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우찬성” 에 대한 검색결과 총 409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390)
사전(279)
- 우찬성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그 이전의 상태로 회복되었다. 물론, 비변사가 국정의 중심이었던 시기에도 재직자의 가계‧자질 등에 따라 강력한 권한을 발휘한 적도 있었다. 철종 때 김병기(金炳基)는 강력한 영향력을 행사한 사람 중의 하나다. 우찬성은 좌찬성과 더불어 세자시강원이사(世子侍講院貳師...
- 양열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생몰년 미상. 신라 하대의 지방관. [내용] 견당숙위학생(遣唐宿衛學生)으로, 당나라의 덕종(德宗)이 봉천(奉天)에 피난할 때 수행한 공으로 세워 우찬선대부(右贊善大夫)를 제수받고 귀국하였다. 그리고 800년(애장왕 1) 8월에 두힐현(豆肹...
- 팔좌 [옛 편지 낱말사전 | 한림대학교]한대(漢代) 육조(六曹)의 상서(尙書) 및 일령(一令)‧일복(一僕)을 일컬음. 조선시대에는 육조의 판서 및 좌우 찬성(左右贊成)을 일컬음. 龍台又八座 同車推輓 不孤爲賀, 이시원(李是遠), 26-177분야문화‧생활 | 유형문헌
- 崔淑生 [조선시대 유서(類書) 기반 지식 DB 및 지식지도 구축 | 고려대학교]TD_L7_D_0323 崔淑生 남자 登第, 大憲, 右贊成, 追奪 己卯 慶州 子眞, 盅齋, 我成廟 D_07_01_35 대동운부군옥 7권 1장 35절출전대동운부군옥 | 수록위치7권 1장 35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 李滉 [조선시대 유서(類書) 기반 지식 DB 및 지식지도 구축 | 고려대학교]TD_L14_D_1396 李滉 인물 右贊成, 理學之宗, 領議政 眞城, 陶山, 東方 景浩, 退溪, 我中廟, 考亭, 文純 道德, 理學通錄, 朱子書節要, 啓蒙傳疑, 聖學十圖 D_09_04_118 대동운부군옥 9권 4장 118절출전대동운부군옥 | 수록위치9권 4장 118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고서·고문서(111)
- 辭右贊成啓 [율곡(栗谷) 이이(李珥)의 자료 집성(集成)과 정본화(定本化) | 전주대학교]栗谷先生全書 卷之八 啓 22 辭右贊成啓 08_055_030.jpg 辭右贊成啓 辭……啓: 초1․중규1․중공2에는 “辭右贊成初啓”. 臣本空疏腐儒, 加以痼疾在身, 百無所用。 聖恩天涵, 不遺菅蒯, 得從大夫之列, 已爲越分。 誠不自意誤恩橫被, 濫躋正卿, 恒懷戰慄, 坐待致寇,서명율곡선생전서(栗谷先生全書) | 자료문의전북대학교 오항녕 교수
- 六月。 以朴忠元爲右贊成, 尋免。 [율곡(栗谷) 이이(李珥)의 자료 집성(集成)과 정본화(定本化) | 전주대학교]栗谷先生全書 卷之二十八 經筵日記一 51 六月。 以朴忠元爲右贊成, 尋免。 28_119_112.jpg ○ 六月。 以朴忠元爲右贊成, 尋免。 忠元以庸陋之資模稜取爵位, 備歷淸顯, 人多嗤笑。 少時爲正言, 許沆爲大司諫, 方附金安老, 勢焰翕赫 赫: 대규에는 “赤”., 殘害士類無...서명율곡선생전서(栗谷先生全書) | 자료문의전북대학교 오항녕 교수
- 1593년 황진(黃進) 고신(告身) 2 [호남권 한국학자료센터 구축(2단계) | 전북대학교]1593년 8월 7일에 국왕이 절충장군 수충청도병마절도사황진을 숭정대부 의정부우찬성겸판의금부사의 증직을 내리는 교지이다. 6월에 있었던 晋州城 전투에서 전사한 그의 공을 기려 追贈한 것이다.내용분류정치/행정-임면-고신 | 형식분류고문서-교령류-고신 | 현소장처남원 대곡 장수황씨문중
- 虞芮 [고려~조선 변경(邊境) 지명 DB구축 및 전자 지도 제작 | 덕성여자대학교]從右贊成皇甫仁獻議也.출처전거『조선왕조실록』 세종실록 | 자료문의서울대학교 정요근 교수
- 四月, 朴淳謝病遞贊成 [율곡(栗谷) 이이(李珥)의 자료 집성(集成)과 정본화(定本化) | 전주대학교]栗谷先生全書 卷之二十九 經筵日記二 52 四月, 朴淳謝病遞贊成 29_207_008.jpg ○四月, 朴淳謝病遞贊成, 以鄭大年拜右贊成。 ○奇大升以大司諫承召入京。 大升與大臣不協退歸, 至是歸 歸: 대규에는 “還”.朝。 ○旱凡三月而始雨。서명율곡선생전서(栗谷先生全書) | 자료문의전북대학교 오항녕 교수
주제어사전(19)
-
우찬성 / 右贊成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의정부의 종1품 관직. 정원은 1인이다. 1400년(정종 2) 4월 도평의사사가 의정부로 개편. 1401년(태종 1) 의정부에 흡수하면서 의정부찬성사로 되었다. 1414년 4월 육조직계제 실시로 의정부 기능이 축소되어 동판부사가 되었다. 같은 해 6월 동판부
-
구경 / 九卿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삼공에 다음가는 9인의 고관직. 의정부의 좌·우찬성과 육조판서, 그리고 한성판윤을 지칭한다. 좌·우찬성만이 종1품이고, 그밖에는 모두 정2품직이었다.‘구’의 칭호는 ≪주례≫에서 유래한 것으로 주대의 육관과 삼소를 지칭하였다. 조선시대의 구경은 법제적인 명문
-
이효성증직교지 / 李孝性贈職敎旨 [정치·법제]
1755년(영조 31) 12월 26일. 충의위 이효성을 숭정대부 의정부우찬성 겸 판의금부사 세자이사 오위도총부도총관에 증직하는 교지. 이 교지는 인빈김씨가 인조의 아버지인 정원군을 출산한 공로를 표창하며 행해진 것으로 보인다.
-
정분 / 鄭苯 [종교·철학/유학]
?∼1454(단종 2). 조선 전기의 문신. 할아버지는 신중, 아버지는 이오이다. 1416년(태종 16) 친시문과에 을과로 급제하였다. 우찬성, 경상도 도체찰사, 우의정 등을 역임하였다.
-
강혼 / 姜渾 [종교·철학/유학]
공조판서, 우찬성, 판중추부사를 역임하였다. 저서로『목계일고』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