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운계집” 에 대한 검색결과 총 13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0)
사전(5)
- 김종정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저서로는 『운계집』ㆍ『사례집요(四禮輯要)』ㆍ『문헌집략(文獻輯略)』ㆍ『시차(詩箚)』ㆍ『서차(書箚)』ㆍ『예차(禮箚)』ㆍ『중용기의(中庸記疑)』ㆍ『중용집설(中庸集說)』 1권, 『가범(家範)』ㆍ『낙민장보(洛閩狀譜)』 등이 있다. 시호는 청헌(淸獻)이다. ...이칭별칭 백강(伯剛)| 운계(雲溪)| 청헌(淸獻)
- 운계집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조선 말기의 학자 이주상(李周相)의 시문집. [정의] 1책. 필사본. 아우 일상(一相)이 편집, 필사하였다. 시 90수, 제문 4편, 서(序) 2편, 기(記)‧설(說) 각 1편 등이 수록되어 있다. 시는 주로 안빈낙도의 생활에서 얻어진 도...
- 운계집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과 주고받은 편지가 있다. 잡저의 「경의문답」은 주로 『논어』와 같은 기본경전 가운데 의심나고 어려운 부분을 풀이한 글이다. 그의 학문적 조예와 견해를 살필 수 있는 자료이다. 운계집
- 운계집(鄖溪集) [국내외 고려시대 원전자료의 총집성과 종합 DB화―동아시아 자료간 상호대조와 연동을 통한 가치 증대― | 고려대학교]문집 운계집(鄖溪集)鄭獬, 北宋 『鄖溪集』은 北宋 鄭獬(1022∼1072)의 문집이다. 鄭獬는 皇祐 5년(1053)에 과거 급제하여 進士가 되었으며 이후 神宗 초에 翰林學士를 역임했지만 王安石의 新法에 반대하다가 侍讀學士, 杭州知州로 좌천되었다. 『鄖溪集』은 총 3...서명운계집(鄖溪集) | 간행鄭獬, 北宋 | 개요고려시대 관련 중국, 일본 사서
- 조평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의 학정서원(鶴亭書院)에 배향되었다. 저서로는 『운학문집』 9권 3책이 있다. 『도암집(陶庵集)』 『운계집(雲溪集)』 『인조실록(仁祖實錄)』 ...이칭별칭 형중(衡仲)| 운학(雲壑)
단행본(1)
- 한국국학진흥원 소장 문집해제 16 [영남학파의 사유세계와 역사인식 -영남학파 문집 상세 해제 및 주요저작 번역- (1단계) | 한국국학진흥원]저자 : 권진호(한국국학진흥원 책임연구원), 이욱(한국국학진흥원 책임연구원), 이상호(한국국학진흥... | 출판사 : 성심출판사 | 출판일 : 2010.06.분야문화‧생활 | 유형단행본竹日集 野逸遺稿 雲溪集 稚巖集 砥南集 月梧堂集 炳燭齋集 龍湖遺稿 南野集 魯
고서·고문서(4)
- 운계집 [영남학파의 사유세계와 역사인식 -영남학파 문집 상세 해제 및 주요저작 번역- (2단계) | 한국국학진흥원]한다고 하 였다. 마지막으로 古今은 서로 다르지만 그 뜻이 같으며, 그 뜻이 같으면 그 일도 이루어진다고도 하였다. 卷2 附錄 墓碣銘(幷序) 1 雲溪集 李敏求(1589~1670)가 지은 묘갈명이 수록되어 있다. 저자가 자신보다 6년 전인 1606년(선조 39) 문...분야문학 | 유형문헌
- 운계집_鄖溪集15 記 福源觀大殿記 玉仙 女 [국내외 고려시대 원전자료의 총집성과 종합 DB화―동아시아 자료간 상호대조와 연동을 통한 가치 증대― | 고려대학교]4518 중국 문집 운계집 002 기타 鄖溪集15 記 福源觀大殿記 玉仙 女眞也 葢炎帝時 人爲神仙之術 能飛鍊九丹 躡凌雲氣 嘗居於仙都山 山在大海之南 高麗之域 山有玉仙峯 峯有玉仙溪 因其所居 遂號爲玉仙 而洛陽之東南 山亦爲玉仙山 而溪爲玉仙溪 其上有玉仙祠국가중국 | 서명운계집 | 왕대기타
- 운계집_鄖溪集3 制 高麗國進奉使可大理寺丞制 [국내외 고려시대 원전자료의 총집성과 종합 DB화―동아시아 자료간 상호대조와 연동을 통한 가치 증대― | 고려대학교]4517 중국 문집 운계집 001 기타 鄖溪集3 制 高麗國進奉使可大理寺丞制 朕聞太䝉之人仁 太䝉東方之國也 爾等奉其國琛 踰不測之海 以集于此其忠孝之心 其得於太䝉之仁者耶 朕嘉乃誠 俾有眞命 丞於廷尉 仍賜腰章 歸而佩之 足以夸榮於遠人矣 可 외교일반,...국가중국 | 서명운계집 | 왕대기타
- 사서집 [영남학파의 사유세계와 역사인식 -영남학파 문집 상세 해제 및 주요저작 번역- (2단계) | 한국국학진흥원]찬에 참가하였다. 이괄의 난(1624) 이 일어났을 때 공을 세워 1등 공신에 등록되 었다. 저술로는『雲溪集』『解携錄』『尋話錄』 이 전한다. 이 답장의 내용으로 추측하건대, 全以性이 앞의 편지에서 朱書를 다시 간행하 는데 대한 일을 논의한 듯하다. 答全性之 3 全以...분야문학 | 유형문헌
주제어사전(3)
-
운계집 / 雲溪集 [종교·철학/유학]
전이성의 문집. 목활자본, 서: 유도헌(1906), 발: 전학영(1907), 4권 2책. 권1에는 시 90수가 수록, 권2는 부록으로 행장, 27편의 만사와 8편의 제문도 수록되어 있다. 권3에는 해휴록상편과 제. 기를 비롯하여 67수의 시 수록, 권4에는 해휴록하편과
-
김종정 / 金鍾正 [종교·철학/유학]
저서로는《운계집》·《사례집요》등이 있다.
-
전이성 / 全以性 [종교·철학/유학]
1578년(선조 11)∼1646년(인조 24). 전위 아들이다. 1606년(선조 39) 병오년 식년시 병과 9위로 문과에 등제하여 제조랑을 지냈다. 두 번이나 번막을 보좌하였으며, 다섯 번 군현에 나아가 읍장이 되었다. 그의 시문집《운계집》 4권 2책이 있다. 1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