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울산민란” 에 대한 검색결과 3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2)

사전(1)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1879년(고종 16) 4월 경상도 울산부(蔚山府)에서 일어난 민란. [경과] 이 난은 유리(由吏 : 지방관아에 딸린 이방의 아전) 김양서(金養舒)가 사사로이 소비한 공전(公錢)을 민결(民結 : 백성들이 소유, 경작하고 있는 땅)에 분배하...

기타자료(1)

  • 고 한다. 또한 1875년 때에도 병사, 병영의 존재가 나타나므로 적어도 이보다 늦은 시기까지 성을 사용한 것은 확실하다.《조선´여승람》은 해제가 없기 때문에 정확한 간행연대는 알 수 없으나, 《울산군지》건치연혁조에 대정3년(1914년)의 년호가 보이는 점으로...
    발행연도2004 | 발굴기관(재)울산문화재연구원 | 발굴지역울산광역시

주제어사전(1)

  • / [역사/근대사]

    1879년 4월 경상도 울산부(蔚山府)에서 일어난 민란. 이 난은 유리(由吏) 김양서가 사사로이 소비한 공전(公錢)을 민결(民結)에 분배하여 거두어들인 데서 발단되었다. 김양서는 공전 1만 5,800냥을 소비하였는데, 이를 채우기 위해 다시 민결에 5,000냥을 부과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