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원각경언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19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7)
사전(16)
- 원각경언해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원각경언해≫에서 언해부분만을 제외하고 구결부분만으로 된 책이 있다. 을유자(乙酉字)로 된 ≪원각경구결 圓覺經口訣≫로 분권은 언해본과 같고, 모두 5책이다. 현재 원간본과 이를 복각한 중간본이 모두 전한다. 中世語의 한글資料에 대한 綜合的인 考察(安...
- 원각경언해(圓覺經諺解)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원각경언해 원각경언해 圓覺經諺解 종교불교/국어 문헌 한국 조선 세조 성낙수 박종국 2015 세조(世祖), 신미(信眉), 효령대군(孝寧大君), 한계희(韓繼禧) 간경도감 1465년(세...
- 원각경구결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1465년(세조 11)에 불경 『원각경』의 본문과 당나라 종밀(宗密)의 소초(疏鈔)에 한글로써 구결을 단 책. [내용] 서명은 『원각경』이라고만 되어 있으나, 『원각경언해』와 한문본인 『원각경』과 구별하기 위하여 『원각경구결』 또는 『구...이칭별칭구결원각경
- 금강경언해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6‧25전쟁 이전까지 보존되어 있었다. 1932년 한용운(韓龍雲)이 책판을 보수하여 많은 부수를 인출하였다. 보판(補板)도 있으므로 원본과의 구별에 주의를 요한다. [내용] 이 책은 『능엄경언해』‧『법화경언해』‧『원각경언해』와 같은 계통의 중세국어 연구자...이칭별칭금강경언해
- 병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말음이 ‘ㄴ, ㅁ, ㄹ’ 등 불청불탁음(不淸不濁音)일 때에 한정되어 있었다. 위에서 <해례>가 든 ‘’의 ‘ㅅ’표기는 그 당시의 표기의 원칙에 어긋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병서 중에서 각자병서는 ≪원각경언해 圓覺經諺解≫로부터 그 사용이 폐지되었...
고서·고문서(1)
- 상춘완경가 [경상북도 내방가사 조사,정리 및 DB구축 | 안동대학교]밝혀져 있지 않다. ‘질삼’은 원각경언해(1465) 이후 각자병서가 사용되지 않게 됨에 따라 ‘ㅆ’이 ‘ㅅ’으로 표기된 것이기 때문에, 국어사 자료에서 ‘질삼’으로 표기되어 있는 것도 ‘질삼’의 ‘ㅅ’은 된소리로 발음되었다. ‘질쌈’이 현대어의 ‘길쌈’으로 바뀐 것은...가사유형여행가류 | 소장처김구현 | 시대해방이후
주제어사전(2)
-
원각경언해 / 圓覺經諺解 [언론·출판/출판]
1465년(세조 11)에 ≪원각경≫에 한글로 구결을 달고 번역한 책. 간경도감에서 간행하였다. 10책. 상1이 1·2, 상2가 1·2·3, 하1·2·3이 각각 1·2로 분권되어 있다. 당나라 종밀의 ≪원각경대소초(圓覺經大疏鈔)≫에 세조가 토를 달고, 신미, 효령대군,
-
원각경구결 / 圓覺經口訣 [언어/언어/문자]
1465년(세조 11)에 불경 『원각경』의 본문과 당나라 종밀(宗密)의 소초(疏鈔)에 한글로써 구결을 단 책. 구결의 내용은 세조가 달았다는 『원각경언해』의 구결과 같은데, 언해 곧 번역이 없음이 다르다. 간기가 없으나 을유자(乙酉字)로 인쇄된 책이므로, 『원각경』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