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운학” 에 대한 검색결과 867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839)

사전(336)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음(音)을 줄여 말할 때 쓰는 술어. [내용] 중국성(中國聲) 또는 한어음(漢語音)이라고도 하며, 한어(漢語)의 음운(성모‧운모‧성조 등)을 연구하는 학문이지만, 19세기까지는 한어를 기록하는 한자의 음(音 : 字音...
  •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
    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TD_I9_O_0033 언어 音學, 字學, 體, , 用, 音學, 子母, 眼學, 耳學, 六書, 圖書八卦, 三才, 性命道德, 禮樂刑政, 十二律, 八十四調, 陰陽, 宮商角徵羽, 四聲, 五行, 五方, 五常, 七音, 華字, 蒙古字, 牙音, 舌頭音, 舌上音,...
    출전오주연문장전산고 | 수록위치12권 15장 3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 ()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音) 성(聲) 운서(韻書), 음운(音韻), 성모(聲母), 운모(韻母) 문화인문학/어문학 개념용어 최병선 [정의] 한어의 음운에 대해 연구하는 한어 음...
    상위어음운학(音韻學) | 동의어성운학(聲韻學) | 관련어운서(韻書), 음운(音韻), 성모(聲母), 운모(韻母)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무(飛舞)하는 모습, 또는 두 마리의 학이 긴 목을 서로 휘감고 춤추는 광경이 새겨졌다. 또 청자상감매병 등 12세기 중엽의 항아리‧병‧대접‧주전자 등 도자기에는 푸른 바탕에 보운(寶雲)과 백학(白鶴)이 떠 있는 문양이 성행하며, 매우 추상적인 표현의 문도 나타난다...

단행본(1)

  • 선생 사적-역주교감 청학집- [역주 교감 <청학집> | 단국대학교(천안캠퍼스)]
    저자 : 김성환(실학박물관 학예연구실장)... | 출판사 : 경인문화사 | 출판일 : 2010.05.20
    분야종교‧철학 | 유형단행본
    1.《선생사적(先生事蹟)》에서의 몇 가지 문제 2. 교감(校勘) 선생사적 3. 역주(譯註) 선생사적 (1)《선생사적》의 저술 (2) 조선의 선가

고서·고문서(308)

  • 선생문집(先生文集) [해외소장 한국전적의 해제 및 디지털화를 통한 공유화 사업(1단계) | 고려대학교]
    내용분류교육/문화-문학/저술-문집 | 형식분류고서-문집 | 현소장처미국 버클리대학교 동아시아도서관(리치몬드 문고)
  • 3 第三統統首元 [울산호적의 기초조사 및 전산화 (2단계) | 울산대학교]
    1849년_동면(東面) 1849년 동면(東面) 第一東部里 3 第三統統首元 第一戶 長水道驛吏元年伍拾參丁巳本原州父連遜祖龍世曾祖鶴東外祖김銘壽 本慶州妻김姓年伍拾貳戊午本김海父光珠祖夢麟曾祖八興外祖李永壽本慶 州子有坤年參拾壹己卯等丙午戶口相准 第二戶 寡김...
    연도_면이름1849년_동면(東面) | 면이름동면(東面) | 마을이름第一東部里
  • [사진] 동영준 김 김창화 [분단 70년 DMZ 남북 충돌(군사)사례 DB구축: 1945~2015 | 동국대학교]
    역사 문헌 현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 동국대학교 김용현 [사진] 동영준 김 김창화 대한민국(남한) 경향신문사(남한) 기타(신문) 남한의 주요 일간지인 『경향신문』: 1946년 10월 5411일 창간 북...
    대표표제어[사진] 동영준 김운학 김창화 | 저작권자경향신문사(남한) | 자료구분기타(신문) | 키워드북한, 유학생, 망명
  • 선생의 미래를 예지하는 꿈해몽 :대사전 [사전 편찬 정보 통합 DB 구축 | 고려대학교]
    교육 개념용어 근현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자유주제 고려대학교 최호철 백 선생의 미래를 예지하는 꿈해몽 :대사전 인문학 종교학 기타종교학 백 선생의 미래를 예지하는 꿈해몽 :대사전 백 지음 일...
    대표표제어백운학 선생의 미래를 예지하는 꿈해몽 :대사전 | 대분류인문학 | 중분류종교학 | 소분류기타종교학
  • 컬러 꿈풀이사전 : 백 선생의 60년 비법 공개! [사전 편찬 정보 통합 DB 구축 | 고려대학교]
    교육 개념용어 근현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자유주제 고려대학교 최호철 컬러 꿈풀이사전 : 백 선생의 60년 비법 공개! 인문학 종교학 기타종교학 컬러 꿈풀이사전 : 백 선생의 60년 비법 공개! 저자...
    대표표제어컬러 꿈풀이사전 : 백운학 선생의 60년 비법 공개! | 대분류인문학 | 중분류종교학 | 소분류기타종교학

구술자료(1)

  • 자의 대단한 신통력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 조사자가 홀로 있는 시아버님을 장가 들여준 며느리 이야기를 했더니, 청중 한분이 합강 신씨네도 며느리가 그런 일을 한 적이 있다는 말을 했다. 구체적인 이야기를 듣고자 했더니, 이야기는 하지 않았다. 이때 제보자가 운학자 이야기를 한마디 하겠다고 나섰다. 이제 본...
    조사일시1984-04-14 | 조사장소경상북도 예천군 보문면 | 제보자안세모

기초학문(11)

  • 集成》音系初探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까오롱꾸이, 게재일 : 2001
    10891 까오롱꾸이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山东师范大学 2001 《集成》音系初探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FRBR&metaDataId=4b76f6df51e
    유형논문 | 게재일2001
  • 多音漢字의 中國音的 分析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엄익상, 게재일 : 1998
    10980 엄익상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중국어문학연구회 1998 多音漢字의 中國音的 分析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FRBR&metaDataId=4b76f6
    유형논문 | 게재일1998
  • 한국한자음 이독자의 분포와 수용양상에 대한 음적 연구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염재웅, 게재일 : 2016
    56458 염재웅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중국인문학회 2016 한국한자음 이독자의 분포와 수용양상에 대한 음적 연구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
    유형논문 | 게재일2016
  • 簡易俗成化 조자방식의 合體 簡化字에 대한 성적 고찰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최동표, 게재일 : 2015
    66005 최동표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중국어문학연구회 2015 簡易俗成化 조자방식의 合體 簡化字에 대한 성적 고찰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
    유형논문 | 게재일2015
  • 《元聲大成》反映的語音系統以及與相關韻書的關係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곡효운, 게재일 : 2011
    28744 곡효운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중국어문학연구회 2011 《元聲大成》反映的語音系統以及與相關韻書的關係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
    유형논문 | 게재일2011

신문·잡지(128)

  • 경제·산업 사건 근대 金(金) 서울 金 初音町 212-2 기타 - 인사 알선(周旋) - 37.5 - 京城商工名錄, 1940년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토대연구지원 서강대학교 최기영
    대표표제어金雲鶴(金雲鶴) | 지역서울 | 품목기타 | 영업종목인사 알선(周旋) | 자료출처京城商工名錄, 1940년
  • 경제·산업 사건 근대 崔(-) 청진 崔 - 浦項洞 - - 미,잡곡상 - - - 淸津商工人名錄, 1932년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토대연구지원 서강대학교 최기영
    대표표제어崔雲鶴(-) | 지역청진 | 품목- | 영업종목미,잡곡상 | 자료출처淸津商工人名錄, 1932년
  • 경제·산업 사건 근대 宋(萬石釀造場) 인천 宋 萬石釀造場 萬石町 74 - - 일본·서양술(和洋酒類),청량음료 양조 13 - 仁川港: 仁川商工人名錄, 1931년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토대연구지원 서강...
    대표표제어宋雲學(萬石釀造場) | 지역인천 | 품목- | 영업종목일본·서양술(和洋酒類),청량음료 | 자료출처仁川港: 仁川商工人名錄, 1931년
  • 南署名哲坊石橋居白이가水閣橋客主...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南署名哲坊石橋居白이가水閣橋客主白明善處에즐돈一千五百九十六兩於音을遺失엿스니누구던지拾得셔도休紙施行시오 白 告白
    게재일1901년 7월 25일 | 기사분류광고
  • 壓土致斃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함흥군 장과 쥬군 송재희량인이 삼화항에 거류 일본인 자등씨의 가옥건츅 고용다가 흙에치여당장치폐얏다더라
    게재일1907년 6월 7일 | 기사분류잡보

멀티미디어(3)

기타자료(51)

  • ;河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136747 남한 경성 정신여학교 1-40 貞信 창간호(貞信女學生基督敎靑年會) 1935―03―20 89면 1. 졸업생상황(1935년 1월 조사) 하;河 강원도 원주;경성 봉래정1정목 121...
    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정신여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林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056712 남한 경북 대구사범학교 2-16 校友 제1호 1926―04―30 152면 임;林 영주
    학교소재지역경북 | 학교명대구사범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林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057174 남한 경북 대구사범학교 2-16 伏賢會員名簿 (1966년11월말 현재) 1966―11 22면 임;林 제4회 1929년 3월 25일
    학교소재지역경북 | 학교명대구사범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鄭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059937 남한 경북 대구사범학교 2-16 伏賢會員名簿 (1966년11월말 현재) 1966―11 55면 정;鄭 제12회 1945-03-20일
    학교소재지역경북 | 학교명대구사범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南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118980 남한 경성 중동학교 1-41 회원명부(1942년 11월 현재, 제20호) 1942―12 29면 남;南 함북 무산군 읍면 성천리 본과 제1회 1924년 3월
    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중동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연구과제(2)

주제어사전(26)

  • / [언어/언어/문자]

    (音)을 줄여 말할 때 쓰는 술어. 한어(漢語)의 음운(성모·운모·성조 등)을 연구하는 학문이지만, 19세기까지는 한어를 기록하는 한자의 음(音 : 字音)에 대한 역사적인 연구에 주로 힘써왔으며, 우리나라에 있어서도 마찬가지였다. 중국음이 발달되기 시작한

  • / 康 [역사/근대사]

    1882-1964. 일제 강점기 의병·독립운동가. 본적은 경상북도 봉화군(奉化郡)이다. 동생은 강준학(康俊鶴)이다. 1907년(융희 1) 일제에 의해 고종 황제가 퇴위를 당하고 강압적으로 군대가 해산되자, 해산된 군인들이 의병에 가담하면서 전국적으로 의병활동이 진행되

  • 본원 / 本源 [언어/언어/문자]

    조선 중기의 학자 황윤석(黃胤錫)이 지은 한자음 관계 운서(韻書). 『이수신편(理藪新編)』 권20에 수록되어 있다. 『이수신편』 권20에는 ‘본원’이라는 큰 제목 아래 「운법횡도(韻法橫圖)」(李世澤)를 14장에 걸쳐 전재하고, 『삼운성휘(三韻聲彙)』에 의거하여 두

  • 이동안 / 李東安 [예술·체육/무용]

    해방 이후 중요무형문화재 제79호「발탈」 전승자로 지정된 기예능보유자.전통무용가. 경기도 화성군 송곡리 출생. 화성 재인청 도대방이었던 이재학(李在學)의 아들로 태어났고, 집안은 대대로 세습 재인집단이었다. 서당에서 한학을 공부했으나 14살 무렵 남사당패를 따라 가출하

  • 권정선 / 權靖善 [교육/교육]

    을 고안하는 데 있었다고 한다. 이 책은 ()과 한자음 연구로부터 벗어나 『훈민정음』 연구가 본격적으로 연구되던 때의 저작이다. 영조 때의 자(者) 이사질(李思質)의 후계자로 조선조의 마지막을 지킨 한글학자라 할 수 있으며, 주시경(周時經)에게도 많은 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