爲幹也。【如剝之‘剝牀’ㆍ漸之‘鴻漸’】 九二,幹母之蠱,不可貞。○〈象〉曰:“幹母之蠱,得中道也。” 此蠱之艮也。艮自觀來,【五之三】 觀之時,坤母在內,【風地卦】 移之爲艮,【三之五】 坤體乃壞,【下今艮】 母之壞也。...
    권차명周易四箋 卷三 | 문체雜著類|論說類 | 저자정약용(丁若鏞, 1762 ~ 1836) | 자료문의다산학술문화재단(http://www.tasan.or.kr )
  • 卝冶考 [여유당전서 정본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
    ,不可以徵賦於民,必本地諸侯,採,得以充貢也。 〈地官ㆍ卝人〉:“掌金ㆍ玉ㆍ錫ㆍ石之地,而爲之厲禁以守之。若以時取之,則物其地,【句】 圖而授之,巡其禁令。” 鄭曰:“卝之言,礦也,金ㆍ玉未成器曰礦。” ○錫,鈏也。○臣謂 以時取之者,自官採之也。平時厲禁以守之,當官採之時,乃辨其有無之地,【...
    권차명經世遺表 卷十一 | 문체雜著類|論說類 | 저자정약용(丁若鏞, 1762 ~ 1836) | 자료문의다산학술문화재단(http://www.tasan.or.kr )

주제어사전(9)

  • / [생활/의생활]

    조선시대 때 왕과 왕세자가 조현복인 강사포에 쓰던 관 ·강사포로 대를 이루는 조복이다. 제복인 면류관·구장복, 상복인 익선관·곤룡포와 더불어 조선시대의 대표적인 국왕의 예복으로 계속 준용되었고, 조선 말기에는 고종이 입고 찍은 사진도 있다. ≪세종실록≫ 예지에

  • 강사포 / 絳紗袍 [생활/의생활]

    임금이 입는 붉은 색의 조복. 왕이 삭망ㆍ조강ㆍ진표ㆍ조현ㆍ조참 등에 착용한 조복은 과 강사포, 규, 관, 의, 상, 중단, 패, 수, 폐슬, 대대, 말, 석이 일습을 이룬다. 강사포는 강색, 즉 붉은색 비단으로 만들고 깃ㆍ도련ㆍ수구에도 붉은색 선을 둘렀다. 세

  • 소례복 / 小禮服 [생활/의생활]

    소례복을 입게 되었다. 조선시대의 소례복으로는, 왕·왕세자에게는 포(袍)가 있었다. 조신(朝臣)의 경우에는 조복·공복(뒤에 가서는 상복 대용)이 있었다.

  • 적말 / 赤襪 [생활/의생활]

    대전의 법복과 중궁전의 법복에 신는 붉은색의 버선. 적석에 갖추어 신던 붉은색의 버선. 대전의 법복인 면복과 평천관 또는 강사포와 을 착용할 때 적석과 함께 신는 왕의 버선이다. 중궁전 법복에도 대홍당직 적의를 입을 때 적석과 함께 신는다. 대홍광직 또는 대홍

  • 적석 / 赤舃 [생활/의생활]

    임금이 정복을 입을 때 신는 붉은색의 신. 대전의 법복인 면복과 평천관 또는 강사포와 을 착용할때 적말과 함께 신는 왕의 신이다. <국조보감>과 <조선왕조실록>에 임금은 면류관에 곤룡포 차림으로 인정전에 납시고, 왕세자는 칠장관ㆍ공정책ㆍ적말ㆍ적석 차림으로 예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