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운학본원” 에 대한 검색결과 총 4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3)
사전(3)
- 운학본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조선 중기의 학자 황윤석(黃胤錫)이 지은 한자음 관계 운서(韻書). [내용] 『이수신편(理藪新編)』 권20에 수록되어 있다. 『이수신편』 권20에는 ‘운학본원’이라는 큰 제목 아래 「운법횡도(韻法橫圖)」(李世澤)를 14장에 걸쳐 전재하고...
- 이수신편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어철학 및 운서에 대한 이론이 소개되어 있으며, 권20의 <운학본원>에는 성운학(聲韻學)의 근원을 밝히고자 한 작업이 드러나 있다. 특히, 권20의 부록으로 세종대왕훈민정음본문자모(世宗大王訓民正音本文字母)와 홍무정운자모(洪武正韻字母), 몽어노걸대12자두문(蒙語老...
- 국어학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숙종 4) 최석정(崔錫鼎)의 ≪경세정운 經世正韻≫, 1747년(영조 23) 박성원(朴性源)의 ≪화동정음통석운고 華東正音通釋韻考≫와 ≪화동정음통석≫, 1751년 홍계희(洪啓禧)의 ≪삼운성휘 三韻聲彙≫, 영조 때 황윤석(黃胤錫)의 ≪황극경세서 皇極經世書≫(韻學本源), 정...
주제어사전(1)
-
운학본원 / 韻學本源 [언어/언어/문자]
조선 중기의 학자 황윤석(黃胤錫)이 지은 한자음 관계 운서(韻書). 『이수신편(理藪新編)』 권20에 수록되어 있다. 『이수신편』 권20에는 ‘운학본원’이라는 큰 제목 아래 「운법횡도(韻法橫圖)」(李世澤)를 14장에 걸쳐 전재하고, 『삼운성휘(三韻聲彙)』에 의거하여 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