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울력” 에 대한 검색결과 20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9)

사전(6)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길흉사가 있거나 일손이 모자라서 가사가 밀려 있는 집을 위해 마을사람들이 무보수로 노동력을 제공해 주는 협동 관행. [내용] 전통적인 촌락사회에서 촌락 주민들이 힘을 합하여 무보수로 남의 일을 도와 주는 협동방식을 ‘한다’고 말한다....
  • 대중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
    사찰에서 여러 사람들이 함께 일하는 것
    정의사찰에서 여러 사람들이 함께 일하는 것 | 문광부표기daejung ullyeok | MR표기taejung ullyŏk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우살미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경상북도 문경지방에서 신축가옥의 지붕이기를 할 때 마을사람들이 무보수로 공동작업을 하여주는 일종의 협동관습. [내용] 함경북도 명천지방 부근과 경상남도 내륙지방 과 비슷한 관행으로 마을사람들이 노동의 교환이나...
  • 부군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문경지방에서 관행되었던 ‘우살미’와 경상남도 내륙지방에서 아직도 간혹 행하여지고 있는 ‘’이 그 좋은 예에 속한다. 우살미는 신축가옥의 지붕이기를 할 때 마을사람들이 무보수로 공동작업을 해 주는 관습이다. 은 길흉사가 있거나 일손이 모자라 농사일이나 가사...
    이칭별칭부근(附近)
  • 승려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譯, 김영사, 1984) 승가의 승려들은 수행의 한 방법으로 합동으로 스스로 먹을 농사를 짓는다. 예불

고서·고문서(8)

  • 절, 세배, 만수무강, 축원, 우리, 만날수있을거예요, 전, 기다리겠어요, 나, 서서, 부쳐, 어머니, 자나깨나, 고향, 친인, 그리고, 할머니, 중국, 들어왔대요, 어머니, 낳고, 12살, 할머니, 저세상, 돌아갔대요, 친척, 한사람, 알려주지않았대요, 할머니,...
    대표표제어한인경아지미 | 성씨
  • 돌아왔다. 뱃속이 편치 않고, 항문이 빠져나와서 들어가지 않으며, 세 차례 측간에 갔다. 初十日癸亥, 晴。 初十日癸亥, 晴。 ○服丸藥。○奴太石辭還。○石乙今昨日因怒揮手, 致觸阿只右目尾。泣下云云。卽令招來, 懸于木, 撻十餘。因淑吉之請, 乃停之。○礪城訪, 以父友也。...
    자료문의서울대학교(연구책임자 : 정긍식 교수)
  • 보리[麥]를 구하는 편지를 받아 운력(運力) 운력(運力) : 승려들의 육체노동이다. 이라고도 하고, 여러 사람이 힘을 구름처럼 모은다는 뜻에서 雲力이라고도 한다.하는 승(僧)을 먹이고 싶다고 했다. 너무 부탁이 잦아 그리 해 줄 수 없었다. 천택(天澤)의 편지를 전...
    자료문의서울대학교(연구책임자 : 정긍식 교수)
  • 하니보생창한 상하의복 넉죽맛죽 부족이라소주약주 가진술과 생선건술 원문 5ㄴ 안주등절까지 추보신이 그걱정이 오직할까재행삼행 다닐적에 소도잡고 개도잡아사척종족 다청하니 날마다 잔치같고달마다 연차로다일월이 여류하여 칠팔사이 닥...
    가사유형탄식가류 | 소장처이상규 | 시대해방이전
  • 옷은 이라 가내댁애 품아시□정지년들 드내기라 우리엄마 날키와서할말도 무궁하며 소휘도 만큰마는낫지면 안자볼가 밤이면 장등이라총망하고 분주하다 삼시라도 여가업서말삼한변 못해보고 헌득〃〃 지나가내신행날이 당햇구냐 열두마리 로복마와교마가마 등대하고 하인등속 분〃할재하임두상...
    가사유형탄식가류 | 소장처조춘호 | 시대해방이전

구술자료(5)

  • (1) 소리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 조사자 일행은 낙수 노인정에서 채록을 끝내고 거기로 부터 7km 떨어진 이읍 마을로 갔다. 그리하여 곧장 노인정을 찾아 갔더니 마침 마을에서 환갑잔치가"<page id="867"/>"벌어져 모두들 거기 참석한 까닭으로 노인정은 텅 비어 있었다. 할 수 없이 조사자...
    조사일시1984-04-07 | 조사장소전라남도 승주군 송광면 | 제보자최재훈
  • [군산 9] 1. [군산 7]이 참고된다. 2. 위야허허 류는 군산시 대야면과 서수면, 김제시, 완주군에서도 에염싸는 소리로 분포한다. 임실군에서는 소리로도 원용된 예가 있다. 보성군, 화순군, 광양시 및 서부 경남지역에서는 줄멤소리로도 수집되었다.
    녹음지역전라북도 군산시 임피면 보석리(구절마을) | 녹음날짜1989.5.15 | 가창방식1. 멕받형(선후창). 2. 멕받형 또는 선입후제창
  • - 외치고는 발로 풀을 밟으며 논매기를 끝낸다. A : 위야허허 류는 군산시 서수면 등과 김제시, 완주군에서도 에염싸는 소리로 분포한다. 임실군에서는 소리로도 원용된 예가 있다. 보성군, 화순군, 광양시 및 서부 경남지역에서는 줄멤소리로도 수집되었다. B :
    녹음지역전라북도 군산시 대야면 죽산리 탑동 | 녹음날짜1984.가을 | 가창방식A: 멕받형 (선후창) B: 복창 C: 선입후 제창
  • -거창군 고제- 장수군 청천면 내명리 거쳐 1948-1953년에 함양군 서상면 에서 경찰직. 1964년경에 염씨 처가집인 해평 이주. 1984년경에 은행 이주) 이소라 이소라 무후렴 모노래 곡풍 교창(교환창) 금년에- 헤에이 돋은, 칡넝쿨으-흔,
    녹음지역경상남도 함양군 서하면 운곡리 해평,은행 | 녹음날짜2004.9.8 | 가창방식교창(교환창)
  • 전라북도 군산시_1. 초야 호미매기소리 2. 만두리 3. 에염소리 [1980년대 집중 녹음된 논매기소리 자료의 DB구축과 전자문화지도 작성 및 논매기소리 연구 | 공주대학교]
    산아지’라는 곡명은 문화중심지의 받음구에서 따왔다. 3. 위야허허 류는 군산시 대야면 죽산리 탑동마을과 서수면, 김제시, 완주군에서도 에염싸는 소리로 분포한다. 임실군에서는 소리로도 원용된 예가 있다. 보성군, 화순군, 광양시 및 서부 경남지역에서는 줄멤소리로도
    녹음지역전라북도 군산시 대야면 보덕리 초야 | 녹음날짜1989.5.16.가을 | 가창방식1, 2, 3. 멕받형(선후창).

주제어사전(1)

  • / [사회/촌락]

    길흉사가 있거나 일손이 모자라서 가사가 밀려 있는 집을 위해 마을사람들이 무보수로 노동력을 제공해 주는 협동 관행. 전통적인 촌락사회에서 촌락 주민들이 힘을 합하여 무보수로 남의 일을 도와 주는 협동방식을 ‘한다’고 말한다. 협동 노동방식은 우리 나라 어디에서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