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원납전” 에 대한 검색결과 총 39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35)
사전(19)
- 원납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원군의 위임을 받아 원납전 염출을 담당하였다. 그 결과 착수 10여 개월 만에 468만 6,298냥(兩)을 받아들였다. 그러나 1866년 경복궁 중수공사장의 화재로 중수사업에 큰 지장이 발생하였다. 이에 원납전만으로는 공사비를 충당할 수 없게 되자, 비상대책의...
- 원납전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조선 말기 흥선대원군(興宣大院君, 1820-1898)이 경복궁(景福宮) 중수를 위하여 강제로 거둔 기부금.정의조선 말기 흥선대원군(興宣大院君, 1820-1898)이 경복궁(景福宮) 중수를 위하여 강제로 거둔 기부금.[국사편찬위원회 한국역사용어시소러스] | 문광부표기wonnapjeon | MR표기wŏnnapchŏn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결두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조선 말기 경복궁 중건을 위하여 전세(田稅)에 덧붙여 징수한 일종의 부가세. [내용] 흥선대원군은 1865년(고종 2)부터 경복궁 중건에 필요한 경비를 강제기부금형식인 원납전(願納錢)으로 충당하는 한편, 토지 1결당 전일백문(錢一百文)을...이칭별칭신낭전(腎囊錢)
- 홍시형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생몰년 미상. 조선 말기의 문신. [내용] 1873년 사헌부장령으로서 최익현(崔益鉉)에 이어 흥선대원군(興宣大院君) 탄핵 상소를 올렸고 이러한 상소에 대해 흥선대원군이 추진한 원납전(願納錢)과 결렴(結斂)을 즉각 혁파하라는 명령이 내려졌...
- 향산일기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납전(願納錢)이 강요되었던 당시의 경제상황과 유림의 동태 및 수한(水旱)‧기상(氣象) 등 다방면에 걸친 기사를 수록하였다. 그리고 임오군란‧갑신정변‧갑오경장‧을미사변 등의 정치적 변동을 거치는 동안, 각처에서 일어났던 민란과 외세의 침략에 대항하던 유생 및 민중...
고서·고문서(15)
- 1906, 1910, 1912년 항리(項里) 항리소임원납전봉기(項里所任願納錢捧記)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내용분류경제-회계/금융-밧자기 | 형식분류고문서-치부기록류-밧자기 | 현소장처거제 구조라리
- 동래(東萊)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71612 B071612 동래 東萊 정치행정 承政院日記 純祖 15年 7月 28日_028 致聲, 願納錢一千二百兩, 貿租七百石, 嘉善李德成, 願納錢一千兩, 貿穀五百八十三石零, 上項四人, 補賑石數, 雖有多寡之別, 而旣入於道臣別單中是白遣, 且本道昨年歉荒, 振古所無, 五百石貿...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동래(東萊)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71616 B071616 동래 東萊 정치행정 承政院日記 純祖 15年 7月 28日_028 ... 則足可比他道之千石是如, 一體施以實職除授之典, 恐合事宜是白乎旀。 成冊中熊川幼學權尙平, 願納錢八百十兩, 依事目施以賞加之典是白乎旀。 淸道幼學朴增耆, 願納錢五百兩, 東萊校生宋華辰,...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을유년 영천군(永川郡) 완문(完文) [영남 자료권역센터 구축(1단계) | 한국국학진흥원]을유년에 영천군에서 훈련도감의 승호군(陞戶軍)으로 상경하는 장정의 경비를 원납전(願納錢)으로 충당해준 이하금(李夏今)․ 이태준(李泰俊)․ 李以三 등에게 각종 잡역의 면탈을 허가해 준 완문(完文)내용분류경제-세금-완문 | 형식분류고문서-증빙류-완문 | 현소장처영천 영천향교
- 기사년 예리(禮吏) 김다수(金多壽) 고목(告目) [호남권 한국학자료센터 구축(2단계) | 전북대학교]기사년 9월 25일에 예리김다수가 도유사 김모에게 올린 고목이다. 내용은 원납전의 분배가 균평하지 않다는 이유로 향민을 다시 소집하여 의논할 예정이니, 도유사께서는 10월 7일에 아침 식사를 끝내고 행차해 달라는 것이다. 원납전은 고종때 흥선대원군이 경복궁 중건비용을...내용분류정치/행정-보고-고목 | 형식분류고문서-첩관통보류-고목 | 현소장처원광대학교 박물관
신문·잡지(1)
- 교원신문_1950_0410_02 [한국전쟁기 미군노획문서철 중 북한신문자료의 수집.해제.데이터베이스 구축 | 이화여자대학교]1732년(英祖8년) 정월에 묘를 신수케 하여 봉토로 하였을 것이다. 1887년 1월에 민영휘가 평안감사로 부임하여 토호질과 벼슬팔이로 인민착취를 일삼던 그가 소위 기자묘를 분묘수리를 구실로 원납전을 받아 횡재하였다 함은 너무도 유명한 사실인데 민영휘의 후임 민병석이가...대표표제어교원신문_1950_0410_02 | 날짜1950년 4월 10일 | 책임주필김한성
주제어사전(4)
-
원납전 / 願納錢 [경제·산업/경제]
구한말 대원군이 경복궁 중수를 위해 받아들인 기부금. 1865년 대원군은 경복궁 중수 계획을 수립하고 경비를 충당하기 위해 각계각층에 자진해서 돈을 기부하게 하여, 원납하는 자에게 벼슬을 주었다. 그러나 징수실적은 부진하였는데, 이것을 극복하기 위해서 막대한 노동력을
-
결두전 / 結頭錢 [역사/근대사]
조선 말기 경복궁 중건을 위하여 전세에 덧붙여 징수한 일종의 부가세. 흥선대원군은 1865년부터 경복궁 중건에 필요한 경비를 강제기부금형식인 원납전으로 충당하는 한편, 토지 1결당 전일백문(錢一百文)을 결두전으로 거두었다. 당시의 원납전은 ‘원납(怨納)’, 결두전은
-
경복궁타령 / 景福宮打令 [문학/구비문학]
경기민요의 하나. 조선 말기 경복궁을 중건할 때 불리기 시작한 민요라고 전하는데, 팔도에서 동원된 장정들이 일의 고달픔을 노래한 것이라고도 하고, 흥선대원군이 원납전을 거둬들이며 무리하게 공사를 강행하자 그것을 풍자하여 부르게 되었다고도 한다. 따라서, 사설은 무리한
-
나암수록 / 羅巖隨錄 [역사/근대사]
는 고종의 영립(迎立)으로부터 흥선대원군의 집정, 서원철폐령으로 인한 유림의 반발, 당백전의 사용, 병인양요(1866)·신미양요(1871)의 실상과 대응책, 경복궁 중건을 위해 시행된 원납전·도문출입세(都門出入稅)의 징수, 영남유림의 고질이었던 병호시비(屛虎是非)의 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