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운혜” 에 대한 검색결과 120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18)

사전(77)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앞부리와 뒤꿈치에 구름 무늬를 새긴 여자의 마른신. [내용] 온혜(溫鞋)라고도 한다. 의 기록이 처음 보이는 것은 1408년(태종 8)의 <예조상정상제 禮曹詳定喪制>이다. 이에 의하면 궁중 상복에 정비(靜妃:太宗妃))‧대비‧숙빈은
  • [조선시대 의궤용어사전(I)-왕실전례편 | 대구가톨릭대학교]
    ① 중인계급의 관원들이 신는 남자의 마른 신. ② 신코와 뒤축에 장식이 있는 여자의 비단 신. 상의원(尙衣院)의 어복(御服)을 받드는 사람과 가례에 투입되는 각종 담배군(擔陪軍), 부지군(負持軍), 정연군(正輦軍), 옥교배(玉轎陪)의 착용을 비롯하여 귀유치[歸遊...
    분야문화‧생활 | 유형개념용어
  •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
    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혜(鞋) 피혜(皮鞋) 당(唐), 백(白), 온혜(溫鞋), 흑(黑) 생활 풍속의생활/이 의복 대한민국 조선 윤양노 [정의] 구름무늬 장식이 있는 사대부...
    상위어혜(鞋) | 하위어피혜(皮鞋) | 관련어당운혜(唐雲鞋), 백운혜(白雲鞋), 온혜(溫鞋), 흑운혜(黑雲鞋)
  • 모단 [조선시대 의궤용어사전(I)-왕실전례편 | 대구가톨릭대학교]
    개, 전투용 군모의 안감과 갑 머리망건 등에 다양하게 사용되었다. 豆錫吐環十箇冒緞十部, (가례1819/235ㄱ01~02)
    분야문화‧생활 | 유형개념용어

고서·고문서(32)

  • 1564_384_345 1564년11월 ○당(堂)에 머물렀다 1564년 11월 20일 기미. ○당(堂)에 머물렀다. ○김제갑(金悌甲)이 게젓[沈蟹] 200개‧() 1개‧동화(童靴) 1개 등을 보내왔다. ○어제 한진(韓璡) 댁이 숯 3섬을 보내주었...
    자료문의서울대학교(연구책임자 : 정긍식 교수)
  • 04117 잡가 악부[고대본] 16001 1930년경 이용기 필사본 츌림가 [51] 푹苦草 져리김치 文魚 全鰒 겻드리고 黃燒酒 을 타 香丹이 들녀 압셰우고 淳昌 潭陽 셰대삿갓 눈셥 놀너 슉여쓰고 五里亭 나갈 젹에 玉佩은 錚錚 는 자...
    구분잡가 | 편저자이용기
  • 문화·생활 문헌 근현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자유주제 동덕여자대학교 조진남 임마누엘 임 여자 섬서성(陕西省) 서안시(西安市) 24호 2 2 임마누엘, 복음, , 책, 요구, 거주, 집, 주소,...
    대표표제어임마누엘 | 성씨
  • 도 黃燒酒 을 타 香丹놀이 들여 압세우고 淳昌 潭陽 셰삿갓 눈셥 눌너 슉여 쓰고 五里亭 나갈 젹에 玉佩은 錚錚 은 자각자각 五里亭 當道하야 溪邊 岩上에 酒案 노코 憂然 歎息 우름 울 졔 머리도 아드득 더 싹싹 븨여 던지고 잔담이도 부드득 더 뷔여 더지고...
    구분잡가 | 편저자이왕직 아악부
  • 리도 黃燒酒 을 타 香丹놀이 들여 압세우고 淳昌 潭陽 셰삿갓 눈셥 눌너 슉여 쓰고 五里亭 나갈 젹에 玉佩은 錚錚 은 자각자각 五里亭 當道하야 溪邊 岩上에 酒案 노코 憂然 歎息 우름 울 졔 머리도 아드득 더 싹싹 븨여 던지고 잔담이도 부드득 더 뷔여 더지고...
    구분잡가 | 편저자이왕직아악부

신문·잡지(2)

기타자료(7)

  • 백제가 왜에 불법을 전한 것이 언급되다. [동아시아 ‘교류’ 관련 한국고대사 기초자료 연구 : 문서, 사람, 물품 | 고려대학교]
    天皇造丈六繡像丈六銅像 顯揚佛敎 恭敬僧尼 朕更復思崇正敎 光啓大猷 故以沙門狛大法師福亮惠雲常安靈至 寺主僧旻道登惠隣 而爲十師 別以惠妙法師爲百濟寺寺主 此十師等 宜能敎導衆僧 修行釋敎 要使如法 凡自天皇至于伴造所造之寺 不能營者 朕皆助作 令拜寺司等興寺主 巡行諸寺 驗僧尼奴婢田畝之實...
    대표표제어백제가 왜에 불법을 전한 것이 언급되다. | 주제분류교류담당 | 연대645년(乙巳/신라 선덕왕 14 仁平 12/고구려 보장왕 4/백제 의자왕 5/唐 貞觀 19/倭 皇極 4, 大化 1)
  • 백제가 왜에 불법을 전한 것이 언급되다. [동아시아 ‘교류’ 관련 한국고대사 기초자료 연구 : 문서, 사람, 물품 | 고려대학교]
    蘇我馬子宿禰追遵考父之風 猶重能仁世之敎 而餘臣不信 此典幾亡 天皇詔馬子宿禰而使奉其法 於小墾田宮御宇之世 馬子宿禰奉爲天皇造丈六繡像丈六銅像 顯揚佛敎 恭敬僧尼 朕更復思崇正敎 光啓大猷 故以沙門狛大法師福亮惠雲常安靈至 寺主僧旻道登惠隣 而爲十師 別以惠妙法師爲百濟寺寺主 此十師等 宜能敎...
    대표표제어백제가 왜에 불법을 전한 것이 언급되다. | 주제분류교역물품 | 연대645년(乙巳/신라 선덕왕(宣德王) 14 仁平 12/고구려 보장왕 4/백제 의자왕 5/唐 太宗 貞觀 19/倭 皇極天皇 4, 孝德天皇 大化 1)
  • 승려 담시(曇始)가 경률(經律) 수십 부를 가지고 요동(遼東)에서 불도를 전하다. [동아시아 ‘교류’ 관련 한국고대사 기초자료 연구 : 문서, 사람, 물품 | 고려대학교]
    을 주었고 불계에 귀의하게 하였다. 대체로 고구려가 불도를 듣게 된 시작이다. (󰡔高僧傳󰡕 10 神異 下 釋曇始 9) 【원문】 又按元魏釋曇始[一始]傳云 始關中人 自出家已後 多有異迹 晋孝武大元九年末 齎經律數十部 往遼東宣化 現授三乘 立以歸戒 蓋高麗聞道之始也 (󰡔三...
    대표표제어승려 담시(曇始)가 경률(經律) 수십 부를 가지고 요동(遼東)에서 불도를 전하다. | 주제분류교류담당 | 연대396년(丙申/신라 나물이사금 41/고구려 광개토왕 5, 永樂 6/백제 아신왕 5/晉 太元 21/倭 仁德 84)
  • 승려 담시(曇始)가 경률(經律) 수십 부를 가지고 요동(遼東)에서 불도를 전하다. [동아시아 ‘교류’ 관련 한국고대사 기초자료 연구 : 문서, 사람, 물품 | 고려대학교]
    에 경(經)·율(律) 수십 부를 가지고 요동으로 가서 교화를 펴서 명히 삼승(三乘)을 주었고 불계에 귀의하게 하였다. 대체로 고구려가 불도를 듣게 된 시작이다. (『高僧傳』 10 神異 下 釋曇始 9) 【원문】 又按元魏釋曇始[一始]傳云 始關中人 自出家已後 多有異迹...
    대표표제어승려 담시(曇始)가 경률(經律) 수십 부를 가지고 요동(遼東)에서 불도를 전하다. | 주제분류교역물품 | 연대396년(丙申/신라 나물이사금 41/고구려 광개토왕 5, 永樂 6/백제 아신왕 5/東晉 孝武帝 太元 21/倭 仁德天皇 84)
  • 고구려 사신에게 왜가 지속적인 사신 왕래를 주문하다. [동아시아 ‘교류’ 관련 한국고대사 기초자료 연구 : 문서, 사람, 물품 | 고려대학교]
    世 蘇我馬子宿禰追遵考父之風 猶重能仁世之敎 而餘臣不信 此典幾亡 天皇詔馬子宿禰而使奉其法 於小墾田宮御宇之世 馬子宿禰奉爲天皇造丈六繡像丈六銅像 顯揚佛敎 恭敬僧尼 朕更復思崇正敎 光啓大猷 故以沙門狛大法師福亮惠雲常安靈至 寺主僧旻道登惠隣 而爲十師 別以惠妙法師爲百濟寺寺主 此十師等 宜...
    대표표제어고구려 사신에게 왜가 지속적인 사신 왕래를 주문하다. | 주제분류교류담당 | 연대645년(乙巳/신라 선덕왕 14 仁平 12/고구려 보장왕 4/백제 의자왕 5/唐 貞觀 19/倭 皇極 4, 大化 1)

주제어사전(2)

  • / [생활/의생활]

    앞부리와 뒤꿈치에 구름 무늬를 새긴 여자의 마른신. 온혜(溫鞋)라고도 한다. 의 기록이 처음 보이는 것은 1408년(태종 8)의 <예조상정상제 禮曹詳定喪制>이다. 이에 의하면 궁중 상복에 정비(靜妃:太宗妃))·대비·숙빈은 백사혜(白絲鞋), 공주·옹주는 백피온혜(白

  • 화온혜 / 花溫鞋 [생활/의생활]

    앞코와 뒤축에 구름무늬가 장식되어 있는 온혜에 꽃을 단 조선 시대 상류 계급 여성의 비단신. 온혜는 신코와 뒤축에 운문을 장식한 조선 시대 상류계급 여성들의 신발로, 겉은 색상이 있는 비단으로 만들고 안은 융을 댔다. 조선 시대에는 화와 혜의 만듦새가 각기 다르지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