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원순모음화” 에 대한 검색결과 총 41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38)
사전(27)
- 원순모음화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불, 풀, (뿔)’ 등으로 원순음화를 일으켰다. 중세국어에서는 ‘믈[水]’과 ‘물[群]’처럼 양순음 아래에서 ‘ㅡ’와 ‘ㅜ’가 대립하였는데, 이 원순모음화가 일어난 이후로는 그러한 대립이 없어지고 ‘무, 부, 푸, 뿌’로 통일되었다. 현대국어에서 ‘므, 브, 프,...
- 원순모음화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비원순모음이 원순모음이 되는 것정의비원순모음이 원순모음이 되는 것 | 문광부표기Wonsun moeumhwa | MR표기Wŏnsun moŭmhwa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순음화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경우에는 순음 ‘ㅂ‧ㅍ‧ㅃ‧ㅁ’에 의하여 후속모음 ‘으‧’가 원순모음인 ‘우‧오’로 순행동화되는 음운현상인 원순모음화(圓脣母音化)를 일컫는다. 원순모음화로서의 순음화는 중앙어에서는 17세기 말엽에 생산적으로 이루어져 ≪역어유해 譯語類解≫ (1690)에 ‘불(<...
- 서남방언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化)의 대표적인 것은 구개음화(口蓋音化)‧움라우트(umlaut)‧원순모음화(圓脣母音化) 등을 들 수 있다. 구개음화는 ‘ㄷ’구개음화, ‘ㄱ’구개음화, ‘ㅎ’구개음화가 있는데, ‘ㄱ’구개음화와 ‘ㅎ’구개음화는 어두음절에서만 일어났다[예 : 질(길)‧지름(기름)‧성(형)‧...
- 잠상집요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아, ○, ○기). i움라우트 현상이 두드러지게 나타난다(기지, 기여, 판기, 뭉텡니을, 방니, 리, 구뎅니). 치찰음(齒擦音) 아래에서의 구개모음화(口蓋母音化)가 나타난다〔씰―(掃)〕. 순음(脣音) 아래에서의 비원순모음화(非圓脣母音化)가 보인...
고서·고문서(8)
- 사양가라 [경상북도 내방가사 조사,정리 및 DB구축 | 안동대학교]모음화로 인한 ‘ㅣ]ㅜ’ 이전의 표기 형태이다. 칩다]춥다.줄도 모랄너라슬퍼하고 굿버한들 어난뉘가 알손고병이난들 뉘가알면 괴로온들 뉘가고이리저리 도라바도 살든대도 전혀업다마현도다 이소회랄 자모보면 다하노라보고지고 〃〃〃〃 어마동생 보고지고듯고지고 자모소리 듯고지고 외답...가사유형탄식가류 | 소장처조춘호 | 시대해방이전
- 時節歌 [경상북도 내방가사 조사,정리 및 DB구축 | 안동대학교]하여 만들어진 단어이다. 15세기에는 ‘밧다, 밧브다’ 두 형태가 있었다. ‘밧브다’의 제2음절에서 원순모음화를 겪은 것이 ‘밧부다’이고, 제1음절의 어말음이 제2음절의 첫소리로 내려가 된소리를 형성한 것이 ‘바다’, ‘바다’이다. ‘바다’는 20세기에 ‘바쁘다...가사유형종교가류 | 소장처이상규 | 시대해방이전
- 사향가라 [경상북도 내방가사 조사,정리 및 DB구축 | 안동대학교]비참하여. 쳑연감상 존안이야술푸다 술푸다: 슬프[哀]다. 순자음 ‘ㅍ’ 앞과 뒤에서 ‘ㅡ’가 각각 원순모음화여 표기된 형태이다. 술푸도다 속졀업시 물너안음업 통곡이야 불고엿더니우리존구 원문 19ㄱ 되쳥도 취졸을 용셔놉...가사유형탄식가류 | 소장처이상규 | 시대해방이전
- 금강산가 [경상북도 내방가사 조사,정리 및 DB구축 | 안동대학교]경쳬로다김셩읍 동구박게 노졍 올나본니셕양의 운 운: 띄운 배[舟]. 제1음절의 중성이 원순모음화된 표기 형태이다.가 어쥬츈슈 아이연가쳬영이 난놀 인도 실허다 실허다: 싫[厭]어한다. ‘실허-’는 연철 표기 형태이다.김셩읍 죠흔터은 쳔부금셩 여긔로다쳥도...가사유형여행가류 | 소장처조춘호 | 시대해방이전
- 상원가 [경상북도 내방가사 조사,정리 및 DB구축 | 안동대학교]쁘고. 모음 간 경음 ‘ㅃ’을 ‘ㅅㅂ’으로 표기하였다. ‘-부-’는 순음 아래에서 ‘ㅡ’를 ‘ㅜ’로 원순모음화하여 표기한 것이다. 절문부인 화토상윳 능통고얼고 얼고: 얽고. 제1음절의 말자음군 ‘’을 ‘ㄹ’로 단순화하여 표기한 형태이다.고 고: 검[黑]고...가사유형풍속가류 | 소장처조춘호 | 시대해방이전
기초학문(3)
- 원순모음화 현상의 음운사적 연구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박종희, 게재일 : 200007830 박종희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국어국문학회 2000 원순모음화 현상의 음운사적 연구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FRBR&metaDataId=4b76f6유형논문 | 게재일2000
- 18세기 역서류 문헌과 왕실 문헌의 음운변화: ㄷ구개음화와 원순모음화를 중심으로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게재일 : 200534328 한국연구재단 한국어문교육연구회 2005 18세기 역서류 문헌과 왕실 문헌의 음운변화: ㄷ구개음화와 원순모음화를 중심으로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유형논문 | 게재일2005
- 음운 변화에 대한 과도교정의 양상 고찰- ㄷ구개음화와 원순모음화를 중심으로-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배영환, 게재일 : 201760829 배영환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언어문학회 2017 음운 변화에 대한 과도교정의 양상 고찰- ㄷ구개음화와 원순모음화를 중심으로-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유형논문 | 게재일2017
주제어사전(3)
-
원순모음화 / 圓脣母音化 [언어/언어/문자]
를 일으켰다. 중세국어에서는 ‘믈[水]’과 ‘물[群]’처럼 양순음 아래에서 ‘ㅡ’와 ‘ㅜ’가 대립하였는데, 이 원순모음화가 일어난 이후로는 그러한 대립이 없어지고 ‘무, 부, 푸, 뿌’로 통일되었다. 현대국어에서 ‘므, 브, 프, 쁘’ 등이 한 단어 안에서 보이지 않는
-
윤음언해 / 綸音諺解 [언어/언어/문자]
모음음절 앞에서 ㄷ이 ㅅ으로 표기되었다(예 : 밋으니, 밧으니).그리고 어간과 어미의 분리표기의식은 곡용이나 활용에 있어 두드러지게 나타나며 i계 모음 앞에서 n의 탈락현상이 형성되었다(예 : 이르고[謂], 이르히[至]). 원순모음화현상(圓唇母音化現象)은 매우 생산적이
-
십구사략언해 / 十九史略諺解 [언어/언어/문자]
라치고). 어두의 ㄴ이 ‘이’모음 앞에서 탈락되며(이르러, 임금), 비원순모음화현상이 보인다(먼저). 1772년판은 지방에서 간행되었기 때문에 표기가 혼란되어 있으나 영남방언을 반영하고 있다는 점에서 국어사연구에 좋은 자료가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