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우헌집” 에 대한 검색결과 총 38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32)
사전(26)
- 박상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陽消長圖)』를 저술하였다. 정이(程頤)ㆍ주희(朱熹)ㆍ이황(李滉)ㆍ이이(李珥)를 높이 받들었으나, 사단칠정설(四端七情說)만은 이황의 설을 버리고 이이의 설을 따랐으며, 예학은 김장생(金長生)을 따랐다. 뒤에 장령(掌令)에 추증되었다. 저서로는 『우헌집』이 있다. ...이칭별칭 경초(景初)| 우헌(寓軒)
- 우헌집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조선 후기의 학자 권현(權灦)의 시문집. [내용] 2권 1책. 목판본. 1876년(고종 13) 후손 영호(永浩) 등이 편집, 간행하였다. 권두에 이돈우(李敦雨)의 서문이 있다. 장서각도서에 있다. 권1에 시 52수, 제문 14편, ...
- 우헌집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조선 후기의 문신 신응현(申應顯)의 문집. [내용] 20권 8책. 필사본. 서문은 없고, 권말에 6대손 현기(鉉基)의 발문이 있다. 평산신씨대종중에 소장되어 있으며, 1985년 영인, 간행되어 널리 유포되고 있다. 권1에 사부(辭賦...
- 불우헌집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姜銓爕, 大旺社, 1982) 不憂軒歌曲硏究(權寧徹, 國文學硏究 2, 曉星女子大學, 1969) 불우헌집 조신 초기의 문신, 시인 정극인의 문집. 1786년(정조 10) 후손인 효목이 편집, 간행한 것을...
- 불우헌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1472년(성종 3) 정극인(丁克仁)이 지은 단가. [구성 및 형식] 작자의 문집인 『불우헌집(不憂軒集)』에 전한다. 작자가 벼슬을 그만두고 향리 태인에서 자제들을 교육하고 있을 때, 성종은 그에게 삼품산관(三品散官)의 관작...
단행본(2)
- 규장각 소장 문집해설 (18세기) 13 [규장각 도서자료 연구사업(1단계) | 서울대학교]저자 : 노태돈(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장), 김인걸, 옥영정, 이영주, 이종묵, 정원재... | 출판사 : 민창문화사 | 출판일 : 2010.03.31분야문화‧생활 | 유형단행본八吾軒集 八友軒集 平庵集 平巖集 敝帚遺稿 圃巖集 圃陰集 逋軒集 楓溪集 楓溪
- 한국국학진흥원 소장 문집해제 16 [영남학파의 사유세계와 역사인식 -영남학파 문집 상세 해제 및 주요저작 번역- (1단계) | 한국국학진흥원]저자 : 권진호(한국국학진흥원 책임연구원), 이욱(한국국학진흥원 책임연구원), 이상호(한국국학진흥... | 출판사 : 성심출판사 | 출판일 : 2010.06.분야문화‧생활 | 유형단행본庵集 拙窩集 東旅集 懶齋集 拙齋集 黔澗集 沙西集 愚軒集 吹篪齋集 靜窩集
고서·고문서(4)
- 우헌집 [영남학파의 사유세계와 역사인식 -영남학파 문집 상세 해제 및 주요저작 번역- (2단계) | 한국국학진흥원]음주례를 따랐으니 참으로 성대한 일 愚軒集 이었다. 그러나 겨우 십 년이 지난 壬辰年에 폐지되었고, 다시 10년이 지나 壬寅年이 되었 어도 중수하지 못했으니 흉년이 겹쳐 삶이 고단하였기 때문이다. 지난날에 등록된 사람 이 80여 명이었으나 지금은 겨우 다섯 명만 남았지...분야문학 | 유형문헌
- 면암선생 좌전 [대전 충청지역의 고문서 수집, 정리 및 연구(2단계) | 충남대학교]近來性潭丈遺稿方設刊行其在淵源切緊之地 那不一番進參也若然則當趨進軒下伏計伏計. 寓軒集一帙伏呈耳鄙家七世稿寓遜秉燭齋 白野堂晩晦齋養浩亭述窩諸稿一倂刊行分帙爲計矣 陸沈至此門力極艱伏歎伏歎何時更踞昇平乎.분야문학 | 유형문헌
- 강고집 [규장각 도서자료 연구사업(2단계) | 서울대학교]35) 1825. 柳相祚에게 답한 편지로, 회칙 개정을 제안하는 내용이다. 별지(別紙)가 있다. 答豊安君 (36) 柳相祚에게 답한 편지로, 柳世鳴(1636∼1690)의 문집인 『寓軒集』을 발간하는 문제를 이야기하며 李惟樟(1625∼1710)과 주고받은 편지글을...분야문학 | 유형문헌
- 강고집 [영남학파의 사유세계와 역사인식 -영남학파 문집 상세 해제 및 주요저작 번역- (2단계) | 한국국학진흥원]君과 海令의 견해는 어떠한지 묻고 있다. 答豊安君 36 寓軒集 (柳世鳴의 문집)에 실린 孤山李惟樟과의 왕복 편지는 변론한 것이 명백하고 통쾌하여 더 이상 입을 댈 수 없으며,이 문집에 이 편지가 실린 것은 세상 사람들이 많이 알고 있는 사실이다.그런데 지금 이 문집을...분야문학 | 유형문헌
주제어사전(6)
-
불우헌집 / 不憂軒集 [문학/고전시가]
조신 초기의 문신·시인 정극인의 시문집. 2권 1책. 석판인쇄본. 1786년(정조 10) 후손인 효목이 편집간행한 것을 1969년 정씨서륜당에서 중간하였다. 권두에 황경원·황윤석의 서문과 권말에 정내동·정팔성의 발문이 있다. 권1에 시 58수가 수록되어 있다. 권2에는
-
우헌집 / 愚軒集 [종교·철학/유학]
채헌징의 문집. 목판본, 서:정종로(1806), 발: 김소락(1865), 7권 3책. 입재 정종로가 1806년(순조 6)에 쓴 서문과 의성김씨 김소락이 1865년(고종 2)에 쓴 발문이 있다. 권말에 실려 있는 우헌의 8세손 성환이 쓴 발문에는 간행 연도를 무진년이라고
-
박상현 / 朴尙玄 [종교·철학/유학]
우헌집』이 있다.
-
정극인 / 丁克仁 [종교·철학/유학]
1401(태종 1)∼1481(성종 12). 조선 전기의 문신·문인. 아버지는 곤이다. 그러나『국조방목』에는 인의 아들로 되어 있다. 사간원헌납, 사간원정언 등을 역임하였다. 저서로는『불우헌집』2권 1책이 전한다. 예조판서 겸 지춘추관성균관사에 추증됐으며 태인의 무성서
-
상춘곡 / 賞春曲 [문학/고전시가]
조선 전기에 정극인(丁克仁)이 지은 가사. 작자의 문집 『불우헌집 不憂軒集』에 전한다. 작자가 치사 후 태인에 돌아와 자연에 묻혀 살 때 지은 것으로, 속세를 떠나 자연에 몰입하여 봄을 완상하고 인생을 즐기는 지극히 낙천적인 노래이다. 2음보 1구로 계산하여 총 7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