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우참찬” 에 대한 검색결과 815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767)

사전(521)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조선시대 의정부의 정2품 관직. [내용] 정원은 1인이다. 좌찬성‧우찬성‧좌참찬과 함께 3의정을 보좌하고 대소의 국정에 참여하였다. 은 1400년(정종 2) 4월 고려 충렬왕 이래의 도평의사사(都評議使司)가 의정부로 개편되면...
  •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
    조선시대 의정부의 정2품 관직.
    정의조선시대 의정부의 정2품 관직.[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문광부표기uchamchan | MR표기uch’amch’an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자헌대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조선시대 문신 정2품 하계의 품계명. [내용] 조선이 건국된 직후인 1392년(태조 1) 7월 문산계(文散階)의 품계인 정헌대부‧자헌대부가 제정되어 그대로 수록되었다. 정2품에 해당하는 관직으로는 군‧위‧좌참찬‧‧지사‧판서‧판윤‧대...
  • TD_L14_D_0430 玄碩圭 인물 德璋, 淸介, 昌原 光廟, 成宗 D_03_02_60 대동운부군옥 3권 2장 60절
    출전대동운부군옥 | 수록위치3권 2장 60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 좌참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조선시대 의정부의 정2품 관직. [내용] 정원은 1인이다. 우찬성‧과 함께 3의정을 보좌하면서 대소 국정에 참여하였다. 1400년(정종 2) 고려 충렬왕 이래 도평의사사(都評議使司)가 의정부로 개편될 때의 참찬...

고서·고문서(246)

  • ○八月。 以白仁傑爲議政府 [율곡(栗谷) 이이(李珥)의 자료 집성(集成)과 정본화(定本化) | 전주대학교]
    栗谷先生全書 卷之三十 經筵日記三 56 ○八月。 以白仁傑爲議政府 30_189_036.jpg ○八月。 以白仁傑爲議政府。 仁傑雖在畎畝, 不能忘懷於時事, 每歎時人不相知。 至是老耄, 欲請趙光祖從祀文廟上京。 大臣憫其老且窮, 白上請使奉朝賀以給祿。 未幾仁傑還歸坡州。
    서명율곡선생전서(栗谷先生全書) | 자료문의전북대학교 오항녕 교수
  • 1487년 이숭원(李崇元) 고신(告身)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
    1487년에 성종(成宗)이 이숭원李崇元)을 의정부(議政府) ()에 임명하는 문서이다. 이숭원은 단종조에 문과에 장원급제하여 세조조에 여러 요직을 두루 역임하였다. 성종이 즉위하는데 공이 있어 공신이 되었으며 고관을 올랐다. 본 문서는 그러한 고관에 임명된
    내용분류정치‧행정-임면-고신 | 형식분류고문서-교령류-고신 | 현소장처익산 삼기 연안이씨 현동사 어서각
  • 16093 B016093 강화부 江華府 정치행정 承政院日記 肅宗 32年 3月 6日_002 ○閔鎭厚, 覲親事, 江華府出去。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15983 B015983 강화부 江華府 정치행정 承政院日記 肅宗 32年 3月 6日_002 ○閔鎭厚, 覲親事, 江華府出去。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35148 B035148 남해현 南海縣 정치행정 承政院日記 肅宗 1年 6月 15日_002 ○謝恩, 吳始壽, 同經筵睦來善, 南海縣監安世柱, 泗川縣監宋克悌。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연구과제(1)

  • 조선 후기 선원각의 제도와 운영

    한국학 대형 기획 총서사업 | 조계영 | 서울대학교 | 2019 | 국내 | 서울

주제어사전(47)

  • / [정치·법제/법제·행정]

    부사를 좌·우참판으로 구분, 이 되었고, 1415년 1월 참찬이 되었다. 1437년(세종 19) 10월 의정부서사제 부활로 ≪경국대전≫에 법제화되었다.

  • 이근우 / 李根友 [종교·철학]

    조선 후기의 문신(1801∼?). 1821년(순조 21) 경과정시문과에 급제하여, 의정부·사헌부대사헌·형조판서·형조판서·의정부 등을 지냈다. 1871년 대호군에 있으면서 추상존호도감에서 근무하였고, 이후 판의금부사·이조판서 등을 역임하였다.

  • 좌참찬 / 左參贊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의정부의 정2품 관직. 정원은 1인이다. 1400년(정종 2) 도평의사사가 의정부로 개편될 때의 참찬문하부사에서 비롯되었다. 1414년의 좌참찬은 1433년에 종1품의 찬성으로, 1437년에는 좌·우찬성으로 개칭, 1414년의 이 얼마 뒤 좌·

  • 권감 / 權瑊 [종교·철학/유학]

    1673(현종 14)∼1746(영조 22). 조선 후기의 문신. 아버지는 권성이다. 1710년(숙종 36) 사마시에 합격하여 진사가 되고, 그뒤 장릉참봉이 되었다. 남원현령, 동지중추부사 등을 역임하였다.

  • 김한철 / 金漢喆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문신(1701∼1759). 사간원정언으로 재임할 때 붕당 타파를 상소하였다. 대사간에 발탁되었으며, 도승지·이조참판·경기관찰사·함경도관찰사 등 내외요직을 두루 역임하였다. 양전의 실시를 주장하였고, 나중에 에 이르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