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원두표” 에 대한 검색결과 275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267)

사전(105)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1593(선조 26)∼1664(현종 5). 조선 후기의 문신. [개설] 본관은 원주(原州). 자는 자건(子建), 호는 탄수(灘叟)ㆍ탄옹(灘翁). 첨지중추부사 송수(松壽)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수군절도사 호(豪)이며, 아버지는 지중추부사 ...
    이칭별칭 자건(子建)| 탄수(灘?), 탄옹(灘翁)| 충익(忠翼)|원평부원군(原平府院君)
  •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
    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
    원평군이다. 병이 든 이서를 대신해 어영부사가 되어 군사를 통솔한다. 뒤에 김언림의 목을 벤다.
    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
    원유남의 아들이다. 부모를 일찍 여의고, 술만 마시면 분한일을 참지 못한다. 힘이 세고 무서움이 없어 어려서 ‘독갑’의 당집을 부쉈으나, 오히려 귀신이 무서워하며 도망간다. 훈장님이 빚 독촉을 받는 모습을 보고 한주먹으로 빚쟁이를 때려죽인다. 살인죄로 충주 관리에게 잡...
    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
    능양군을 모시고 반정을 도모한다. 모의가 끝난 후 능양군과 무리들에게 이기축의 아내가 하는 술청에 가 보자고 한다. 정충신의 소실 백주가사주에 능하다는 것을 알고 능양군과 반정 대신들의 사주에 대해 묻는다. 백주가 능양군은왕이 될 사주고 다른 이들도 모두 귀하다고 하니...
    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고서·고문서(152)

  • 1663년 () 서간(書簡) [호남권 한국학자료센터 구축(1단계) | 전북대학교]
    1663년(현종4)8월 13일에 가 安愼之에게 보낸 답장이다. 동생 원광윤(元廣尹)이 갑작스레 죽어서 비통했는데, 뜻밖에 상대방의 사위를 통해 보내온 편지 내용을 보고, 상대방도 연전에 자식을 잃었다는 것을 알게 되어 놀랍고 슬펐다는 내용을 전하고 있다. 추신으...
    내용분류개인-생활-서간 | 형식분류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현소장처보성 복내 죽산안씨 죽곡정사
  • 1669년 () 서간(書簡) [호남권 한국학자료센터 구축(1단계) | 전북대학교]
    1663년(현종4)12월 6일에 가 안신지에게 보낸 답장이다. 전라도관찰사의 요서(了書)를 안신지의 조카에게 부쳤다는 것과 상주(喪主)가 수원(水原)과 장단(長湍)에 갔으니, 정월 그믐쯤에는 곧바로 통서(通書)하여 은근하게 청하고자 한다는 내용의 편지이다. 그러...
    내용분류개인-생활-서간 | 형식분류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현소장처보성 복내 죽산안씨 죽곡정사
  • 내용분류교육/문화-문학/저술 | 형식분류고서-문집 | 현소장처일본 동양문고(東洋文庫)
  • 70169 B070169 동래 東萊 정치행정 承政院日記 孝宗 3年 11月 25日_002 ○下直, 東萊府使任義伯, 遠接使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70297 B070297 동래 東萊 정치행정 承政院日記 孝宗 3年 11月 25日_002 ○下直, 東萊府使任義伯, 遠接使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구술자료(7)

  • 이야기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조사자가 “장수 전설이 전해지는 것이 없는냐?”고 하자 들려준 이야기다. 원두표는 여주가 고향으로서 북내면에서도 비슷한 이야기가 채록되었다.*
    조사일시1979-02-25 | 조사장소경기도 여주군 여주 | 제보자안평국
  • 이야기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조사자가 원두표에 관해서 전해지는 이야기가 없느냐고 하자 들려준 것이다.*
    조사일시1979-08-07 | 조사장소경기도 여주군 북내면 | 제보자이 씨
  • 이야기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이야기의 방향은 자연히 역사적 인물에 관한 것으로 옮겨졌다. 원두표 전설은 여주 일대에 널리 전승되는 설화로서 여주읍에서도 채록된 바 있다.*
    조사일시1979-08-07 | 조사장소경기도 여주군 북내면 | 제보자박치조
  • 이야기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앞의 이야기를 끝낸후 조사자에게 원두표를 아느냐고 묻기에 조금 안다고 했더니, 자기가 원두표 이야기를 해 주겠다고 하면서 들려 준 이야기다.*
    조사일시1982-07-27 | 조사장소경상북도 군위군 효령면 | 제보자김동구
  • 도끼로 정승 된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 제보자는 자신이 얘기하길 좋아하는 성미여서 어디 가서 얘기 추렴에는 안 빠진다고 했다. 그러나 이젠 얘기에 조리가 잘 맞지 않는다고 한다. 그래서 천천히 이야기를 들려 달라고 했다. *
    조사일시1981-09-20 | 조사장소강원도 양양군 손양면 | 제보자함승호

신문·잡지(2)

기타자료(1)

  • ;河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075363 남한 전북 전주농업학교 2-42 회원씨명부 1942―12―10 94면 하;河 순창군 순창면 남계리 773
    학교소재지역전북 | 학교명전주농업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주제어사전(8)

  • / [종교·철학/유학]

    1593(선조 26)∼1664(현종 5). 조선 후기의 문신. 송수 증손, 할아버지는 호, 아버지는 유남이다. 박지계의 문인이다. 나주목사, 전라도관찰사, 형조판서, 강화부유수, 우의정, 좌의정 등을 역임하였다.

  • 숙경공주 / 淑敬公主 [정치·법제/법제·행정]

    1648년(인조 26)∼1671년(현종 12). 효종의 다섯번째 딸. 모친은 인선왕후(仁宣王后)이다. 흥평위(興平尉) 원몽린(元夢鱗)과 결혼하였다. 원몽린은 의 손자이고 원만리의 아들이다. 딸 하나가 있으며 원명구(元命龜)로 사자(嗣子)를 삼았다.

  • 이건명 / 李健命 [종교·철학/유학]

    1663(현종 4)∼1722(경종 2). 조선 후기의 문신. 유록 증손, 할아버지는 경여, 아버지는 민서, 어머니는 의 딸이다. 1686년 춘당대 문과에 을과로 급제, 서장관, 우승지, 이조판서, 좌의정 등을 역임하였다. 저서로 시문과 소차를 모은 ≪한포재집≫

  • 이관명 / 李觀命 [종교·철학/유학]

    1661(현종 2)∼1733(영조 9). 조선 후기의 문신. 유록의 증손, 할아버지는 경여, 아버지는 민서, 어머니는 의 딸이다. 1687년(숙종 13) 사마시에 합격, 이듬해에 익위사세마, 공조정랑, 함열현감, 예조참판, 좌의정을 역임하였다. 저서로는『병산집』

  • 기해복제주의 / 己亥服制奏議 [종교·철학/유학]

    정원(政院)과 부제학 유계(兪棨)와 승지 김수항(金壽恒)의 계 2편, 권시(權諰)의 상소문 1편, 그 해 5월 옥당(玉堂)과 우의정 ()의 차자(箚子) 2편, 1661년 4월에 전중추부사(前中樞府事) 조경(趙絅)이 올린 상소문 1편, 그 해 5월에 송시열(宋