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운검” 에 대한 검색결과 총 84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82)
사전(44)
- 운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조선시대 무반(武班) 두 사람이 큰칼[雲劍]을 차고 임금의 좌우에 서서 호위하는 2품 이상의 임시 관직. [내용] 나라에 큰 잔치나 회합이 있어 임금이 임어(臨御)할 때 유능한 무장(武將) 중에서 믿는 사람을 골라서 임명하였다. 정식명칭...이칭별칭별운검
- 운검(雲劍)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운검 운검 雲劍 도검(刀劍), 환도(環刀) 보검(寶劍) 별운검(別雲劍) 왕실왕실의례/예기 물품 도구 대한민국 조선 곽낙현 왕의 호위 쇠, 가죽 진연례(進宴禮), 진찬례(進饌禮), 세자책봉의례(世...상위어도검(刀劍), 환도(環刀) | 동의어보검(寶劍) | 관련어별운검(別雲劍)
- 별운검(別雲劍)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별운검 별운검 別雲劍 운검(雲劒) 정치행정/관직·관품 직역 대한민국 조선시대 조선시대 곽낙현 이품 [정의] 운검(雲劍)을 차고 임금의 좌우에 서서 호위하는 임시 벼슬...동의어운검(雲劒)
- 결속색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문서)하여 처벌하였다. 관원으로는 정랑(正郎) 2인을 두었는데, 그 중 1인은 군관이었다. 그 밖에도 검(劒)을 들고 왕의 신변을 보호하는 임무를 띤 별운검(別雲劒)이 있었는데, 전에 의정부의 우참찬, 육조의 장관 및 이조참판을 지낸 사람 중에서 후보자를 추천하...
- 유응부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수양대군이 명나라 사신을 접대하는 잔치에서 운검을 금지하라고 명령하였지만 운검을 하고 들어와 한명회와 말싸움을 벌인다. 뒤에 사육신의 한 사람으로, 처형당한다.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고서·고문서(37)
- 광진(廣津)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27143 B027143 광진 廣津 군사교통 承政院日記 正祖 3年 8月 10日_011 光進·柳鎭爀·金震郁·李雨普·柳鳳明·金昌胤·閔光德·鄭忠翊·金益魯·沈錫·李昌會·林擎翰·李啓春·李鎭宇·南正圭, 守門將金鼎燦。 雲劍 金命珣。 雲劍 安栐。 雲劍 孫昌軫。 雲劍 香室陪香官校書館...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광진(廣津)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27144 B027144 광진 廣津 군사교통 承政院日記 正祖 3年 8月 10日_011 ... 昌會·林擎翰·李啓春·李鎭宇·南正圭, 守門將金鼎燦。 雲劍 金命珣。 雲劍 安栐。 雲劍 孫昌軫。 雲劍 香室陪香官校書館博士孫處仁, 忠義張錫周, 內醫院醫官慶絢·吳道炯·白文昌·方泰逵·金...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감귤(柑橘)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2629 B002629 감귤 柑橘 경제산업 承政院日記 正祖 19年 10月 27日_011 ○傳于鄭尙愚曰, 今年耽羅貢柑橘柚, 皆停之。 當以柚子代頒, 湖南貢柚適到, 明日春塘臺, 當頒柚, 時刻差晩爲之, 別雲劍外, 侍衛以入直擧行。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又【詠梨花】 [여유당전서 정본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nk?DCI=ITKC_MP_0597A_0050_010_0570_2014_001_XML 001 隔籬暈臉睡梨雲,牆角酴醿態不分。日照澹粧如,薄醺細煙薰。一半兒熹微,一半兒隱。 467쪽권차명詩集 卷五 | 문체詩類|詩類 | 저자정약용(丁若鏞, 1762 ~ 1836) | 자료문의다산학술문화재단(http://www.tasan.or.kr )
- 李熹公實錄資料 3 [근현대 구(舊)황실 관련 자료 조사 집성 | 한국학중앙연구원]912)이 試官으로 낙점되었고 17일(음력) 慶科 庭試에 別雲劍으로 御駕를 따랐다는 내용으로 『李熹公從宦錄』(1)에서 채록하였다. 정욱재 2015. 02. 02소장처궁내청 공문서관 | 조사일2015. 02. 02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신문·잡지(1)
- 강원인민보_1947_0426_04 [한국전쟁기 미군노획문서철 중 북한신문자료의 수집.해제.데이터베이스 구축 | 이화여자대학교]지 (우일 항 서류 구비하여 시험 시행 전일까지 필착하도록 제출할 것) 2. 집합 장소 강원도 내무부 통운검사과 4. 시험시행 기일 1947년 자4월 28일 지4월 30일 3일간 (오전 9시부터) 5. 자동차 사용료 1인당 500원대표표제어강원인민보_1947_0426_04 | 날짜1947년 4월 26일
주제어사전(2)
-
운검 / 雲劍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무반 두 사람이 큰칼을 차고 임금의 좌우에 서서 호위하는 2품 이상의 임시 관직. 나라에 큰 잔치나 회합이 있어 임금이 임어할 때 유능한 무장 중에서 믿는 사람을 골라서 임명하였다. 이들이 사용하는 칼은 칼집을 어피로 싸고 주홍색으로 칠하였으며, 장식은 백은
-
보검 / 寶劍 [정치·법제]
왕이 사용하는 병기의 하나. 보검은 <국조오례의>「군례서례」병기도설에 수록되어 있는 것에서 알수 있듯이 운검과 함께 왕이 사용하는 병기이다. 왕의 검은 두 종류가 있는데 하나는 운검으로, 칼집은 어피로 싸고 주홍으로 칠한 후 백은으로 장식하여 홍색 끈목을 달아 말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