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원만리” 에 대한 검색결과 총 25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23)
사전(8)
- 원만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1624(인조 2)∼1672(현종 13). 조선 후기의 문신. [개설] 본관은 원주(原州). 자는 중거(仲擧), 호는 청재(聽齋). 수군절도사 호(豪)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지중추부사 유남(裕男)이고, 아버지는 좌의정 두표(斗杓)이며, ...이칭별칭 중거(仲擧)| 청재(聽齋)
- 원만리(元萬里)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원만리 원만리 元萬里 정치가관료/문신 인물 한국 조선 인조~현종 홍연주 박종국 2012 중거(仲擧) 청재(聽齋) 양반 남자 162...
- 원만석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1623(인조 1)∼1667(현종 8). 조선 중기의 문신. [개설] 본관은 원주(原州). 자는 군옥(君玉), 호는 고산(孤山). 서울 출신. 수군절도사 호(豪)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지중추부사 유남(裕男)이고, 아버지는 좌상 두표(斗杓...이칭별칭 군옥(君玉)| 고산(孤山)
- 원만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1629(인조 7)∼1697(숙종 23). 조선 후기의 문신. [개설] 본관은 원주(原州). 자는 군시(君始). 수군절도사 호(豪)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지중추부사 유남(裕男)이고, 아버지는 좌의정 원평부원군(原平府院君) 두표(斗杓)이며...이칭별칭 군시(君始)
- 원몽린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1648(인조 26)∼1674(현종 15). 조선 후기의 부마. [개설] 본관은 원주(原州). 자는 용여(龍歟), 호는 죽서(竹西). 지중추부사 유남(裕男)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두표(斗杓)이고, 아버지는 평안도관찰사 만리(萬里)이며, ...이칭별칭 용여(龍歟)| 죽서(竹西)| 효헌(孝憲)|흥평군|흥평위
고서·고문서(13)
- 대정현감(大靜縣監)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48476 B048476 대정현감 大靜縣監 정치행정 承政院日記 顯宗 12年 8月 23日_006 ○有政。 吏批, 以崔商翼爲獻納, 李日井爲平安都事, 韓明遠爲禮曹正郞, 李沃爲正言, 具文濟爲軍器僉正, 李敏迪爲宗廟提調, 尹堦爲兵曹正郞, 李景沆爲監察, 元萬里爲刑曹參議, 陳再昌爲...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內閣應敎【題曰‘萬里可橫行’ ○杜詩,〈房兵曹胡馬〉】 [여유당전서 정본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db.itkc.or.kr/inLink?DCI=ITKC_MP_0597A_0010_020_2400_2014_001_XML 001 天馬西來意氣橫,昆侖如掌析支平。拳毛側立凌霄鶻,頫吻遙追飮海鯨。渥水五更催曉秣,中原萬里杳煙生。昭陵六駿英聲遠,河朔三年戰氣縈。苜蓿野荒回鐵勒,葡萄...권차명詩集 卷一 | 문체詩類|詩類 | 저자정약용(丁若鏞, 1762 ~ 1836) | 자료문의다산학술문화재단(http://www.tasan.or.kr )
- 교동부(喬桐府)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呈聲副摠管, 許秩·元萬里五衛將, 李鳳齡訓鍊副正, 南龍翼都摠管, 金阜榮安興僉使, 金益炅·張善瀓·吳斗憲·尹拯副護軍, 崔天燁·崔仁錫副司果, 李昌彧·鄭士㻣·韓用良折衝, 閔昕僉知, 李時尙副司直。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내포(內浦)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37076 B037076 내포 內浦 군사교통 顯宗實錄 二年(1661) 閏七月 현종실록_10207113_006 ○正言元萬里劾罷知義禁尹順之、趙啓遠等職, 還下李善基于獄, 從之。 初李敏迪以暗行御史, 廉察湖西, 以沔川郡守李善基爲京居士夫築堰, 擅用五百烟軍, 書啓以聞, 上下禁府治...출처전거顯宗實錄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역대명신주의_歷代名臣奏議5 君德 金太祖與 [국내외 고려시대 원전자료의 총집성과 종합 DB화―동아시아 자료간 상호대조와 연동을 통한 가치 증대― | 고려대학교]與高麗通 聞我將大 因謂本自同出 稍稍欵附 高麗旣不聽許 遂生邊 釁因致交兵 久方連和 盖三十年 當時壯者 今皆物故 子孫安於土俗 婚姻膠固 徵索不已 彼固不敢稽㽞 骨肉乖離 誠非衆願 人情怨甚可愍者 而必欲求爲已有 特彼我之蔽 非一視同仁之大也 國家民物繁夥 幅貟萬里不知得此 果何益耶今索之不還...국가중국 | 서명역대명신주의 | 왕대기타
신문·잡지(2)
- 은하수_1990_101 [국내외 근현대 신문잡지 자료의 조사, 수집 해제 및 DB화 | 성균관대학교]깨여진 차색 유리고부 박진만 10 항전의 나날 중국에서의 국제 종대-조선의용대 조명철 16 019 삭제 불원만리 원...발행국가중국 | 발행연도1990
- 은하수_1991_105 [국내외 근현대 신문잡지 자료의 조사, 수집 해제 및 DB화 | 성균관대학교]주보중장군과 조선족 한화 12 적응이란 곧 자아변통이다 17 불원만리 원천리 리상각 18 ...발행국가중국 | 발행연도1991
주제어사전(2)
-
원만리 / 元萬里 [종교·철학/유학]
1624(인조 2)∼1672(현종 13). 조선 후기의 문신. 호 증손, 할아버지는 유남, 아버지는 두표, 어머니는 최동식의 딸이다. 작은아버지 의성현령 두추에게 입양되었다. 1648년(인조 26) 사마시에 합격하여 생원이 되고 음보로 형조좌랑이 되었다. 병조참의, 병
-
숙경공주 / 淑敬公主 [정치·법제/법제·행정]
1648년(인조 26)∼1671년(현종 12). 효종의 다섯번째 딸. 모친은 인선왕후(仁宣王后)이다. 흥평위(興平尉) 원몽린(元夢鱗)과 결혼하였다. 원몽린은 원두표의 손자이고 원만리의 아들이다. 딸 하나가 있으며 원명구(元命龜)로 사자(嗣子)를 삼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