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원옹집” 에 대한 검색결과 5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3)

사전(2)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구(籌邊樓十二節句)」는 태평정(太平亭)‧제승당(制勝堂)‧망해루(望海樓) 등에 대하여 쓴 영사시(詠史詩)이다. 그리고 「명량도대첩비(鳴梁島大捷碑)」는 이순신(李舜臣)의 일을 기록한 것이다.
  • 이의승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시로써 명성을 떨쳤다. 문집으로 ≪≫이 있다. 肅宗實錄 東國文獻備考
    이칭별칭 승혜(繩兮)| 원옹(園翁)

고서·고문서(1)

  • 후계집 [규장각 도서자료 연구사업(2단계) | 서울대학교]
    이것이 진정한 대장부의 일이라고 하였다. 序 (3) 園翁 李宜繩(1665∼1698)의 문집인 『』에 쓴 서문. 李仁平이 숙부 이의승의 문집 편찬을 완료한 뒤 간행에 앞서 서문을 부탁하자 조유수는 저자와의 관계에 대하여 적고 본 문집은 西坡 吳道一이 시문을...
    분야문학 | 유형문헌

주제어사전(2)

  • /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학자 이의승 시문집. 2권 1책. 목판본. 오도일에 의하여 수집, 그의 문집과 함께 오도일의 아들이 1728년(영조 4) 간행하였고, 그 뒤 1796년(정조 20) 저자의 증손 재항이 중간하였다. 국립중앙도서관과 장서각 도서에 있다. 권두에 윤동수 서문과

  • 이의승 / 李宜繩 [역사/조선시대사]

    1665년(현종 6)∼1698년(숙종 24). 조선 후기의 학자. 자는 승혜(繩兮), 호는 원옹(園翁), 본관은 용인(龍仁)이다. 시로써 명성을 떨쳤다. 문집으로 『』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