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우장사” 에 대한 검색결과 45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41)

사전(15)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조선시대 세손위종사(世孫衛從司)에 소속된 관직. [내용] 품계는 종6품이다. 좌장사(左長史) 1인과 함께 있었다. 왕세손의 배종호위(陪從扈衛 : 곁에서 호위를 함)를 담당하였다. 입직(入直) 1인이 왕세손을 위한 경서(經書)의 강(講)에 ...
  • 우자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左) 및 도사(都事)와 함께 백관의 녹봉지급, 국용의 회계에 관한 실무를 관장하였다. 그 혁거시기는 불명하나 1401년(태종 1)에 삼사가 사평부(司平府)로 개칭되고, 1405년에 사평부의 기능이 호조에 이속되어 혁파되었음을 볼 때 1401년∼14...
  • 좌자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左) 및 도사(都事)와 함께 백관의 녹봉지급, 국용의 회계에 관한 실무를 담당하였다. 그 혁거시기는 알려져 있지 않으나 1401년(태종 1)에 삼사가 사평부(司平府)로 개칭되었고, 1405년 사평부의 기능이 호조에 이속되고 혁파된 데서, 1401∼14...
  • 좌장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조선시대 세손위종사(世孫衛從司)에 소속된 관직. [내용] 품계는 종6품으로 무관직이다. ()와 함께 왕세손의 배종호위(陪從護衛 : 곁에서 호위함)를 담당하였다. 입직(入直: 자신의 순서에 따라 궁궐에 들어가 근무함) 1...
  • 박성양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대승을 거두었다. 그 뒤 보덕(輔德)‧좌장사(左長史)‧() 등에 임명되었고, 태종이 즉위하자 전라도안렴사‧함경도북영병마사를 역임하였다. 1419년(세종 1) 왜구들이 다시 출몰하자 우군절제사(右軍節制使)가 되어 대마도를 정벌하였다. 이 전투에서...
    이칭별칭 금은(琴隱)| 정헌(正憲)

고서·고문서(23)

  • 76623 B076623 동래 東萊 정치행정 英祖實錄 二十年(1744) 八月 영조실록_12008026_001 ○庚午 / 引見大臣、備堂。 以 ‘東萊田事, 府使金漢喆不報營門, 直自處斷, 晩始謄報於封啓之後, 邊臣之自顓, 有非嚴邊情重體統之道。 且其狀本, 或稱殘劣, 或稱...
    출처전거英祖實錄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1418 B001418 가리포 加里浦 군사교통 承政院日記 英祖 37年 4月 7日_024 ○以雲山君梄爲都摠管, 尹得養爲副摠管, 池友翼爲三陟營將, 吳載純爲, 金九重爲宣沙浦僉使, 金光白·李漢昌爲內禁將, 洪錫福爲加里浦僉使, 李廷柱爲臨淄僉使, 安命賢爲群山浦僉使, 鄭道衡爲...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4437 B004437 강도 江都 정치행정 承政院日記 仁祖 16年 1月 5日_007 ... 祭享·御供·諸宮之輕重, 而尙此持難, 必不過於私心不忍奪也。 目今人心之怨叛, 變異之可畏, 比亂前不啻百倍, 人心世道言之, 則設或邊塞無高枕, 而臣之竊恐季孫之憂, 不在顓臾也。 苟可...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天地門1_飛颺島 [성호전서 정본화 사업 (II) | 청명문화재단]
    木, 竹箭最良.” 此理不可究. 按, 《通考》: “某州有大峯, 越山嶺碎墮, 某地有女媧塜, 忽失所在, 日久而復自水中出.” 是皆其類也. 此必有物移之也, 移之者, 氣也. 氣中必有知覺, 而然則非鬼魅之所爲乎? 鬼魅, 風氣所聚, 風無所不入, 故能變大爲小, 引大體於窓隙. 云,...
    서명星湖先生僿說卷之一 | 저자이익(李瀷, 1681~1763) | 자료문의청명문화재단 태동고전연구소(www.chungmyung.org)
  • 夏四日 武陽李綱書漕司之翠藹堂 외교일반, 5대ㆍ송, 외국정세, 해당 기사의 정확한 작성연대를 추정할 수 없으나, 저자인 李綱(1083-1140)이 1112년(고려 예종 7)에 진사에 급제하였고 1140년(고려 인종 18)에 졸하였으므로 이에 예종대부터 1...
    국가중국 | 서명양계집 | 왕대기타  

구술자료(1)

  • 힘 센 항와 이무기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앞서 정원창 제보자가 이야기 하는 것을 가만히 듣고 있던 제보자가 조사자들의 조사 의도와 방향을 알고서 “그럼 내가 이야기 하나 하지” 하면서 다음의 이야기를 구연했다. 제보자가 구연하는 대부분의 이야기는 상황에 대한 묘사가 구체적이며 생동감이 있다. 아래 이...
    조사일시2009.02.20 | 조사장소구례군 구례읍 봉서리 동산마을 1573번지 동산마을회관 | 제보자정원봉(남, 83세)

신문·잡지(2)

주제어사전(4)

  • /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세손위종사에 소속된 관직. 품계는 종6품이다. 좌장사 1인과 함께 있었다. 왕세손의 배종호위를 담당하였다. 입직 1인이 왕세손을 위한 경서의 강에 참석하였다. 1448년(세종 30)에 세손위종사가 세손강서원에서 분리됨에 따라 동반의 다른 관원이 겸직하였으며,

  • 좌장사 / 左長史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세손위종사에 소속된 관직. 품계는 종6품으로 무관직이다. ()와 함께 왕세손의 배종호위를 담당하였다. 입직 1인이 왕세손을 위한 경서의 강(講)과 질의응답에 참석하였다. 1448년(세종 30) 세손위종사가 세손강서원에서 분리됨에 따라 동반의 다른

  • 우자의 / 右諮議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 초기 삼사에 소속된 정4품 관직. 정원은 1인이다. 1392년(태조 1)에 고려의 삼사를 계승하여 영사 이하의 관원을 편제하면서 비롯되었다. 영사·판사·좌복야·우복야 등의 지휘를 받으면서 상위의 좌우승, 하위의 좌· 및 도사와 함께 백관의 녹봉지급, 국용

  • 좌자의 / 左諮議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 초기 삼사에 소속된 정4품 관직. 정원은 1인이다. 1392년(태조 1) 고려 말의 삼사를 계승하여 영사 이하의 관원을 두면서 비롯되었으며, 영사·판사·좌복야·우복야의 지휘를 받으면서 상위의 좌승·우승, 하위의 좌 및 도사와 함께 백관의 녹봉지급, 국용의