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운부군옥” 에 대한 검색결과 총 22,926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22,905)
사전(22,887)
- 운부군옥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唐板)을 바탕으로 복각(覆刻)한 어명판인데 인쇄된 흔적으로 보아 초간본으로 짐작된다. 대전광역시 대덕구 중리동 김영한(金英漢)이 소장하고 있다. 문화재대관(대전광역시, 1997) 운부군옥 ...연계항목운부군옥(韻府群玉)
- 운부군옥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중국 원(元)대에 음시부(陰時夫, ?-?)가 편찬한 운서.정의중국 원(元)대에 음시부(陰時夫, ?-?)가 편찬한 운서.[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 영문 용어‧용례 사전] | 문광부표기Unbu gunok | MR표기Unbu kunok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운부군옥(韻府群玉)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운부군옥 운부군옥 韻府群玉 백과전서 한문 한국 조선 세종 성낙수 박종국 2016 유계문 미상 1437 20권 10책 목판본 운부군옥(韻府群玉) 김영한(개인소장) ...
- 운부군옥(韻府群玉)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6302 문헌 운부군옥(韻府群玉) 운부군옥 韻府群玉 1437년에 왕명으로 간행된 일종의 한자 사전. 20권 10책. 목판본. 이 책은 글자를 운자별(韻字別)로 구분하고 배열하였으며, 참고가 되는 고사성어의 원전까지 소개한 일종의 백...유형분류문헌
- 대동운부군옥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운별(韻別)로 분류해 놓은 책이다. 책명에서 ‘대동(大東)’이라는 말은 ‘동방대국(東方大國)’이라는 뜻이고, ‘운부군옥(韻府群玉)’은 운별로 배열한 사전이라는 뜻이다. 원나라 음시부(陰時夫)가 지은 ≪운부군옥≫이 중국의 역사 기록을 수록하여 엮은 것에 대하여,...
고서·고문서(18)
- 대동운부군옥(大東韻府群玉) [해외소장 한국전적의 해제 및 디지털화를 통한 공유화 사업(1단계) | 고려대학교]내용분류교육/문화-문학/저술 | 형식분류고서-운서 | 현소장처미국 버클리대학교 동아시아도서관(아사미 문고)
- 대동운부군옥(大東韻府群玉) [해외소장 한국전적의 해제 및 디지털화를 통한 공유화 사업(2단계) | 고려대학교]내용분류교육/문화-문학/저술 | 형식분류고서-운서 | 현소장처일본 동양문고(東洋文庫)
- 대동운부군옥(大東韻府群玉) [해외소장 한국전적의 해제 및 디지털화를 통한 공유화 사업(2단계) | 고려대학교]내용분류교육/문화-문학/저술 | 형식분류고서-운서 | 현소장처일본 동양문고(東洋文庫)
- 대동운부군옥(大東韻府群玉) [해외소장 한국전적의 해제 및 디지털화를 통한 공유화 사업(2단계) | 고려대학교]내용분류교육/문화-문학/저술 | 형식분류고서-운서 | 현소장처일본 동양문고(東洋文庫)
- ○휘(煇)와 함께 여막을 지켰다 [16세기 역사상의 재해석 :『묵재일기(默齋日記:1535〜1567)』교감(校勘) 및 역주(譯註) 사업 | 서울대학교]○연괄(延佸)‧김팽개(金彭愷) 등이 다녀갔다. ○효복(孝福)이 와서 이야기를 나누었다. ○염(爓)이 시(詩) 5수(首)를 보냈는데 시격(詩格)을 맞추질 못했다.《운부군옥(韻府群玉)》 운부군옥(韻府群玉) : 韻을 구분 배열하고 참고가 되는 고사성어의 원전까지 소개한 일종...자료문의서울대학교(연구책임자 : 정긍식 교수)
주제어사전(21)
-
운부군옥 / 韻府羣玉 [언론·출판]
음시부 편집. 목판본. 15권 8책. <운부군옥>은 1437년(세종 17) 원나라의 음시부가 찬하고 그의 형인 음중부가 주를 단 책을 세종의 명에 따라 복각한 판본이다. 원 간본과 같이 매 글자마다 반절음으로 표기했고, 글자의 이동과 변천을 밝혔다. 오늘날 통용되는
-
대동운부군옥 / 大東韻府群玉 [종교·철학/유학]
조선 선조 때 권문해가 편찬한 일종의 백과전서. 20권 20책. 목판본. 한중 두 나라의 문헌 중 단군시대로부터 편찬 당시까지 우리 나라의 지리·역사·인물·문학·식물·동물 등을 총망라하여 운별로 분류해 놓은 책이다. ≪대동운부군옥≫의 목록은 ≪운부군옥≫과는 달리 유목
-
목주 / 木州 [문학/고전시가]
신라시대에 지어진 작자 미상의 가요. 작품은 전하지 않고, 그 지어진 내력만이 『고려사』 악지(樂志) 삼국속악조(三國俗樂條)와 『증보문헌비고』 악고(樂考) 17과 『대동운부군옥』 권18에 각각 비슷한 내용으로 기록되어 전한다. 『고려사』에 실린 제목은 ‘목주’이고,
-
옥휘운고 / 玉彙韻考 [언어/언어/문자]
1811년(순조 11) 이경우(李景羽)가 편찬한 운(韻) 중심의 한자어(漢字語) 해설서. 목판본. 1812년 심정조(沈鼎祖)가 간행하였으며 순전히 한자로만 기록되어 있다. 원나라 음시부(陰時夫)가 지은 『운부군옥(韻府群玉)』은 20편이나 되어 너무 분량이 많아서 읽기
-
한문소설 / 漢文小說 [문학/한문학]
할 수 있는 작품들이 발견된다. 『삼국유사』에 실린 「김현감호」와 「조신」, 『수이전』의 잔편으로 『대동운부군옥 大東韻府群玉』과 『태평통재 太平通載』에 실려 있는 「최치원」과 『대동운부군옥』의 「수삽석남 首揷石枏」, 그리고 『삼국사기』 열전(列傳)에 실려 있는 「온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