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웅천” 에 대한 검색결과 총 1,897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869)
사전(367)
- 웅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조선 세종 때 첨절제사(僉節制使)를 두었고, 문종 때웅천으로 고쳐 현감을 두었다. 1510년(중종 5) 왜구를 평정하였다고 하여 도호부로 승격되었으나 뒤에 현으로 복구되었다. 1895년(고종 32) 진주 관할의 웅천군이 되었고, 다음해에...이칭별칭웅지현(熊只縣)|웅신(熊神)
- 熊川 [조선시대 유서(類書) 기반 지식 DB 및 지식지도 구축 | 고려대학교]TD_C3_D_0133 熊川 지방 移都 漢山城, 熊津 文周王 濟史 D_05_01_94 대동운부군옥 5권 1장 94절출전대동운부군옥 | 수록위치5권 1장 94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 웅천(熊川)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6318 지명 웅천(熊川) 웅천 熊川 현재의 웅천동 부근으로 추정되는 경상남도 진해 지역의 옛 지명. 본래 신라의 웅지현(熊只縣)이었는데, 경덕왕 때 웅신(熊神)이라고 고쳐 의안군(義安郡)의 영현으로 삼았다. 조선시대 때 남해지역...유형분류지명
- 웅천왜성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경상남도 창원시 진해구 남문동에 있는 조선시대의 성지. [내용] 경상남도 기념물 제79호. 일명 남산왜성(南山倭城)이라고 한다. 웅천읍성으로부터 남쪽 1km 지점, 해발 184m의 남산 기슭에서 능선을 따라 산봉...이칭별칭남산왜성(南山倭城) | 연계항목웅천왜성(熊川倭城)
- 웅천주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신라시대의 지방행정구역. 삼국통일 직후에 완성된 이른바 9주(九州)의 하나이다. 웅천주(지금의 공주)는 본디 백제의 옛 수도였고, 백제가 망한 뒤에는 당나라가 이 곳에 한때 웅진도독부를 두었는데 신라가 이를 빼앗아 영유하다가 686년(신문왕 6)에 웅...
고서·고문서(1,406)
- 웅천현지 [일제의 조선관습자료 해제와 DB화 작업 | 연세대학교(원주캠퍼스)]분류지방읍지 | 소장처수원시박물관
- 웅천군읍지(熊川郡邑誌) [규장각 국가전적 자료센터 구축사업(2단계) | 서울대학교]1899년(광무3) 편찬된 경상남도 웅천군 읍지이다. 표제명은 ‘경상남도웅천군읍지(慶尙南道熊川郡邑誌)’로 되어 있다. 웅천군은 현재의 행정구역상 경상남도 창원시 진해구, 성산구, 의창구 일부와 부산광역시 강서구 가덕도 일대를 관할하였다. 읍치는 진해구 성내동 일대에내용분류정치/행정 - 조직/운영 | 형식분류고서 - 지리서 | 현소장처 규장각한국학연구원
- 창원웅천읍지(昌原熊川邑誌) [규장각 국가전적 자료센터 구축사업(2단계) | 서울대학교]1908년 경 편찬된 경상남도 창원군의 읍지이다. 표제명은 ‘창원웅천읍지(昌原熊川邑誌)’로 되어 있다. 실질적으로는 창원군의 읍지와 웅천군의 읍지를 합하여 묶은 형태로 되어 있다. 창원군은 현재의 경상남도 창원시의 일부에 해당하는 지역이다. 웅천군은 현재의 행정구역...내용분류정치/행정 - 조직/운영 | 형식분류고서 - 지리서 | 현소장처 규장각한국학연구원
- 충남 보령 웅천, 간첩 ○○ 침투 [분단 70년 DMZ 남북 충돌(군사)사례 DB구축: 1945~2015 | 동국대학교]역사 문헌 현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 동국대학교 김용현 충남 보령 웅천, 간첩 ○○ 침투 대한민국(남북한) 합동참모본부 단행본 국방백서의 『북한의 대남침투/국지도발 일지』에 수록된 사건으로 국방부가 국회 국방위...대표표제어충남 보령 웅천, 간첩 ○○ 침투 | 저작권자합동참모본부 | 자료구분단행본 | 키워드간첩, 침투
- 충남 보령 웅천 관당, 간첩 ○○○ 침투 [분단 70년 DMZ 남북 충돌(군사)사례 DB구축: 1945~2015 | 동국대학교]역사 문헌 현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 동국대학교 김용현 충남 보령 웅천 관당, 간첩 ○○○ 침투 대한민국(남북한) 합동참모본부 단행본 국방백서의 『북한의 대남침투/국지도발 일지』에 수록된 사건으로 국방부가 국회...대표표제어충남 보령 웅천 관당, 간첩 ○○○ 침투 | 저작권자합동참모본부 | 자료구분단행본 | 키워드간첩, 침투
구술자료(10)
- 웅천 물명당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구연상황 없음*조사일시1982-01-09 | 조사장소경상남도 의령군 의령읍 | 제보자남길우
- 웅천 주천자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앞 설화가 끝나고 제보자가 이 설화가 생각난 듯이 ‘주천자 얘기’를 하겠다고 하면서 시작했다. 이 제보자의 부친인 손천석씨[청량면 제보자 1]도 이 설화를 아는 것으로 보아서 이 마을에서 상당히 보편화된 이야기 같았다. 자정이 가까와서 이 설화를 끝으로 채록을 마...조사일시1984-07-22 | 조사장소경상남도 울주군 청량면 | 제보자손영수
- 웅천주천자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구연상황 없음*조사일시1984-07-21 | 조사장소경상남도 울주군 청량면 | 제보자손천석
- 웅천연길 열녀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구연상황 없음*조사일시1979-07-30 | 조사장소경상남도 거제군 하청면 | 제보자임봉진
- 경상남도 창원시_쾌기나 칭칭 [1980년대 집중 녹음된 논매기소리 자료의 DB구축과 전자문화지도 작성 및 논매기소리 연구 | 공주대학교]06_310 경남 경상남도 창원시 경상남도 창원시_쾌기나 칭칭 쾌기나 칭칭 파연곡 경상남도 창원시 진해구 웅천동 (옛 진해시 웅천면 북부리) 2004.11.17 素 04-11-17③A 주길릉 주길릉(1919년생.남.토민) 이소라 이소라 칭칭이 류 멕받형(선후창) 쾌기녹음지역경상남도 창원시 진해구 웅천동 (옛 진해시 웅천면 북부리) | 녹음날짜2004.11.17 | 가창방식멕받형(선후창)
신문·잡지(10)
- 민세안재홍전집 : 哭譜(六) [民世 安在鴻全集 資料集成 및 DB化 事業 | 중앙대학교]0110 1925 8 26 9 6 民世學人 安在鴻 哭譜(六) 신문 조선일보 1면3단 논문 역사 직접자료 선집외 桓雄天王, 金尙憲, 劉玄德, 洪景來, 諸葛孔明, 杜少陵, 咸興差使, 金時習 A19250826조선...출처형태신문 | 자료문의중앙대학교(연구책임자 : 김인식 교수)
- 到處立標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웅천군 공보 거한즉 음력칠월십삼일에 일인 이십여명이 타고 본군 텬셩면 외양리에 하륙하야 가 건츅한다하고 뎐답을 물론하고 광졈하야 표목을 셰운다하엿더라게재일1904년 9월 15일 | 기사분류잡보
- 熊沃水害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음력칠월 쵸십일 웅천군에 풍우가 대작하야 일이됨 인명이 치하고 공와민가가 무너지고 곡식이 감손하고 뎐답이 퇴락하고 션쳑이 파상한것을 사실하데 무너진 인가가 십륙호요 옥구군에 무너진집이 삼십팔호더라게재일1904년 10월 4일 | 기사분류잡보
- 젼호 신문에 긔바 각 군슈를 공쳔...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시흥에 리교영 안의에 김연희 통진에 최셕민 단천에 김동만 셩진에 김홍규 거제에 류과환 진쥬에 엄쥬영 남원에 권영슈 안악에 리의덕 곽산에 남뎡희 진쟘에 죠병일 김화에 김진슈 미에 김호승 평에 김죵직 양덕에 안셕홍 웅천에 유정현 단셩에 박승쳘 평산에 죠죵셔 거창에 남만...게재일1898년 8월 18일 | 기사분류잡보
- 현흥씨의 부친 현셕셩이 년젼 쥭동궁...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현흥씨의 부친 현셕셩이 년젼 쥭동궁 일 볼에 챵령군 셔샹규씨의 웅천군 잇 뎐토 구십여 셕낙을 엽전 삼만오쳔량 뎡가야 궁에서 산다고 당오 일만량을 주고 엽젼 이만오쳔량은 령남 상납젼으로 구쳐여주고 구문권을 찻겟다기에 신지무의 엿더니 그후에 뎐운 정병히의...게재일1898년 10월 11일 | 기사분류잡보
멀티미디어(4)
- 진해 웅천도요지Ⅱ ss1-0235_#1 유구 도면 1. 조사구역 및 주변유적 위치도 2015-01-08_0.6061212_도면 1. 조사구역 및 주변유적 위치도.JPG ss1-0235_#2 유구 도면 2. 유구배치도 2015-01제목진해 웅천도요지Ⅱ | 자료문의숙명여자대학교(연구책임자 : 박종진 교수)
- 서해안고속도로 웅천I.C구간내 보령 구룡리유적 l6-0073_#1 유구 보령구룡리유적_2호토광묘 2015-01-17_0.7283441_보령구룡리유적_2호토광묘.jpg l6-0073_#2 유구 보령구룡리유적_55호토광묘 2015-0제목서해안고속도로 웅천I.C구간내 보령 구룡리유적 | 자료문의숙명여자대학교(연구책임자 : 박종진 교수)
- 686 090. 조선_경상_창원칠원진해웅천.pdf 조선시대 역사행정구역도[경상_창원칠원진해웅천] 행정구역자료문의성신여대 양보경 교수,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진흥사업단
- 서해안고속도로(남포-웅천)건설구간내문화유적 발굴조사보고서 c4-0157_#1 유구 삽도13.죽청리‘가’유적 유구 배치도 c4-0157_1_2015-05-18_6643_삽도13.죽청리‘가’유적 유구 배치도.jpg c4-0157_#2 유구제목서해안고속도로(남포-웅천)건설구간내문화유적 발굴조사보고서 | 자료문의숙명여자대학교(연구책임자 : 박종진 교수)
기타자료(72)
- 웅천영혜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037184 남한 경성 경성여자의학전문학교 1-13 경성여자의학전문학교일람 1941 78면 (학년)2학년 (학과)본과 웅천영혜 (본적)경기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경성여자의학전문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웅천태균;熊川泰均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123113 남한 경성 경복중학교 소화19년 4월 현재 동창회 회원명부 1944 147면 웅천태균;熊川泰均 경성부 종로구 계동정 147-12 제19회 1944년 3월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경복중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진해 웅천도요지Ⅱ [한국중세고고학 기초자료 데이터베이스 구축-한국중세역사학의 고고학 자료 이용 활성화- | 숙명여자대학교]ss1-0235 유구 2014-10-01_0.9517176_경남발전연구원 역사문화센터_진해 웅천도요지 Ⅱ_2004_조선_표지.jpg 진해 웅천도요지Ⅱ 鎭海 熊川陶窯址Ⅱ 2004 진해시/경남발전연구원 역사문화센터 419 김지태,박경자,이경기...발행연도2004 | 발굴기관진해시/경남발전연구원 역사문화센터 | 발굴지역경상남도
- (교단 문원) 웅천 소묘 [한국 현대교육사 사료 집성 | 서울교육대학교](교단 문원) 웅천 소묘 (교단 문원) 웅천 소묘 교육 문헌 중등교육 교사문화 잡지 ...범주1중등교육 | 형식잡지 | 한글저자김철랑 | 사료철명교육월보
- 주무석;朱茂碩;熊川一雄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051539 남한 경남 부산제이상업학교 2-30 同窓會名簿 1941―12―28 78면 주무석;朱茂碩;熊川一雄 北支 濟南經1路 116號 西村組 제23회 1936년 3월학교소재지역경남 | 학교명부산제이상업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주제어사전(28)
-
웅천 / 熊川 [지리/자연지리]
경상도에 있던 현(縣). 오늘날 진해시 웅천동을 중심으로 한 지역이다. 조선 세종 때 국방상 요새지로 중시되어 첨절제사를 파견한 바 있으며, <경국대전> 병전 유방조에는 3여(旅)가 배치된 것으로 나타난다.
-
삼포 / 三浦 [지리/인문지리]
조선 전기 일본인들의 왕래와 거주를 허가하였던 동남 해안의 세 포구(浦口). 지금의 부산진(釜山鎭)에 해당하는 동래의 부산포(釜山浦, 또는 富山浦), 지금의 경상남도 창원시 진해구 웅천동에 해당하는 웅천(熊川)의 제포(薺浦, 또는 乃而浦), 지금의 경상남도 방어진과
-
제말 / 諸沫 [종교·철학/유학]
?∼1592(선조 25). 조선 중기의 의병장. 제씨의 시조. 임진왜란 때 의병을 일으켜 웅천·김해·정암 등지에서 대승하였다. 곽재우와 함께 조정에 알려져 성주목사에 임명되었으나, 그 뒤 전투에서 전사하였다. 정조 때 병조판서에 추증되었다.
-
천부인 / 天符印 [역사/선사시대사]
국조 단군왕검(檀君王儉)이 한웅천왕(桓雄天王)으로부터 받아서 세상을 통치하였다는 세 개의 인(印). ≪삼국유사 三國遺事≫에 처음 그 기록이 보인다. 대종교의 ≪한단고사 桓檀古史≫에는 거의 어디에나 천부삼인(天符三印)에 관한 기록이 나타나 있으나 그 형태에 관해서는 언
-
무창포해수욕장 / 武昌浦海水浴場 [지리/인문지리]
충청남도 보령시 웅천읍 관당리에 있는 해수욕장. 무창포해수욕장은 일제강점기 때부터 개발되어 서해안에서 최초로 개장한 해수욕장으로 해수욕과 갯벌 체험이 가능하여 이를 즐기려는 가족 단위의 관광객이 많이 찾는다. 보령8경 중 제2경에 해당하는 무창포 바닷길을 품고 있으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