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우종사” 에 대한 검색결과 총 41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 연관검색어
- 좌종사
연구성과물(39)
사전(9)
- 우종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조선시대 세손위종사(世孫衛從司)에 소속된 관직. [내용] 품계는 종7품이다. 좌종사(左從史) 1인과 함께 있었다. 왕세손의 배종호위(陪從扈衛 : 곁에서 호위함.)를 담당하였다. 입직(入直) 1인이 왕세손을 위한 경서강독(經書講讀)에 참가하...
- 정호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1834(순조 34). 조선 후기의 승려. [내용] 성은 송씨(宋氏). 호는 은암(銀巖). 전라남도 해남 출신. 어려서 해남 두륜산 대흥사(大興寺)로 출가하였다. 1799년(정조 23) 창인선사(暢印禪師)의 법을 이었고, 윤우종사(倫...이칭별칭 은암(銀巖)
- 좌종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조선시대 세손위종사(世孫衛從司)에 소속된 관직. [내용] 품계는 풍7품으로 무관직이다. 우종사(右從史) 1인과 함께 왕세손의 배종호위(陪從護衛 : 곁에서 호위함)를 담당하였다. 입직(入直 : 자신의 순서에 따라 궁궐에 들어가 근무...
- 세손위종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손위종사는 종6품 아문으로서 좌우장사(左右長史)가 각각 1인, 좌우종사(左右從史)가 각각 1인으로 종7품이다. 관원은 세자익위사에 비하여 품질도 낮고 인원수도 적지만, 세손위종사의 기능은 세자익위사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왕세손을 가까이에서 보도(輔導)한다는 뜻에서 덕행과...
- 세손위종사(世孫衛從司)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종6품의 좌·우장사 각 1명, 종7품의 좌·우종사(左·右從史) 각 1명 등 총 4명을 겸임직으로 두도록 하였다. 이때의 세손위종사는 강서원과 함께 창경궁에 설치되었는데, 이듬해 효종이 즉위함에 따라 폐지되었다. 영조 때의 첫 번째 세손위종사는 1751년(영조 2...상위어병조(兵曹) | 동의어계방(桂坊) | 관련어세손(世孫)
고서·고문서(30)
- 덕진(德津)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49540 B049540 덕진 德津 군사교통 中宗實錄 二十五年(1530) 七月 중종실록_12507004_002 ○傳于政院曰: “慈殿證候, 或差或否, 往來無常。 當如此之時, 祖宗朝, 亦祈禱于宗社山川。 其考壬午年【其年二月大妃亦未寧也。】及祖宗朝祈禱前例以啓。” 政院乃以宗廟、...출처전거中宗實錄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도중(島中)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64463 B064463 도중 島中 도서 일반 承政院日記 仁祖 13年 6月 8日_014 者乎? 今殿下念佶等之不宴, 而不念宗社之大患。 是憂宗社, 不如憂亂逆之子也, 豈得爲聖人處事之宜乎? 昨日聖批云, 如無難保之患, 爾等勿爲過慮。 夫珙爲兇逆之魁, 前後兇徒, 皆屬心於珙, 安知...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지역분류일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도중(島中)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64572 B064572 도중 島中 도서 일반 承政院日記 仁祖 13年 6月 8日_014 者乎? 今殿下念佶等之不宴, 而不念宗社之大患。 是憂宗社, 不如憂亂逆之子也, 豈得爲聖人處事之宜乎? 昨日聖批云, 如無難保之患, 爾等勿爲過慮。 夫珙爲兇逆之魁, 前後兇徒, 皆屬心於珙, 安知...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지역분류일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도중(島中)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64466 B064466 도중 島中 도서 일반 承政院日記 仁祖 13年 6月 8日_015 趙壽益, 首發之, 彼壽益有何所見。 只是固守儕輩之論, 欲以取重於自中耳。 人臣不惡亂逆之惡, 不恤國法之壞, 不憂宗社之禍, 惟以見重於儕輩爲心, 人臣事君, 豈宜如是? 其咎不可不懲, 其漸不...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지역분류일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도중(島中)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異, 極可怪也。 此論若行, 則亂臣賊子, 更無所懼, 而將至接跡於世矣, 豈非大可憂者乎? 此立異之論, 趙壽益首發之, 彼壽益, 有何所見, 只是因儕輩之論, 欲以取重於自中耳。 夫不惡亂逆之惡, 不恤國法之壞, 不憂宗社之患, 惟以見重於儕輩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지역분류일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주제어사전(2)
-
우종사 / 右從史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세손위종사에 소속된 관직. 품계는 종7품이다. 좌종사 1인과 함께 있었다. 왕세손의 배종호위를 담당하였다. 입직 1인이 왕세손을 위한 경서강독에 참가하였다. 1448년(세종 30)에 세손위종사가 세손강서원에서 분리됨에 따라 동반의 다른 관직이 겸대하였다. 사
-
좌종사 / 左從史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세손위종사에 소속된 관직. 품계는 정7품으로 무관직이다. 우종사(右從史) 1인과 함께 왕세손의 배종호위를 담당하였다. 입직 1인이 왕세손을 위한 경서강독에 참가하였다. 1448년(세종 30) 세손위종사가 세손강서원에서 분리됨에 따라 동반의 다른 관직이 겸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