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울릉도” 에 대한 검색결과 751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712)

사전(308)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경상북도 울릉군에 속하는 섬. [개설] 는 죽변에서 동쪽으로 140㎞, 포항에서 217㎞, 동해 묵호에서 161㎞ 지점에 있으며, 독도와는 92㎞ 떨어져 있다. 동경 131°52′, 북위 37°30′에 위치...
    이칭별칭우릉도(芋陵島)|우릉성(羽陵城)|울릉도(蔚陵島)|울릉도(鬱陵島)|우릉도(于陵島)|무릉도(武陵島)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금」‧「어리석어」‧「()」‧「식목제」‧「오상보성외(五常堡城外)」, 5부에는 「1947년 7월 조선에 한달 비내리다」‧「눈초리를 찢고 보리라」‧「조국(祖國)이여 당신은 진정 고아(孤兒)일다」‧「서울에 부치노라」 등이 수록되어 있다. 이들 작품은 8‧15...
  • TD_C3_S_0031 지방 登高, 三峯, 縹緲隱見, 恃强不服, 軍主, 木獅, 威服, 來獻方物, 山頂, 村落, 村落基址, 基址, 石佛, 鐵鍾, 石塔, 岩石, 逋民, 入居, 俘還, 漁氓, 禮曹, 貴界, 竹島, 朝廷, 武臣, 冬栢, 紫檀, 側栢, 黃蘖,...
    출전성호사설 | 수록위치3권 1장 22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 TD_C3_D_0136 지방 土地肥饒, 三峯 東海 勝覽 D_05_02_54 대동운부군옥 5권 2장 54절
    출전대동운부군옥 | 수록위치5권 2장 54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 TD_C0_J_0008 지리(기타) 大山, 地方百里, 風便二日, 土貢, 方物, 按撫使, 流民, 地沃饒, 竹大如杠, 鼠大如猫, 桃核大於升, 倭焚掠, 人烟, 倭奴 我太宗, 壬辰變 武陵, 羽陵, 東海, 蔚珍縣, 新羅, 于山國, 高麗太祖, 礒竹島,
    출전지봉유설 | 수록위치2권 1장 5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고서·고문서(260)

  • 문화·생활 문헌 근현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자유주제 동덕여자대학교 조진남 김 남자 경상북도 울릉군 길림성(吉林省) 용정시(龙井市) 조양천 화물소 10 9 , 배돗때, 두번,
    대표표제어울릉도 | 성씨
  • 天地門3_ [성호전서 정본화 사업 (II) | 청명문화재단]
    在東海中, 一名于山國. 遠可七八百里, 自江陵、三陟等地, 登高望之, 三峯縹緲隱見. 新羅 智證王十二年, 其人恃强不服, 何瑟羅州軍主異斯斯: 규장각본ㆍ동양문고본에는 ‘師’로 되어 있다. 夫以木獅威服. 何瑟羅, 卽今江陵也. 高麗初, 來獻方物, 毅宗十一年, 遣金柔...
    서명星湖先生僿說卷之三 | 저자이익(李瀷, 1681~1763) | 자료문의청명문화재단 태동고전연구소(www.chungmyung.org)
  • ()거점間諜團(간첩단) 47명檢擧(검거) [분단 70년 DMZ 남북 충돌(군사)사례 DB구축: 1945~2015 | 동국대학교]
    역사 문헌 현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 동국대학교 김용현 ()거점間諜團(간첩단) 47명檢擧(검거) 대한민국(남한) 경향신문사(남한) 기타(신문) 남한의 주요 일간지인 『경향신문』: 1946년 10월 3...
    대표표제어鬱陵島(울릉도)거점間諜團(간첩단) 47명檢擧(검거) | 저작권자경향신문사(남한) | 자료구분기타(신문) | 키워드북괴, 간첩단, 침투
  • 據點間諜團(거점간첩단)의 檢擧(검거) [분단 70년 DMZ 남북 충돌(군사)사례 DB구축: 1945~2015 | 동국대학교]
    역사 문헌 현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 동국대학교 김용현 據點間諜團(거점간첩단)의 檢擧(검거) 대한민국(남한) 경향신문사(남한) 기타(신문) 남한의 주요 일간지인 『경향신문』: 1946년 10월 386...
    대표표제어鬱陵島據點間諜團(울릉도거점간첩단)의 檢擧(검거) | 저작권자경향신문사(남한) | 자료구분기타(신문) | 키워드북괴, 간첩단
  • [經史篇八]論史門五_ [성호전서 정본화 사업 (II) | 청명문화재단]
    在東海中, 一名于山國. 遠可七八百里, 自江陵、三陟等地, 登高望之, 三峯 三峯: 규장각본ㆍ성호기념관본에는 없다. 縹緲隱見. 新羅 智證王 王: 연세대본(나)에는 ‘王’ 뒤에 ‘三’이 있다.十二年, 其人恃强不服, 何瑟羅州軍主異師夫 夫: 미의회도서관본ㆍ아단문고...
    서명星湖僿說類選卷之九 | 저자이익(李瀷, 1681~1763) | 자료문의청명문화재단 태동고전연구소(www.chungmyung.org)

구술자료(4)

  • 이야기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구연상황 없음.*
    조사일시1980-11-09 | 조사장소강원도 삼척군 삼척읍 | 제보자김일기
  • 거문도와 의 교류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거문도 뱃노래 전수회관 현판 유래에 관한 이야기에 이어서 제보자가 자신이 수석애호가라고 하면서 수석 이야기를 길게 이어갔다. 이에 조 사자가 거문도 사람들이 울릉도에 진출해서 활동했던 당시의 이야기를 해달라고 부탁하였다. 그러자 제보자가 마침 생각났다는 듯이 "아"...
    조사일시2011. 1. 25(화) | 조사장소여수시 삼산면 서도리 장촌마을 거문도뱃노래전수관 | 제보자이귀순
  • 특히 독도나 같은 경우는 진짜 특이한 경우지. 동해에는 그런 경우가 없어. [조사자 : 혹시 배타고 로 피난간 경우는 없었습니까?] 는 피난 가지도 못하고 보지도 못하고. 는 시간으로 보통 작업선이나 어선으로 가 면은 여덟 시간 가까이 가야돼
    조사지역경남 진주 | 조사일2013년 7월 31일
  • 도 있고, 또 강원도 어떤 동네는 본께 나 저기 질경이 있대, 질경이 그거를 해가지고 밥해먹고 국끓여 먹고, 뭐 죽 끓여먹고 뭐 나물해먹 고 다 그래 먹고 살았다쿠고. 어 저리는 또 명이나물이라쿠는 그런 것도 먹고 살았고, 그거 가이고 명을 이사(이어) 줘따고
    조사지역경남 창원 | 조사일2013년 8월 1일

기초학문(23)

  • 한 어촌의 가족구성과 적응전략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박성용, 게재일 : 2003
    10224 박성용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2003 한 어촌의 가족구성과 적응전략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FRBR&metaDat
    유형논문 | 게재일2003
  • 17세기 조일관계와 ' 쟁계'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장순순, 게재일 : 2012
    54457 장순순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부산경남사학회 2012 17세기 조일관계와 ' 쟁계'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
    유형논문 | 게재일2012
  • 민의 이주와 정착과정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김태원, 게재일 : 2003
    14384 김태원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2003 민의 이주와 정착과정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FRBR&metaDataId=4b
    유형논문 | 게재일2003
  • 의 보전지역 설정 및 보전전략(Ⅰ)- 지역의 식물상 -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 게재일 : 2002
    35389 한국연구재단 한국환경생태학회 2002 의 보전지역 설정 및 보전전략(Ⅰ)- 지역의 식물상 -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
    유형논문 | 게재일2002
  • 의 보전지역 설정 및 보전전략(1) - 지역의 식물상 -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신현탁, 게재일 : 2002
    05536 신현탁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환경생태학회 2002 의 보전지역 설정 및 보전전략(1) - 지역의 식물상 -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
    유형논문 | 게재일2002

신문·잡지(95)

  • 일홈을 울도라고 고치고 ...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일홈을 울도라고 고치고 도감은 감무라고 고친다더라
    게재일1900년 2월 27일 | 기사분류잡보
  • 일본  들이 우리 나라 에 ...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일본  들이 우리 나라 에 와셔 사 고로 외부에셔 에잇 일본사 들을 것어 가라고 여러번 일본 공의게 죠회 엿더니 일젼에 일본 공가 외부에 답죠회 기를 귀국 통샹 아니 디에 들어와 사 사이 홀노 우리 나라 인민  아닌 엇지 야 홀...
    게재일1899년 11월 27일 | 기사분류잡보
  • 에 일본 사들이 비리 횡침...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에 일본 사들이 비리 횡침 닭에 부에셔 외부로 죠회기를 일인의 거조가 갈록 패니 일본공관에 죠회야 일본린민의 습을 금단고 도감에셔 륵징돈을 차주고 그셤 일본남녀를 다 돌녀보게 라고 엿다더라
    게재일1900년 3월 16일 | 기사분류잡보
  • 샤실로 부에셔 위원을 파...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샤실로 부에셔 위원을 파송터인 일공관에셔 외부로 죠회야 일쥬일을 퇴졍엿다 말은 이왕 긔 엿거니의 일공관에셔  외부로 죠회기를 다시 이쥬일을 퇴졍자고 엿다더라
    게재일1900년 5월 10일 | 기사분류잡보
  • 도감 게쥬씨가 부에 보고...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도감 게쥬씨가 부에 보고기를 구목 팔십쥬를 버여 풍범션 쳑을 지어 관에 쓸터인 일인을 다  보후에야 짓겟다고 엿다더라
    게재일1899년 10월 18일 | 기사분류잡보

멀티미디어(4)

  • 의 역사와 자연 환경, 지역민들의 생활을 한 초등학생의 생활로 극화하여 보여준다.
    자료구분KTV소장문화영화 | 제작년도1960년(1961년 6월~ 1962년 3월 사이로 추정) | 제작국립영화제작소
  • 천부리 고분군 kk4-0268_1 유물 원색도판4. 천부리 1호분 출토 사이편병 2015-02-23_0.3877527_원색도판4. 천부리 1호분 출토 사이편병.jpg kk4-0268_2 유물 원색도판3. 천부리 1호분 출토 금
    제목울릉도 천부리 고분군 | 자료문의숙명여자대학교(연구책임자 : 박종진 교수)
  • 현포리 고분군 kk4-0269_#1 유구 도면1. 현포리 고분 분포도 2015-02-23_0.7138178_도면1. 현포리 고분 분포도.jpg
    제목울릉도 현포리 고분군 | 자료문의숙명여자대학교(연구책임자 : 박종진 교수)
  • 자유를 얻은 북한동포
    [한국 근현대 영상자료 수집 및 DB구축 | 고려대학교]
    1966년 10월 14일 오전 10시 서울시민회관에서 귀순동포 시민환영대회가 열렸다. 9월 17일에 일본을 통해 귀순 요청을 해온 북한 평심호 선원 4인과 로 남하에 귀순한 북한 철도성 소속 선박승무원 및 가족 6인 등 총 10인은 김현옥 서울시장으로부터 서울시
    자료구분리버티뉴스 | 제작년도1966년 10월 | 제작주한미공보원

기타자료(18)

연구과제(1)

  • 1960~1970년대 권위주의 국가폭력과 한국사회: 구술사 접근 (2단계)

    한국학 기초자료사업 | 오제연 | 성균관대학교 | 2022 | 국내 | 서울

주제어사전(38)

  • / [지리/자연지리]

    는 1읍 2면 25리 체제이다

  • 내연발전소 / 內燃發電所 [경제·산업/산업]

    경상북도 울릉군 울릉읍 저동리에 있는 발전소. 내연발전기 9대를 보유하고 있는 총시설용량 8,000㎾의 내연발전소이다. 1956년 6월 당시 국제연합한국부흥위원단(UNKRA) 원조자금으로 도입된 미국의 유니온(Union)회사 제품의 100㎾급 내연발전기 2대 및 250

  • 섬백리향 / ─百里香 [과학/식물]

    꿀풀과에 속하는 낙엽반관목. 에서 자라는 특산식물로 형태는 백리향과 같으나 원줄기가 보다 굵어 지름이 7∼10㎜에 달하며, 잎의 길이 15㎜, 꽃의 길이 10㎜이다. 백리향과 마찬가지로 진해·진경(鎭痙)·구풍·구충의 약으로 이용하고 있다. 에 있는 자생지는

  • 울도선경가 / 鬱島仙境歌 [문학/고전시가]

    1906년박시옹(朴時顒)이 지은 가사. 개척 당시의 생활상과 풍물을 소재로 하였으며, 간결한 문체와 정연한 형식을 갖춘 비교적 짧은 작품이다. 「정처사술회가(鄭處士述懷歌)」와 함께 개척기의 정황을 표현한 희귀한 작품이다. 4음보 1구로 계산하여 총 43

  • 독도 / 獨島 [지리/자연지리]

    96(분번 포함 101필지)이다. 동도와 서도 외에 89개의 부속도서로 구성되어 있으며, 총면적은 187,554㎡(동도 73,297㎡, 서도 88,740㎡)이다. 독도의 좌표는 동도 삼각점 기준으로 북위 37도 14분 22초, 동경 131도 52분 08초이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