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우통례” 에 대한 검색결과 136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27)

사전(80)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원으로 개칭하고, 통례문 때의 겸판통례문사(兼判通禮門事)를 녹관(祿官 : 전임관)의 로 개정, 개칭하면서 성립되었다. 이 후『경국대전』에 명문화되어 조선 말기까지 존치되면서, 1894년(고종 31) 갑오경장에 수반된 관제개혁 때는 궁내부(宮內府)에 소속된...
  • 통례 [조선시대 의궤용어사전(I)-왕실전례편 | 대구가톨릭대학교]
    조선 시대 통례원(通禮院)의 정3품 벼슬. 좌통례와 가 있었다. 좌통례가 당상관으로 승진하여 자리가 비면 를 그 근무 일수를 따지지 않고 임명한다. 大輿馳擔駐於馬木之上拔長橫杠進短橫杠攝左通禮啓請進發大輿進發至興仁門外攝左通禮啓請小駐復進長橫杠進發如上儀殿下出,
    분야문화‧생활 | 유형개념용어
  • 유선양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생원시를 거쳐 1761년(영조 37)에 군수로서 정시문과에 을과로 급제하였다. 그 뒤 세자시강원의 필선과 보덕을 거쳐 사헌부집의와 사간원사간(司諫院司諫)를 역임하였고, ()와 승지, 예조참의‧대사간 등을 역임하였다. 英祖實錄
    이칭별칭 호연(浩然)
  • 섭좌통례 [조선시대 의궤용어사전(I)-왕실전례편 | 대구가톨릭대학교]
    의례에서 왕에게 의식 절차를 차례대로 아뢰는 일을 담당한 직책. 통례원 소속 정3품의 관원으로 조하(朝賀), 제사(祭祀), 찬알(贊謁) 등의 의례에서 왕이 순조롭게 의식을 행할 수 있도록 의례 순서를 아뢰며 진행하였다. ()는 좌통례(左通禮)를 거쳐 당상관...
    분야문화‧생활 | 유형개념용어
  • 통례(通禮)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통례 통례 通禮 당하관(堂下官), 실직(實職) 상례(相禮), (), 좌통례(左通禮) 홍로(鴻臚) 가통례(假通禮), 겸판통례문사(兼判通禮門事), 계제직(階梯職), 섭통례(攝通禮), 종백부(宗伯府), 통례문(通禮門), 통례원(通禮...
    상위어당하관(堂下官), 실직(實職) | 하위어상례(相禮), 우통례(右通禮), 좌통례(左通禮) | 동의어홍로(鴻臚) | 관련어가통례(假通禮), 겸판통례문사(兼判通禮門事), 계제직(階梯職), 섭통례(攝通禮), 종백부(宗伯府), 통례문(通禮門), 통례원(通禮院), 판통례문사(判通禮門事)

고서·고문서(47)

  • 1888년 박기종(朴淇鍾) 고신(告身) [호남권 한국학자료센터 구축(2단계) | 전북대학교]
    1888년(고종25) 12월에 국왕이 박기종(朴淇鍾)을 통훈대부 통례원 (通訓大夫 通禮院)에 임명하는 내용으로 발급한 문서이다. 통훈대부는 정3품 당하관에 해당하는 품계이다. 통례원 는 국가의 의례(儀禮)를 관장하였던 관서인 통례원(通禮院)의 정3품
    내용분류정치/행정-임면-고신 | 형식분류고문서-교령류-고신 | 현소장처무안박씨 박기종가
  • 1889년 박기종(朴淇鍾) 고신(告身) [호남권 한국학자료센터 구축(2단계) | 전북대학교]
    1889년(고종26) 9월에 국왕이 박기종(朴淇鍾)을 통훈대부 통례원 (通訓大夫 通禮院 )에 임명하는 내용으로 발급한 문서이다. 통훈대부는 정3품 당하관에 해당하는 품계이다. 통례원는 국가의 의례(儀禮)를 관장하였던 관서인 통례원(通禮院)의 정3품 관...
    내용분류정치/행정-임면-고신 | 형식분류고문서-교령류-고신 | 현소장처무안박씨 박기종가
  • 1874년 오경리(吳慶履) 고신(告身) [호남권 한국학자료센터 구축(1단계) | 전북대학교]
    1874년(고종11)1월에 고종이 영암에 사는 해주오씨 오경리를 통훈대부통례원에 임명한다는 문서이다.
    내용분류정치/행정-임면-고신 | 형식분류고문서-교령류-고신 | 현소장처광주 해주오씨 오철환
  • 35222 B035222 남해현 南海縣 정치행정 承政院日記 肅宗 10年 11月 23日_003 ○謝恩, 趙益剛, 漢城判官朴尙郁, 校書校理尹邦憲, 著作蔡廷麟, 馬梁僉使柳以元, 白峙僉使許鍇, 護軍洪箕疇·林翼喬, 咸陽郡守李星齡, 南海縣監尹烇。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必咸爲造紙別提, 成瑍爲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주제어사전(9)

  • / [정치·법제/법제·행정]

    로 개정, 개칭하면서 성립되었다. 이 후 ≪경국대전≫에 명문화되어 조선 말기까지 존치되었다.

  • 박충원 / 朴忠元 [종교·철학/유학]

    1507(중종 2)∼1581(선조 14). 조선 중기의 문신·학자. 조 아들, 어머니는 기찬의 딸이다. 1531년에 승문원에 올라 홍문관에 참예하였다. 병조정랑, 이조정랑, 예빈시정, 통례원 겸 교서관판교 등을 역임하였다. 저서로는『낙촌유고』가 있다.

  • 섭좌통례 / 攝左通禮 [정치·법제]

    의례에서 왕에게 의식 절차를 차례대로 아뢰는 일을 담당한 직책. 통례원 소속 정3품의 관원으로 조하, 제사, 찬알 등의 의례에서 왕이 순조롭게 의식을 행할 수 있도록 의례 순서를 아뢰며 진행하였다. 는 좌통례를 거쳐 당상관으로 승진할 수 있었던 반면 좌통례는

  • 홍시제 / 洪時濟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문신(1758∼?). 1790년(정조 14) 증광 문과에 급제, 벼슬은 지평·를 거쳐 1814년(순조 14) 부호군이 되었다. 신유박해 때 관직이 추탈된 채제공의 피무를 변명하다가 경상도 기장현에 유배되었다가 풀려나, 대사간·안주목사·승지·호군 등

  • 경제야언 / 經濟野言 [역사/조선시대사]

    조선후기 유학자 우정규가 치국의 기본방책을 기술한 역사서. 1책. 필사본. 이 책은 원본을 복제하여 78장으로 정리한 것으로서, 1788년(정조 12) 6월 ()를 지낸 저자가 소장(疏章)과 함께 정조에게 올린 45편의 치국개선책(治國改善策)이기도 하다.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