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울릉군” 에 대한 검색결과 총 252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237)
사전(41)
- 울릉군(경상북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1만 168명(2008년 현재)이다. 행정구역으로는 1개 읍, 2개 면, 25개 리가 있다. 군청은 경상북도 울릉군 울릉읍 도동리에 있다. [자연환경] 이 군은 주도(主島)인 울릉도(鬱陵島), 부속도인 관음도(觀音島)‧죽도(竹島)‧독도(獨島) 및 여러...
- 대풍감의향나무자생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경상북도 울릉군 서면 대하리에 있는 향나무 자생지. [내용] 천연기념물 제49호. 면적 11,900㎡. 울릉도에는 본래 많은 향나무가 자라고 있었으나, 남벌로 인하여 많이 줄어들고 남아 있는 것들은 사람들이 접근하기 어려운연계항목대풍감의향나무자생지(待風坎의향나무自生地)
- 도동의섬개야광나무섬댕강나무군락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경상북도 울릉군 울릉읍 도리에 있는 섬개야광나무‧섬댕강나무 군락지. 천연기념물 제51호. 면적 49,587㎡. 도리 항구에서 시가지를 향하여 오른쪽의 암벽 능선을 따라 자라고 있다. [내용] 능선부는 좌우가 급한 절벽이며 향...
- 임우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다. 내시로는 특별가자로 자헌대부(資憲大夫)에 오르고, 난이 끝난 뒤 논공행상을 할 때 호종공신 3등으로 울릉군(蔚陵君)에 봉해졌다. 1605년에 숭록대부(崇祿大夫)에 추증되었다. 『선조실록(宣祖實錄)』이칭별칭 덕응(德應)| 망우당(忘憂堂)|울릉군(蔚陵君)
- 나리동의울릉국화‧섬백리향군락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경상북도 울릉군 북면 나리리에 있는 울릉국화와 섬백리향 군락지. [내용] 천연기념물 제52호. 면적 3,226㎡. 나리일대는 울릉도 유일의 분지로 신생대 제3기와 제4기 초에 화산의 폭발에 의하여 대분화구가 생기고 오랜 세월...
고서·고문서(161)
- 나는 [근현대 소실위기 재중동포 서신 DB화 및 생활문화 분석 | 동덕여자대학교]문화·생활 문헌 근현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자유주제 동덕여자대학교 조진남 나는 김 남자 경상북도 울릉군 길림성(吉林省) 화룡현(和龙县) 아동저수지 3 3 나는, 김씨, 중화인민공화국, 길...대표표제어나는 | 성씨김
- 엽서앞면 [근현대 소실위기 재중동포 서신 DB화 및 생활문화 분석 | 동덕여자대학교]문화·생활 문헌 근현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자유주제 동덕여자대학교 조진남 엽서앞면 강 남자 경상북도 울릉군 하북성(河北省) 친황다오시(秦皇岛市) 해항구(海港区) 산동리7-1-6 2 2 ...대표표제어엽서앞면 | 성씨강
- 엽서앞면 [근현대 소실위기 재중동포 서신 DB화 및 생활문화 분석 | 동덕여자대학교]문화·생활 문헌 근현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자유주제 동덕여자대학교 조진남 엽서앞면 강 남자 경상북도 울릉군 하북성(河北省) 친황다오시(秦皇岛市) 해항구(海港区) 산동장소구17-1-6 2 ...대표표제어엽서앞면 | 성씨강
- 설문지 [근현대 소실위기 재중동포 서신 DB화 및 생활문화 분석 | 동덕여자대학교]문화·생활 문헌 근현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자유주제 동덕여자대학교 조진남 설문지 강 남자 경상북도 울릉군 하북성(河北省) 친황다오시(秦皇岛市) 해항구(海港区) 산동장40호 1 1 설문...대표표제어설문지 | 성씨강
- 엽서 [근현대 소실위기 재중동포 서신 DB화 및 생활문화 분석 | 동덕여자대학교]문화·생활 문헌 근현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자유주제 동덕여자대학교 조진남 엽서 강 남자 경상북도 울릉군 하북성(河北省) 친황다오시(秦皇岛市) 해항구(海港区) 교동리 2 1 엽서대표표제어엽서 | 성씨강
신문·잡지(1)
- 鬱民抑鬱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울릉군 거 안훈릉이 부에 등소기를 신군슈가 셔임지 경년이 되도록 도임치 아니즉 뎐릉 김셩하등이 무명젼일만쳔량을 민간에 징야 침학이 무쌍 잔민이 부지슈업셔 환산지경이오 일인이 삼림을 범작야 산이될 지경이니 관원을 특파야 사실후에 결...게재일1902년 2월 15일 | 기사분류잡보
기타자료(34)
- 울릉군교육비특별회계설치조례폐지조례공포예정보고 [한국 현대교육사 사료 집성 | 서울교육대학교]울릉군교육비특별회계설치조례폐지조례공포예정보고 울릉군교육비특별회계설치조례폐지조례공포예정보고 교육 문헌 교육재정 지방교육재정 교육법령 자치...범주1교육재정 | 형식문서 | 한글저자울릉군교육청 | 사료철명조례.규칙공포3
- 울릉군관내국민학교제증명수수료징수조례공포(제519호) [한국 현대교육사 사료 집성 | 서울교육대학교]울릉군관내국민학교제증명수수료징수조례공포(제519호) 울릉군관내국민학교제증명수수료징수조례공포(제519호) 교육 문헌 교육재정 지방교육재정 교육법령범주1교육재정 | 형식문서 | 한글저자울릉군교육장 | 사료철명조례공포원본
- 울릉군교육비특별회계설치조례폐지조례공포(제672호) [한국 현대교육사 사료 집성 | 서울교육대학교]울릉군교육비특별회계설치조례폐지조례공포(제672호) 울릉군교육비특별회계설치조례폐지조례공포(제672호) 교육 문헌 교육재정 지방교육재정 교육법령범주1교육재정 | 형식문서 | 한글저자울릉군교육장 | 사료철명조례공포원본
- 울릉군교육비특별회계설치조례폐지조례공포예정보고 [한국 현대교육사 사료 집성 | 서울교육대학교]울릉군교육비특별회계설치조례폐지조례공포예정보고 울릉군교육비특별회계설치조례폐지조례공포예정보고 교육 문헌 교육재정 지방교육재정 교육법령 자치...범주1교육재정 | 형식문서 | 한글저자울릉군교육장 | 사료철명조례.규칙공포3
- 울릉군교육위원회실비변상폐지규칙제정공포(제106호) [한국 현대교육사 사료 집성 | 서울교육대학교]울릉군교육위원회실비변상폐지규칙제정공포(제106호) 울릉군교육위원회실비변상폐지규칙제정공포(제106호) 교육 문헌 교육재정 지방교육재정 교육법령범주1교육재정 | 형식문서 | 한글저자울릉군수 | 사료철명규칙
주제어사전(15)
-
울릉군 / 鬱陵郡 [지리/인문지리]
면, 25개 행정리(10개 법정리)가 있다. 군청은 경상북도 울릉군 울릉읍 도동리에 있다.
-
울릉도 / 鬱陵島 [지리/자연지리]
경상북도 울릉군에 속하는 섬. 죽변에서 동쪽으로 140㎞, 포항에서 217㎞, 동해 묵호에서 161㎞ 지점에 있으며, 독도와는 92㎞ 떨어져 있다. 동경 131°52′, 북위 37°30′에 위치하며, 면적 72.9㎢, 인구는 10,220명(2008년 현재)이다. 현재
-
독도 / 獨島 [지리/자연지리]
대한민국 정부 소유의 국유지로서 천연기념물 제336호로 지정되어 있는 섬. 경상북도 울릉군에 속한 독도는 대한민국 정부 소유(관리청: 국토교통부)의 국유지로서 천연기념물 336호(1982년 11월 문화재청)로 지정되어 있다. 주소는 경상북도 울릉군 울릉읍 독도리 1~
-
나리분지 / 羅里盆地 [지리/자연지리]
경상북도 울릉군 북면 나리리에 있는 분지. 화산분출물로 이루어진 나리분지의 토양은 보수력(保水力)이 약하기 때문에 밭농사를 하며 논농사는 불가능하다. 분지 내에서는 더덕을 비롯하여 산채나물인 취·고비·산나물 등과 약간의 옥수수·감자가 재배되고 있다. 특히 나리분지 내
-
성인봉 / 聖人峰 [지리/자연지리]
경상북도 울릉군 울릉읍과 북면·서면에 걸쳐 있는 산. 성인봉 높이는 986.5m이고, 울릉도의 최고봉인 성인봉에서 세 방향으로 산맥이 뻗어내려 남면·북면·서면을 가르는 경계가 되고 있다. 원시림을 남기고 있는 성인봉은 울릉도의 중요 관광자원이다. 주변의 관광지는 알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